기업분석/IT-SW

라닉스 주가 전망 및 배당금 - 무선통신, 사물인터넷, 하이패스

.^. 2021. 8. 16.
반응형

"주식회사 라닉스"입니다. 영문으로는 "RANIX INC."라 표기합니다.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2003년 09월 26일에 설립되어 자동차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핵심기술인 무선통신과 보안 및 인증 관련 시스템반도체 및 S/W, H/W 솔루션 등의 기술을 개발하여 사업화하는 토털 솔루션 업체입니다.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135길 25 (논현동)
전화번호 02-584-5516
홈페이지 http://www.ranix.co.kr

자동차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핵심기술인 무선통신과 보안및 인증 관련 시스템반도체 및 S/W, H/W 솔루션 등의 기술을 개발하여 사업화하는 토털 솔루션 업체입니다. 

 

라닉스는 2020년 배당금은 없습니다.

 

용어 설명

AEC-Q100 자동차용 반도체 신뢰성 시험규격으로, Automotive Electronic Council(자동차 전자부품 협회)에서 자동차에 공급되는 전자부품에 대한 신뢰성 평가 절차를 규정한 문서로서 전 세계에서 통용된다.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의 준말인 AES는 2001년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에 의해 제정된 암호화 방식이다. AES는 미국 정부가 채택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77년 공표된 DES를 대체한 AES는,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에서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대칭 키 알고리즘이다.
ARIA 아리아(ARIA)는 대한민국의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블록 암호 체계이다. ARIA라는 이름은 학계(Academy), 연구소(Research Institute), 정부 기관(Agency)이 공동으로 개발한 특징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2004년 산업자원부의 KS 인증(KS X 1213:2004)을 획득하여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국가 표준 암호 알고리즘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2010년 웹 표준 중 하나가 되었다.
ARIB 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사단법인 전파산업회), 일본 총무성 관할의 사단 법인이다. 일본의 휴대 전화나 디지털 방송에 관한 표준 규격 제정을 주 업무로 한다.
AM After Market, 제품이 판매된 후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형성된 2차 시장을 말한다.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스마트그리드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인프라로서 스마트미터, 통신망, MDMS(Meter Data Management System, 계량데이터관리시스템)와 운영시스템으로 구성되고 스마트미터 내에 모뎀을 설치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를 말한다.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주문형 반도체), 특정 용도의 집적회로의 총칭으로, 비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또는 SoC라고도 한다.
BM Before Market, 제품 판매 전에 여러가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형성된 1차 시장을 말한다.
BMT Benchmark Test, 일반적인 성능 테스트와는 달리 실존하는 비교 대상을 두고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CAMP Crash Avoidance Metrics Partnership, 1995년 교통안전 개선을 위해 승용차에 사고 회피 방안을 가속화하도록 Ford사와 GM사에 의해 결성된 조직이다.
CAMP VSC3 Crash Avoidance Metrics Partnership Vehicle Safety Communication 3, CAMP에서 만든 보안규격으로서, 포드, GM, 혼다, 토요타, 현대기아 등 세계 여러 자동차 회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CAMP VSC3 규격에서는 암호화 관련해서 KMS와 PKI 기술사용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CC Common Criteria(공통평가기준), 정보기술보안평가를 위한 공통평가기준이다.
CCU Communication Control Unit(통신 제어 장치), 통신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제어하는 장치, 데이터 전송회선과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C-ITS Cooperative-ITS(협력-지능형 교통시스템), 차량이 주행 중 운전자에게 주변 교통상황과 급정거, 낙하물 등의 사고 위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CPC Compound Pass Card, 중국 고속도로 상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경로를 추적하기 위해 톨게이트에서 제공되는 카드 형태의 장치
C-V2X Cellular V2X(또는 LTE-V2X), '셀룰러-차량ㆍ사물통신'으로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차량과 차량ㆍ보행자ㆍ인프라 간에 교통 및 도로 상황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DES/3DES Data Encryption Standard, DES는 미국 표준의 56bit 암호키를 사용하는 대칭키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이고, 3DES는 DES 알고리즘을 2 또는 3개의 112bit 또는 168bit 암호키들로 3번 반복 암호화 수행한다.
DPA Differential Power Analysis(차분전력분석), 해킹 공격인 부채널 공격(Side Channel Attack)의 일종이다.
DRBG Deterministic Random Bit Generator(결정론적 난수 발생기), 비밀정보인 초기값 시드(Seed)와 다른 입력들을 결정론적 알고리즘에 적용해 의사난수를 생성하는 장치 혹은 알고리즘이다.
DSRC 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단거리전용통신), 자동 요금징수와 같이 주로 차량과 도로측 간의 근거리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이다.
ECC 타원곡선 암호(楕圓曲線暗號, Elliptic curve cryptography)는 타원곡선 이론에 기반한 공개 키 암호 방식이다. 줄여서 ECC라고 쓰기도 한다. 타원곡선을 이용한 암호 방식은 닐 코블리츠와 빅터 밀러가 1985년에 각각 독립적으로 제안했다. 타원곡선 암호가 RSA와 같은 기존 공개 키 암호 방식에 비하여 갖는 가장 대표적인 장점은 보다 짧은 키를 사용하면서도 그와 비슷한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ECDSA 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타원곡선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 타원곡선을 이용한 전자서명 알고리즘이다.
ECIES Elliptic Curve Integrated Encryption Scheme(타원곡선 통합 암호화 방식), 타원곡선 암호를 이용한 비대칭 암호화 방식이다.
ESAM Embedded Secure Access Module
ETCS (ETC)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자동 요금징수시스템, 하이패스)
ETSI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유럽통신표준협회), 유럽시장의 단일화 추진으로 정보통신 분야의 유럽 공통 규격 제정을 위해 1988년 설립되었으며, CEN(유럽표준화위원회), CENELEC(유럽전기표준화위원회)와 더불어 EU 통합을 위한 3대 표준화 단체이다.
FA (Fault injection Attack)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암호칩에 인위적으로 오류를 주입 또는 발생시켜 암호 알고리즘 동작/수행을 방해함으로써 칩에 내장된 정보를 찾아내는 공격으로, 이 중 레이저를 이용한 오류주입공격은 특히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된 바 있다
FIPS 140-2 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 140-2, 미국 정부 표준으로서,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는 암호 모듈의 보안 요구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HIGHT
Algorithm
RFID, USN 등과 같이 저전력, 경량화를 요구하는 컴퓨팅 환경에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2005년 KISA, ETRI부설연구소 및 고려대가 공동으로 개발한 64비트 초경량 블록암호 알고리즘이다.
HSM Hardware Security Module(하드웨어 보안 모듈), 안전 하고 강한 인증에 디지털 키를 관리하고 해독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 cryptoprocessing 을 제공하는 물리적 컴퓨팅 장치이다.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전기전자 기술자 협회), 전기전자공학 전문가들의 국제조직이다.
IEEE 1609 IEEE 802.11p 기반의 상위 계층 표준이다.
IEEE 802.11p 차량 이동 환경에서의 무선 액세스(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WAVE)를 추가한 IEEE 802.11 표준의 승인된 수정판이다.
IoT Internet of Things(사물인터넷),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 즉,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IP Intellectual Property(설계 자산),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고 재사용이 가능한 회로 또는 칩 설계 자산을 말한다.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지능형 교통시스템), 기존의 교통 시설물(도로 신호시스템, 도로 안전시설 등)에 첨단 전자, 통신, 제어기술을 접목시켜 기존 도로의 처리용량을100% 활용하도록하는 시스템이다.
KCMVP Korea Cryptographic Module Validation Process(국내 암호 모듈 검증)으로서 KCMVP는 국가·공공기관의 중요정보 보호를 위해 암호모듈의 안전성과 구현 적합성을 검증하는 제도 /국가·공공기관에암호모듈납품시 필수 사항이다.
MAC Media Access Control(매체 접근 제어), 자료 전송 프로토콜의 하부 계층이며 일곱 계층의 OSI 모델에 규정된 데이터 링크 계층의 일부이다.
MobiNixGene Mobile Technololgy Gene, 당사 독자 모뎀 기술 브랜드
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모뎀), 정보 전달(주로 디지털 정보)을 위해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에서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기 위해 복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mPERS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의 약어로 사용자가 언제든지 버튼 하나로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의료경보시스템 및 장치이다.
LEA 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의 준말인 LEA는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개발한 128비트의 데이터 블록을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으로, AES의 연산속도보다 훨씬 빠르며 초경량화 암호인 HIGHT보다 더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추구하였다.
LoRa Long Range의 약어로 서비스범위(커버리지)가 10km 이상의 광역으로 매우 넓고, 초당 최대 수백 킬로비트(kbps) 이하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전력 소모가 적은 무선 광역 통신망(LPWAN) 이다.
LPWAN Low Power Wide Area Network(저전력 광대역 통신망), 우리에게 익숙한 Wi-Fi, Bluetooth의 경우,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통신이지만 통신 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만약 통신 범위가 넓은 응용이 필요하다면 Cellur N/W와 같은 3G, 4G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저용량 데이터를 취급하는 사물인터넷의 경우, 해당 데이터에 3G, 4G 데이터 요금을 내는 것은 불합리 할 수 있다. 시장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이 개발되어 서비스 중이며, Sigfox, LoRa, NB-IoT 등이 LPWAN의 대표 통신 기술이다. 국내에서는 SK 텔레콤이 LoRa와 LTE Cat.M1 (2018년 6월 기준), KT는 NB-IoT 망을 선택하여 서비스 중이다.
NHTSA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미국 도로교통안전국)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
OBU On Board Unit(차량 탑재 장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다중 반송파(multiple carrier frequencies)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방식이다.
PHY Physical layer(물리 계층), 어떤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기본 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기술들로 구성된다. 네트워크의 높은 수준의 기능의 논리 데이터 구조를 기초로 하는 필수 계층이다. 다양한 특징의 하드웨어 기술이 접목되어 있기에 OSI 아키텍처에서 가장 복잡한 계층으로 간주된다.
PIO Port Installed Option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공개키 기반구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인증서를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사용자, 정책 및 제도 등을 총칭하여 일컫는다.
Plugtest 또는
Plugfest
상호 호환성 및 운용성 시험
RF Radio Frequency(무선 주파수), 전파(電波)에 의한 무선통신 응용에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이다.
ROA Rear Occupant Alert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을 레이더로 감지, 영유아 차량 방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로 차량안에 사람이나 동물 측 생명체에 대하여 호흡, 맥박 감지하여 차량내의 생명체가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모듈장치
RSA RSA(Rivest-Shamir-Adleman)는 공개키 암호시스템의 하나로, 암호화 뿐만 아니라 전자서명이 가능한 최초의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다. RSA가 갖는 전자서명 기능은 인증을 요구하는 전자 상거래 등에 RSA의 광범위한 활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1978년 로널드 라이베스트(Ron Rivest), 아디샤미르(Adi Shamir), 레너드 애들먼(Leonard Adleman)의 연구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RSA라는 이름은 이들 3명의 이름 앞 글자를 딴 것이다. 이후 1997년 세상으로 발표되게 된다.
RSU Road Side Unit(노변 기지국 장치)
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미국 자동차 공학회)
SCMS Security Credential Management System(보안 인증서 관리 시스템)
SHA Secure Hash Algorithm(안전한 해시 알고리즘) 함수들은 서로 관련된 암호학적 해시 함수들의 모음이다. 이들 함수는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1993년에 처음으로 설계했으며 미국 국가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1995년 SHA-1이 발표되었으며, 그 후에 4종류의 변형, 즉 SHA-224, SHA-256, SHA-384, SHA-512가 더 발표되었다. 이들을 통칭해서 SHA-2라고 하기도 한다.
Side Channel
Attack
부채널 공격, 암호학에서 부채널 공격은 알고리즘의 약점을 찾거나(암호 해독과는 다름) 무차별 공격을 하는 대신에 암호 체계의 물리적인 구현 과정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공격 방법이다.
SoC System on Chip(단일 칩 시스템), 하나의 집적회로에 집적된 컴퓨터나 전자 시스템 부품을 가리킨다. 디지털 신호, 아날로그 신호, 혼성 신호와 RF 기능 등이 단일 칩에 구현되어 있다.
SiP System in Package, 하나의 패키지 안에 여러 개의 칩을 적층 또는 배열하여 하나의 독립된 기능을 가진 것을 말한다.
SPA 단순전력분석(Simple Power Analysis), 해킹 공격인 부채널 공격(Side Channel Attack)의 일종이다.
S/W Stack 컴퓨팅에서 소프트웨어 스택은 애플리케이션 지원에 추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는, 완전한 플랫폼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소프트웨어 하위 시스템 또는 구성 요소들의 모임이다.
Tamper
Protection
임의의 위조와 변조를 방지하는 것이다.
TDES 또는
3DES
트리플 DES(Triple DES)는 각 데이터 블록에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DES)을 세번 적용한 트리플 데이터 암호화 알고리즘(TDEA 또는 트리플 DEA) 블록 암호에 대한 일반적인 이름이다.
TPM Trusted Platform Module(신뢰 플랫폼 모듈), 컴퓨팅 환경에서 암호화 키를 저장할 수 있는 보안 암호 처리자를 자세히 기록한 규격의 이름을 말한다.
Transceiver 전송기(transmitter)와 수신기(receiver)를 하나의 패키지에 합한 것이다. 이 용어는 휴대폰이나 무선 전화기, 휴대용 무전기 등과 같은 무선 전송장치들에 적용되며, 아날로그나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TRNG True Random Number Generator(진 난수 발생기), 물리적 잡음을 기반으로 난수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TTA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대한민국의 기술 연구 단체로 정보통신분야의 표준화 활동 및 표준 제품의 시험인증을 위해 만들어진 단체이다.
US. DO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미국 교통부)
UWB Ultra-WideBandUWB 중심 주파수의 20%이상의 점유 대역폭을 차지하는 시스템이나 500MHz 이상의 점유 대역폭을 차지하는 무선전송기술
V2X Vehicle to Everthing, 차량과 인프라(V2I, Vehicle to Infra), 차량과 차량(V2V, Vehicle to Vehicle), 차량과 보행자(V2P, Vehicle to Pedestrian) 등 차량을 중심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각종 교통ㆍ도로상황ㆍ차량ㆍ보행자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는 기술이다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IEEE에서 제정한 차량용 무선 통신 표준(IEEE 802.11p)으로 노변, 차량 간 통신들을 통하여 공공의 안전 및 개인 통신을 지원하는 중거리, 단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다.
부채널 공격 Side Channel Attack 참조.
비면허 대역 정해진 용도 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된 주파수대역으로, 누구나 기술기준에 맞춰 서비스를 발굴해 제공할 수 있다. 대표적인 비 면허 주파수 대역 서비스로는 와이파이가 있다.
오류주입 공격 Fault injection Attack 참조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이다.
5GAA 5G Automotive Association(5G 자동차 협회)
5G-NR-V2X 5세대(5G) 이동통신의 초저지연 성능을 활용, 자동차 안전과 자율주행 성능을 높이는 기반기술이다.

 

라닉스 주요제품

 

제품은 DSRC 칩(MaaT 시리즈)과 스마트폰 배터리의 보안 및 인증 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품은 RF 칩으로 DSRC 칩과 연동되는 상품으로 DSRC 모듈 제작업체에 필요한 품목입니다. 용역매출은 전자통신연구원 등 관련 연구소 및 업체로부터 라닉스 제품 및 공정과 연동된 용역에 한정하여 수행하고 있습니다.

 

 

라닉스 매출실적

 

1990년대 이후 급증하고 있는 차량들로 인하여 교통사고와 교통혼잡 등 많은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첨단 교통체계들이 꾸준한 연구를 통해 수립되어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라닉스는 2003년 09월 26일에 설립되어 자동차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핵심 반도체 제품을 꾸준히 개발해오고 있습니다. 자동차 무선 통신 분야에 필요한 시스템 반도체 뿐만 아니라 RF 칩, 보안 칩, S/W, H/W 시스템 등 토탈 솔루션을 꾸준히 개발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보안 분야의 기술과 제품을 축적해 오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최초의 국가인증 보안 칩을 개발 생산하고 있습니다.

라닉스는 1990년대 말부터 국내에서 추진되어 온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의 핵심기술인 5.8GHz Active DSRC 자동차 통신 솔루션을 연구개발을 통해 상용화하여 시장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는 차세대 협력-지능형 교통시스템(Cooperative-ITS) 및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 기술인 IEEE 802.11p 표준의 5.9GHz WAVE V2X 통신 통합 솔루션을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개발하여 국내는 물론 해외로의 사업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V2X 기술로 표준화가 추진된 Cellular V2X(C-V2X, 5G-NR-V2X) 관련한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물인터넷 및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함께 필요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는 보안기술에 대한 핵심 솔루션들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해커들의 공격이 사이버 세계에서 정보 유출 또는 금전적 취득을 목표로 하였다면, 최근에는 현실 세계에서 IoT를 통한 보안, 제조 및 서비스업 등 모든 사업분야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를 통한 해킹으로 개인의 생명과 국가 기반시설까지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보보호에 대한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는 제품 및 서비스의 기획 및 설계 단계부터 보안의 내재화를 목표로 3대 추진 전략과 각 전략 핵심 과제를 도출하였으며, 라닉스는 Security Frontier 전략의 3계층 9대 핵심기술 개발 중 IoT 디바이스 보안을 위한 기기 위조 및 변조 방지용 보안 SoC 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LTE -M, LoRa, OCF, Sigfox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에 모두 공통으로 사용이 가능한 초경량, 저전력 보안 칩을 국가 연구 프로젝트로 개발하였습니다.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는 사업 범위 확대를 위해 IoT 산업과 함께 빠르게 형성되고 있는 저전력 광대역 통신(LPWAN, Low-Power Wide-Area Network)과 관련한 사업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헬스를 위한 LTE Cat1 기반의 mPERS(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와 24/60GHz Radar Sensing ROA(Rear Occupant Alert)를 신규 사업군으로 분류하여 솔루션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첨단교통시스템의변천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 개선을 위해 교통시스템이 점차 첨단 지능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까지는 교통 통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이 도로 환경에 구축되어 센터 중심의 일 방향(One-way) 교통 서비스가 제공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지능형 교통시스템은 사후관리 중심의 교통체계로서 교통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었으며, 2010년대에 들어 교통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사전에 교통사고 및 교통 혼잡 등을 미리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협력-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환경 구축이 진행되어 왔고 현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차세대 협력-지능형 교통시스템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도로상의 자동차들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자동차, 사람, 자전거 그리고 인프라(기지국, 신호등 등)들과 서로의 위치 정보,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등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기술이 핵심기술로서 지원되어야 합니다. 지난 10년간 미국, 유럽, 일본 그리고 국내에서는 V2X 통신기술에 대한 기반기술 개발과 표준화 그리고 시범사업과 실증사업을 거쳐 실제 도로상으로 확대 구축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검증 과정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V2X 통신기술이 지원되면서, 미국의 NHTSA(미국 도로교통안전국)에서 정의한 레벨2 이상의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라닉스는 사업 초기부터 첨단 교통시스템의 주요 기술 개발에 주력해 왔으며,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핵심기술인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단거리 전용통신) 통신 솔루션과 협력-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기술인 V2X 통신 통합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V2X 통신 통합 솔루션의 경우, 라닉스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시스템 반도체(통신 모뎀+보안 칩, RF 칩) 솔루션과 S/W, H/W 솔루션을 모두 보유하고 있습니다.

 

1) 국내 DSRC(ETCS) 통신 솔루션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핵심기술인 DSRC 통신기술은 자동차 전용 단거리 무선 통신기술로서, 도로변에 위치한 노변 장치(RSU, Road-Side Unit)와 이 통신영역을 통과하는 차량 탑재장치(OBU, On-Board Unit) 간에 양방향으로 데이터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국내에서는 표준화 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ITS Korea)가 5.8GHz 대역의 Active DSRC 통신방식을 ITS 실현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표준(TTAS.KO 06.0025, ITSK 00021)으로 제정하였으며, 현재 다음과 같은 서비스 시스템에 DSRC 표준기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① ETCS(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자동 요금징수시스템인 Hi-pass 시스템
② 주차장 관리 시스템 : 인천국제공항 등 주차요금 자동징수 시스템
③ 교통정보 시스템 :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교통정보 서비스 시스템

 

고속도로 smart etcs(좌)와 인천국제공항 주차장 하이패스 결제(우)

라닉스는 국내 표준에 준한 DSRC 통신 칩과 S/W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여 현대ㆍ기아자동차, GM대우자동차 그리고 주요 수입 자동차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ETCS(Hi-Pass) Before Market의 85%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2019년 4월부터 라닉스의 통신 칩을 적용한 After Market용 ETCS 단말기를 시판하여 Before Market과 After Market 전체 석권을 목표로 영업활동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2) 중국 DSRC(ETCS) 통신 솔루션

중국은 2008년 우리나라와 유사한 사양의 5.8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DSRC 통신방식을 ETCS 통신의 국가 표준(GB/T 20851.x)으로 제정하였으며, 2017년 전국 고속도로에 ETCS 네트워크를 구축하면서 한 해의 ETCS 단말기 판매대수가 2,000만대 이상으로 급성장하였습니다.

라닉스는 현재 100% After Market인 중국의 ETCS 시장이 국내 시장과 마찬가지로 몇 년 내에 Before Market으로 변화될 것에 대비하여, 자동차 제조사들의 요구사양을 모두 만족하는 Before Market 전용의 DSRC(ETCS) 칩과 S/W 솔루션을 개발하여 중국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9년 5월 중국 국무원의 ETC 확대 방안을 발표하면서 빠르게 중국내에서 Before Market이 형성되고 있으며, 라닉스도 중국내 자동차 OEM사, 그리고 Tier1, Tier2들과 기술 및 사업 협력을 통해 시장 진출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3) WAVE V2X 통신 솔루션 

C-ITS 및 자율주행자동차 실현을 위해서는 V2X 통신기술이 반드시 지원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표준으로 정립한 것이 IEEE 802.11p 표준의 WAVE V2X 통신기술입니다.

v2x 통신 연결성

 

라닉스는 2010년부터 WAVE V2X 통신기술과 관련한 다음의 토털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① IEEE 802.11p 표준 기반의 Modem/MAC 칩
② IEEE 802.11p 표준 기반의 RF Transceiver 칩
③ IEEE 1609.2 표준의 V2X 통신 보안(Security) 칩
④ IEEE 1609.2/3/4 표준의 S/W Stack
⑤ 전장 기반의 H/W 회로 기술

 

현재 국내는 물론 전 세계에서도 유일하게 WAVE V2X 통신기술의 토털 핵심 솔루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해외 경쟁 솔루션들의 경우는 Chipset과 S/W Stack 등이 서로 다른 기업에서 이원화 개발되어 솔루션 간의 인터페이스 호환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문제 발생 시 기술지원도 원활하지 못하고 솔루션 확보에도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라닉스는 Chipset과 S/W Stack 등 토털 솔루션을 자체 일원화 개발하여, 해외 솔루션 사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국내외 시장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4) 5G-NR-V2X 통신 솔루션

라닉스는 지난 10년간의 WAVE V2X 통신 솔루션 개발을 통해 OFDM modulation 방식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MobiNixGene이라고 하는 고유의 통신 알고리즘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5G-NR-V2X 통신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2020년 7월 3GPP에서 5G-NR-V2X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을 제정함에 따라 라닉스도 본격적인 솔루션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G-NR-V2X의 S/W Stack은 이미 라닉스에서 확보하고 있는 IEEE 1609 표준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현재는 모뎀 칩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활용도에 따라 IEEE의 WAVE V2X와의 혼용이 가능하도록 SDR 기반의 통신 통합 SoC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기술 개발 내용입니다.

1     SDR 기반 통합 통신 기능 구현을 위한 SoC 플랫폼 설계

2     5G-NR-V2X 통신 모뎀 SDR 개발

3     WAVE 및 IEEE802.11b/d 통신 모뎀 SDR 개발

4     V2X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장된 초고속 V2X 보안 IP 개발 

5     차량 통신 정보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초고속 인터페이스 개발

6     통합 통신 SoC를 이용한 OBU 개발 및 기능검증

 

(나) 보안 및 인증 솔루션 

라닉스는 다양한 보안 분야 중에서도 IoT 디바이스 및 자동차 보안에 조금 더 특화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IoT 디바이스와 자동차 모두 기술 자체 또는 구현하는 방법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보안 취약점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요구사항과 적합한 보안기술이 필요합니다.

미국 연방정부 정보처리 표준인 FIPS 140-2는 IT 제품이 기밀은 아니지만, 보안에 민감한 용도로 사용될 때 충족해야 하는 암호화 및 관련 보안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FIPS 140-2 인증은 제품의 보안 수준을 4 등급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① Level 1 : 소프트웨어만 암호화하는 제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매우 한정적인 보안 요건이 적용됩니다.
② Level 2 : 역할 기반 인증이 필요합니다(개별 사용자 인증은 필요하지 않음). 또한 물리적 잠금장치 또는 불법 변경 검증수단을 사용하여 물리적 불법 변경을 감지할 수 있는 역량을 요구합니다.
③ Level 3 : 분해나 변형이 어렵도록 물리적 불법 변경 방지 기술을 추가하여 해킹을 극도로 어렵게 만들어야 합니다. 불법 변경이 감지되면 해당 장치는 중대한 보안 변수를 삭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Level 3은 또한 강력한 암호화 보호 및 키 관리, ID 기반 인증 및 중대한 보안 변수가 입력 및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논리적 분리를 요구합니다.
  ④ Level 4 : 진일보한 불법 변경 방지 기술이 포함되며, 물리적으로 보호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제품에 적용됩니다.

 

라닉스는 제품의 보안 요구 수준에 맞추어 최적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 수준별 보안 칩 및 S/W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정품 인증 솔루션

FIPS 140-2 Level 2 정도의 수동적 보안 기능을 제공하지만, 세계 보안 칩 수익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 Anti-Counterfeit (위조 또는 복제 방지)

- Brand Protection (브랜드 보호)

- Authentication (인증)

에 적합한 인증 칩을 개발하여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2) IoT 보안 솔루션 

미래창조과학부의 '정보보호 핵심원천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경량 및 저전력 IoT 디바이스용 수동적 방어 보안 칩과 해커들의 부채널 공격, 오류 주입 및 침투공격을 방어할 수 있는 강력한 보안 기능의 능동적 방어 보안 컨트롤러 등을 개발하여 판매를 위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방, 의료, 전력 등과 같은 정보 및 데이터 보안이 중요한 산업 분야에서는 선도적으로 정보보호를 위해 보안 기능의 탑재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공기업 또는 공공기관 주도 사업의 경우에는 국산 암호화 알고리즘(ARIA 등)을 적용하여 국내 암호모듈 검증 규격인 KCMVP(Korea Cryptographic Module Validation Process) 인증을 획득한 보안 솔루션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국산 암호화 알고리즘을 하드웨어 칩으로 제작과 인증을 획득한 제품이 부재하여, 차선책으로 보안 CPU 또는 범용 CPU에 국산 암호화 알고리즘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고 인증 받은 솔루션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가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정보보호시스템은 KCMVP 인증을 받은 암호 모듈을 필수로 탑재해야 하며 2020년 5월 11일 라닉스RS2332암호 칩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체2등급 인증을 획득, 기존의 KCMVP 인증 제품과 비교해 가장 높은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번 인증 획득으로 강력한 IoT보안 칩이 탑재되어야 하는 전력, 수도, 가스 등 스마트 미터링 사업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이 밖에도 IoT 시장이 성장하면서 가정 내/외부 네트워크 통신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Wall-pad, 인터넷 공유기, 가전 등의 영상 및 데이터 정보가 외부에 유출이 될 수 있어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강력한 보안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3) TPM(Trusted Platform Module) 기반의 보안 솔루션

라닉스는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플랫폼 보안, 네트워크 보안 및 어플리케이션 보안을 지원하는 All-in-One 보안 칩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코드 서명 값과 Trust Chain을 활용한 플랫폼 보안

 - 플랫폼 무결성 값과 플랫폼 Parameter를 원격으로 입증하여 네트워크 신뢰

 - 안전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고성능 암호화 프로세서 내장

또한 정보기술 보안평가를 위한 공통평가기준(Common Criteria)의 EAL4+ 등급의 인증 획득을 위한 시험평가 자료를 완료하고, 외국 인증기관과 일정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4) 자동차 보안 솔루션 

자동차 내부에 안전성, 편리성 및 효율성의 증대를 위해 많은 첨단 전자장치들이 탑재되면서, 전자장치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CAN, LIN, MOST, Ethernet과 같은 유선 통신망이 차량 내부에 빠르게 구축되고 있습니다.

반면, 이들 통신망에 접속한 해커들의 공격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최근에는 V2X 무선통신에 의해 차량 외부와의 접속이 가능해지면서, 전자장치에 대한 해커들의 공격은 더욱 용이해지고 자동차 제조사들은 해킹 공격으로부터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수단으로 HSM(Hardware Security Module)의 적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에 대한 해킹이 위험한 것은 해커들의 공격에 의해 전자장치들이 오동작 하거나 고장이 발생하면, 곧바로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FBI는 이미 오래 전부터 사람이 운전에 관여하지 않는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 사람의 생명을 해치는 심각한 무기로 돌변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라닉스는 이러한 위험에서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해 HSM에 탑재되는 보안 칩과 S/W 솔루션을 개발 완료하여 프로모션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보안 칩에는 해커들의 부채널 공격으로부터 암호화 키를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 알고리즘에 Masking 기법과 Hiding 기법이 적용되어 있으며, 오류 주입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비정상의 전압, 전류, 클럭, Glitch 등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또한 최근 들어 V2X 통신에 적용 가능한 전용의 V2X Security 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2021년 하반기 상용화를 목표로 이를 특화한 보안 칩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IEEE 표준 이외에 중국의 V2X 보안 표준도 적용되어 개발되고 있습니다

 

(다) LPWAN(Low-Power Wide-Area Network) 플랫폼 

사물인터넷의 경우 시공간의 제약 없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Bluetooth 및 Wi-Fi 등의 기술적 단점을 보완한 저전력 광역 통신(LPWAN) 기술이 제안 되었습니다.

LPWAN 기술들은 안정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위해 주로 비 면허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접속 안정성 및 커버리지 측면에서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소비전력 및 데이터 전송속도를 크게 낮추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라닉스는 현재 LPWAN을 선도하는 기술 중에서 전체 LPWAN 시장의 35%를 차지하고 있는 전용망 방식의LoRa 기술과 관련된 플랫폼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비전용망 방식(면허 대역)은 기존 LTE 망을 활용으로 네트워크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시스템으로, 응용 시장의 창출을 위해 LTE-M 관련한 사업 또한 병행으로 상반기에 사업성과 개발을 검토하여, 개인 응급 시스템(mPERS :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 )의 개발이 2020년 시제품에 이어 2021년 사업화를 목표로 현재 진행되고 있습니다.

 

1) LoRa 플랫폼 

LoRa 통신기술의 적용이 가능한 응용분야는 물체의 위치 추적, 스마트 원격검침, 스마트 주차 그리고 스마트 신호등 제어 등 매우 다양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oRa 단말장치는 LoRa 통신 모듈(또는 Processor)과 필요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센서 그리고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각종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됩니다.

 

 

라닉스는 고객들이 보다 손쉽게 LoRa 단말장치를 개발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LoRa 플랫폼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라닉스의 LoRa 플랫폼은 앞에서 언급한 Secure LoRa Processor에 LoRa S/W Stack을 자체적으로 구현하고, 각종 센서와 외부 인터페이스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H/W 및 S/W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들의 요청에 의해 라닉스 LoRa 플랫폼을 적용한 모듈과 단말장치를 개발하여 판매하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2) mPERS(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
  

고도의 산업화를 거쳐 고령화 사회에 들어선 선진국형 서비스로서 개인의 건강과 응급 상황에 대한 응급구호를 필요로 하는 건강 서비스에 관심과 요구가 확대되고 있는 사회 현상에 mPERS는 기존 LTE 통신 기반의 관련 시스템과 디바이스로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라닉스는 LTE-Cat.1 및 LTE-Cat.M1프로토콜을 이용한 디바이스를 개발하여 신규 시장을 창출하고자 mPERS 디바이스의 개발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UWB(Ultra-WideBand) 

UWB는 중심주파수20%이상 점유 대역폭을 차지하는 시스템 또는  500MHz이상 점유 대역폭을 차지하는 무선전송기술로서 주파수 부족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무선 전송 기술이며 UWB가 상용화될 경우 대용량의 고화질 및 고음질 동영상 정보의 기기 간 전송 을 요구하는 기술 등 다양한 수요가 예측되는 분야입니다. 라닉스는 인체 감지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스마트 홈, 스마트 오피스, 조명 제어, 헬스케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으며 신규 시장을 창출하고자 모듈과 디바이스 개발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4) ROA (Rear Occupant Alert)

ROA는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을 레이더로 감지, 영유아 차량 방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로 차량안에 사람이나 동물 호흡 및 맥박을 감지하여 차량내의 생명체가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입니다.
라닉스는 인캐빈(In-Cabin) 센서 시장에 수요가 클 것 이라 예측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토대로 하여 호흡, 심박수, 생체움직임 등의 레이더센서가 움직임을 파악하여 클러스터 계기판 알람 및 경보음 및 문자 메세지를 발송 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플랫폼  개발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