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IT-SW

시티랩스(CTLS) 주가전망 및 배당금 - 지능형교통시스템 ITS,스마트시티

.^. 2021. 8. 31.
반응형

시티랩스의 명칭은 "주식회사 시티랩스"이라고 칭하고, 영문으로는 "CityLabs Co.,LTD."라고 표기합니다. 단, 약식으로 표기할 경우 "CTLS" 라고 표기합니다.

중소기업에 해당됩니다

 

2006년 2월 20일 설립되어 2011년 5월 27일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승인받아 회사의 주식이 2011년 7월 29일자로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 본사 및 공장 주소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 153-32, 3층
- 전화번호 : 031-388-4800
- 홈페이지 : http://www.citylabs.co.kr

 

- SOC 사업부문(ITS,스마트시티 등)

 

SOC 구축 전문기업으로서 회사 설립 이래 기술력을 바탕으로 SOC 사업에 대한 입지를 구축하여 왔습니다. 최근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판 '뉴딜정책'을 시행, SOC 사업에 정책적 투자가 진행되고 있어 시티랩스는 기존 SOC 사업 경험과  최근 공격적 투자를 진행 중인 시티랩스의 신규 사업부문인 4차 산업관련 기술 도메인(AI,BigData,Blockchain,IoT,전기차 충천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 사업에 참여하며 기술 기반 SOC 사업 비중 확대를 통한 원가 개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국가 기간산업이라는 특성과 매출처가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 조직이라는 특성은 SOC 산업의 큰 특징이며, 산업 내에서 안정적인 매출 및 영업을 영위하게끔 하는 요인 입니다. 또한 이러한 특성은 각각의 지방자치단체의 도시환경에 따라 복잡,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커스텀마이징(Customize)과도 연결됩니다. 때문에 SOC 산업은 정보 시스템과 관련한 기술, 도시환경에 따른 디바이스 구축 및 건설 Know-how 등을 뒷받침한 전체적인 프로젝트 매니징(Project Managing) 능력이 요구됩니다.

 

- 신규 사업부문(ICT기술부문)

 

신규 사업부문인 4차산업 기술요소 기반 ICT 사업분야는 현재까지 인적, 물적 투자를 진행하여, 관련 사업부와 연구소를 신설한 후 우수한 인재 영입을 통해 민간 및 관급부분 모두에서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IoT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중고물품 플랫폼, AI기반 지하수 실시간 감시시스템, 드론 관리 과학화 ,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5G 기반 대용량 IoT 기술개발, 복지급여 중복수급 방지시스템, 전기차 충전 사업 등 4차산업 혁명 핵심 ICT 기반 사업들에 대한 시장 진입에 성공하였고, 해당 사업 진행 경험은 향후 많은 예산 배정이 예정된 해당 사업 분야에서 시티랩스의 경쟁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시티 챌린지, 스마트타운 조성 사업 등 융복합 단위 사업 참여를 통해 연계사업 진행, 초기 시장 선점 등 지속적 매출 증진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ICT 사업부분은 관급사업 뿐만 아니라, 민간사업 부분에도 널리 이용 될 것으로 보여 기존 시티랩스의 취약점으로 지적되었던 매출의 대부분이 관급사업에서 발생하여 예산에 제약 받는 다는 부분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제4차산업혁명을 이끌 ICT 기술은 국가적으로 육성하는 핵심기술로 모든 사업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어 한국판 '뉴딜정책'의 디지털 SOC, 그린뉴딜 등의 시장규모는 폭팔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해외사업부문

 

시티랩스는 KOICA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수년간 수행한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등 중남미 SOC 사업을 올해 성공적으로 준공하였고, KOICA와 해외 사업을지속적으로 추진,  2020년 현재도 함께 방글라데시 소방방재 역량 강화 사업을 진행하고있습니다.

 

 또한, KOICA는 올해 하반기에 다양한 해외사업을 진행할 예정으로 시티랩스는 예정된 해외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단, 현재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해외사업에 있어서는 변동성이 높은 상황이나, 현재사업 재개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어 사업 참여를 위한 노력을 진행중 입니다.

 

해외국가들 중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지속적으로 KOREA SMARTCITY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와 연계하는 해외사업이 증가하고 있고, 시티랩스는 특히 아시아시장과 중남미 시장의 KOICA 사업 참여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SOC사업은 통상적으로 장기간에 걸친 사업기간이 소요되기에 해외사업에 있어서는 특히 매출채권 회수에 따른 위험관리가 중요합니다.

시티랩스는 KOICA와 함께 사업을 진행하면서 동 위험관리를 성공적으로 이행하고 있습니다. 

 

시티랩스 2020년 배당금은 없습니다.

 

 첫째. 시티랩스의 기존 사업분야인 지능형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

tation System) 구축 용역사업과 CCTV통합관제센터 구축사업으로 기존 사업분야에는 첨단교통신호제어시스템, 자동단속시스템, 도로교통관리시스템, 운전자정보시스템, 최적경로안내시스템, 여행서비스정보시스템, 대중교통정보제공 및 대중교통관리시스템 전자경비시스템,공용체크인시스템, 안전보안시스템, 해상교통관제시스템 구축, 항공관제시스템 구축 등이 포함되며 이 모두를 융합하여 진행하는 스마트시티 구축 사업이 있습니다.

시티랩스는 2020년 6월 제주 스마트시티 챌린지 예비사업에 주관사로 참여 주유소, 편의점 버스정류소를 허브로 신재생 에너지와 e-모빌리티 공유 솔루션을 연계하는 플랫폼 구축 실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2021년 3월 스마트시티 챌린지 본 사업에 선정되어, 시티랩스에 큰 기회가 될 수 있을것이라 내부적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판 '뉴딜정책'을 시행, SOC 사업에 정책적 투자가 진행되고 있어 시티랩스는 기존 SOC 사업 경험과  최근 공격적 투자를 진행 중인 시티랩스의 신규 사업부문인 4차 산업관련 기술 도메인(AI,BigData,Blockchain,IoT,전기차 충천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 사업 참여를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둘째. 시티랩스의 신규 사업부문인 4차산업 기술요소 기반 ICT 사업분야는 현재까지 인적, 물적 투자를 진행하여, 사업부와 연구소를 신설한 후 우수한 인재 영입을 통해

민간부분 및 관급부분 모두에서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IoT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중고물품 플랫폼, AI기반 지하수 실시간 감시시스템, 드론 관리 과학화 ,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5G 기반 대용량 IoT 기술개발, 복지급여 중복수급 방지시스템, 전기차 충전 사업 등 4차산업 혁명 핵심 ICT 기반 사업들에 대한 시장 진입에 성공하였고, 해당 사업 진행 경험은 향후 많은 예산 배정이 예정된 해당 사업 분야에서 시티랩스의 경쟁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판 ‘뉴딜정책’을 통해 시티랩스의 주요 사업들과 관련된 디지털SOC, 그린뉴딜 시장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미 관련 실적과 핵심 역량을 보유한 시티랩스는 실적창출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향후 시티랩스의 기존 사업에 풍부한 경험 및 실적과 신규 사업을 진행하면 추가적으로 확보한 ICT 기술도메인(AI,BigData,Blockchain,IoT, 전기차 충천 등)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및 그린 뉴딜 정책에 이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시티랩스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주)아이지스(주요종속회사)

 

 주요종속회사 (주)아이지스는 1995년 설립된 복층유리생산설비 전문제조업체인    인창실업을 승계하여 공장층축 및 생산설비 확충을 통해 2006년 12월 사업을 개시 하였습니다.

  (주)아이지스의 주요생산 품목은 '복층 유리 자동생산라인' '자동 수평이도면취      기/세척기' '판유리 자동 절단라인' 등 이며, (주)아이지스는 1998년 국내최초로 '     Auto Sealing Robot' 개발, 2003년 세계최초 'Wheel Type Horizontal Arrissing       Machine' 개발, 2007년 아시아 유일 Dual Press 적용 대형 복층유리 제조 Full Lin    e 상용화, 2009년 3중 복층, Step 복층 및 3중+ Step 복층 Gas Filling 기능 상용화    , 2010년 아시아 최초 Foam Spacer Applicator 개발, 세계최초 D-Spacer Applica    tor 및 PIB Applicator 개발(PPP Type) 등의 기술력 보유로 HIgh Speed(시간당 1    20~160ea(조)) 생산, Jumbo Line (세계최대 유리 Size 제조장비 유럽공급(3,210m    m x 12,000mm)), Super Spacer Applicator (간봉 절단 오토밴딩 ~간봉 부착 Pro     cess까지 One-stop처리)등 경쟁사 대비 가격 및 성능 경쟁력이 우수한 복층 유리    자동생산 라인 설비 제작이 가능하여, 현재 아시아 1위 기술력을 보유하였다는 대    내외적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아이지스는 지족적으로 신제품을 연구하며 2018년 9월 시연회를 진행하였으며, 세계로도약하는 글로벌 기업을 슬로건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독일의 비스트로닉사와 공동으로 복층유리 자동 생산라인을 공급하기로최근 합의하였고, 최근 미국 내 현지 에이전트(HHH 社)를 통해 자체 브랜드로 미국 진출에 성공하여, 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였습니다.

 

시티랩스의 주요 제품은 용역서비스이며, 주요종속회사인 (주)아이지스는 복층유리설비 제조판매, (주)케어랩스는 로컬비즈니스 그 외 임대료 및 기타 종속회사는 기타매출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