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제약-바이오

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 주가방향 및 배당금, 글로벌 바이오 유전체 빅데이터 기업/비침습 산전 진단검사

.^. 2021. 7. 20.
반응형

'이원다이애그노믹스 주식회사'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Eone Diagnomics Genome Center Co., Ltd. (약호 EDGC 또는 ED)로 표기합니다.중소기업(중기업)에 해당합니다.

 

2013년 5월 6일에 설립되었습니다.

 

    ① 주소 : 인천광역시 연수구 하모니로 291, 4층(송도동)
  
  ② 전화번호 : 032-713-2100
    
③ 홈페이지 : http://www.edgc.com

 

로벌 바이오 유전체 빅데이터 기업으로 유전체기반 질병진단 및 개인별 유전적 특징 분석기술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후(YouWho), 나이스검사 등 유전체분석과 EDGC-SCAN 액체생검진단을 주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유후는 DNA 분석을 통해 민족 특이적인 유전정보가 어떻게 섞여 있는지를 분석해 개인의 유전적 계보를 알려주는 국내 최초 유전자 혈통분석 서비스 입니다. 

또한 EDGC의 비침습 산전 진단검사(NIPT) 서비스상품인 '나이스(NICE)'와 NGS기반의 체액검사(액체생검, Liquid Biopsy) 등 진단의료관련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유전체분석에 관한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도 유전체분석에 기반한 자신의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DNA App. 등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EDGC는 2020년 9월 21일 이디지씨헬스케어(주)와의 흡수합병을 통하여 체외진단 시약 및 체외진단장비 분야로도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국내 다수의 병의원, 검진센타, 검사수탁기관에 의료용 시약 공급과 코로나 진단키트 등 바이러스 방역 용품을 통한 수익창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EDGC를 포함한 기업집단 소속회사의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 2020년 배당금은 없습니다.

 

EDGC는 글로벌 바이오 유전체 빅데이터 기업으로 2013년5월 국내 임상진단검사 분야 기관인 이원의료재단과 게놈연구 및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반 전문 기술력을 보유한 미국의Diagnomics, Inc.의 한미합작법인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최첨단 유전체분석 기술기반 서비스제공 및IT와 유전체정보를 융합한 빅데이터 구축을 기반으로 글로벌 유전체 리딩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여 다양한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명정보학(BI, Bioinformatics)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질병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하고 유전자 정보에 기반한 맞춤 진단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후(YouWho), 나이스검사 등 유전체분석과 EDGC-SCAN 액체생검진단을 주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유후는 DNA 분석을 통해 민족 특이적인 유전정보가 어떻게 섞여 있는지를 분석해 개인의 유전적 계보를 알려주는 서비스로 국내 전체 유전체 기업 중 유전체 혈통분석 서비스를 최초로 DTC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EDGC의 비침습 산전 진단검사(NIPT) 서비스상품인 '나이스(NICE)'와 NGS기반의 체외진단검사(액체생검, Liquid Biopsy) 등 진단의료관련 서비스를 상용화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유전체분석 장비업체인 일루미나(Illumina)로부터 전략적으로 공급받고 있는 GSA(Global Screening Array) 기반의 MGA chip을 통하여 개인별 유전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서비스를 상용화하였거나 단계적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유전체분석에 관한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도 유전체분석에 기반한 자신의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DNA App. 등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0년 8월 이디지씨헬스케어(주)의 흡수합병을 통하여 체외진단 시약 및 체외진단장비 사업분야로도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국내 다수의 병의원, 검진센타, 검사수탁기관에 의료용 시약 공급과 코로나 진단키트 등 바이러스 방역 용품을 통한 수익창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바이오 신약 연구소 설립하여 유전체 기반 생물 신약 (biologics) 연구 개발에 집중 할 예정이며 Genomics Data Base 를 활용한 in silico 분석을 통한 타겟 선정과 구조분석으로 정확한 바이오 마커 발굴 및 개발, Pharmaceutical Biologics development 및 Pipeline Repurposing Library Screening System 구축 하여 EDGC는 유전체 분석, 진단, 질병 예측 뿐만 아니라 유전체 기반 신약 개발 및 치료제 부분까지 통합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상품 개발을 본격화 예정입니다.

 

유전체 분석 기술은 혈액, 타액 등의 극소량 시료로부터 유전체를 분리, 정제하여 초고속으로 해독한 뒤, 해독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업적, 의학적으로 유용한 유전정보를 획득하고 활용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유전체(Genome, 게놈) 정보는 각 생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DNA(核酸, Deoxyribonucleic acid, 인산, 당, 염기[A, C, G, T의 4종류]로 구성) 정보가 포함된 유전자들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전체를 구성하는 DNA 염기서열해독(sequencing)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의료, 식품, 에너지 등의 다양한 사업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유전체의 개념

 

EDGC가 영위하는 유전체 분석 산업은 바이오산업 생명공학 중 하나로21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산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인류 공통의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도구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선진국들은 지난 수 십년간 생명공학을 핵심전략기술로 판단하여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점차적으로 늘려왔으며 핵심 원천기술개발을 선점하기 위한 각국의 경쟁이 매우 치열한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전체 분석은 생명공학기술이 바이오산업 차원의 발전단계에 진입하면서 이미 보건 의료분야 및 농축산 분야 중심으로 산업화가 점진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연구 축적과 나노바이오, 생물정보학 등 융합기술 발달에 힘입어 유전자를 이용한 진단 사업 및 유전자신약 분야가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희귀질환의 진단, 임상 시험에서 환자군 선별 및 약물 반응 연구, 유전질환의 예방연구와 관련된 연구 등 임상분야에서의 활용이 증가될 것으로 보입니다.

 

990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중국 6개국 과학자로 구성된 대규모 연구팀은 인간게놈프로젝트(HGP, Human Genome Project)에 착수하였습니다. 이 역사적 프로젝트는 2003년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는데, 13년의 프로젝트 기간 동안 무려 30억달러(약 3조4천억원)가 투입되었습니다. 단 한 명의 유전정보를 분석하기 위해 13년의 기간과 30억달러의 비용을 투자한 결과, 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지속적인 기술혁신이 인간유전체 해독과 분석에 따른 비용과 소요시간을 낮추었습니다

 출처: 유전체 연구 및 활용기술. BT기술 동향 보고서 2007-2

 

  2000년대 중반 반도체 칩 형태의 DNA칩이 개발되고, 단 하나의 칩으로 분석 가능한 유전체 정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전체 분석기술을 이용한 질병예측 및 진단, 치료 등의 산업화 과정이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기술에 대한 자동화, 고속화, 분석시간 감소 등의 요구가 증가하면서 한 번의 분석으로 수 십억 개의 염기서열정보 생산이 가능한 NGS기기들이 연이어 개발되었습니다.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이 되면서 또 유전체 분석기기가 발달되면서 인간 유전체의 다양성을 보기 위한 인종별 전체유전체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국제 대형 프로젝트가 연이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 1000 Genome Project는 최초로 시도된 19개 민족 집단 그룹에 대한 전장 유전체를 밝히기 위한 프로젝트로 지금까지도 희귀 variant 로 인한 유전질환을 규명하기 위한 참조패널(Reference panel) 데이터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유전체 분석 대형 프로젝트는 주로 서양 중심으로 이루어진 상황에서 현재 아시아 지역 중심 국제 유전체 프로젝트가 점차 시작되고 있습니다.

또한 2000년 초 유의하다고 이미 결정이 난 유전체 특정 site 만 볼 수 있는 microarray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주를 이루다가 2010년도 NGS 기술이 개발이 되면서 짧은 시간에 많은 유전체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개인의 유전체 전장 유전체 분석이 가능해졌습니다. 따라서 보편적 인간 유전체 정보에서 인종별 유전체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한 국제 공동 연구가 활발해 졌고, 국가별로도 각 국가 민족의 유전체 기본정보, 참조패널(Reference panel)을 구축하기 위한 대형프로젝트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유전체 데이터와 임상데이터를 결합해서 분석함으로써, 유전체에 의한 임상학적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점차적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개인의 유전체에 따라 임상학적 결과에 대한 규명이 가능하게 된 것이므로 개인맞춤형 정밀의학의 시대가 도래하게 된 것입니다. 

 

(가) Cell-free DNA 분석 기반의 독자적 진단 기술

  혈액내 떠돌아 다니는 cfDNA 는 일반 세포에서 유래한 정상적인 유전체 조각이기도 하지만 암세포에서 조직이 파괴되어 암세포 유전자의 cfDNA 가 떠돌아 다닙니다. EDGC는 비침습 산전검사와 모니터링 암유전자 진단 검사를 개발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암세포에서 유래한 cfDNA 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하여 NGS 분석을 실시하여 어느 조직의 암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독자적인 액체생검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미국의 Grail 사가 유수한 대기업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수년간 걸친 연구를 통해 개발하고 있는 기술이며, EDGC는 Grail 사의 기술과 비교해서, 선택적으로 암세포 유전자 만을 증폭하여 NGS 분석을 실시함으로 더 가격 경쟁력이 있으며, 더 정확할 수 있는 진단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EDGC는 비침습 산전검사에 있어서 2019년도 산자부로부터 세계일류상품 인증을받았으며, 현재 폐암에 대해 EDGC의 기술을 가지고 액체생검법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식약처 품목허가를 준비 중에 있습니다. 


(나) 마이지놈어레이(mygenomearray, MGA)칩, 바이오분석기술(BioInformatics, BI)

  EDGC는 유전체분석 및 유전자마커 발굴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하여 꾸준히 기술력을 축적해 온 결과, 2016년 세계최고수준의 유전자연구소와 기업 12개사가 참여한 세계 유전자분석 컨소시엄 GSA(Global Screening Array) 파트너로 선정되었습니다. GSA는 2년 안에 1천만명의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유전자정보분석의 세계기준을 만든다는 목표를 가지고 구성되었습니다.

 

  또한 GSA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어레이 칩은 70여만개의 유전자변이를 한 번에 검사할 수 있는 고밀도 DNA 마이크로어레이 칩으로, 임상연구에 직접 활용 가능한 유전적 변이뿐 아니라 해당 칩을 기반으로 한 각종 검사의 품질관리를 위한 유전자마커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진단검사와 동시에 품질관리까지 수행할 수 있습니다.

  EDGC는 이렇게 GSA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기반으로, 질환의 원인이 되는 특이 유전자마커를 추가로 발굴하여 개인 유전체 분석 및 개인 맞춤의학을 가능하게 하고자 EDGC 고유의 마이지놈어레이(mygenomearray, MGA) 칩을 개발하였습니다. 마이지놈어레이는 글로벌 컨소시엄 GSA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어레이 칩에 EDGC가 별도로 선정한 질병 및 개인의 유전적 특징과 관련된 약 5만여 개의 유전자마커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GSA microarray 칩에 5만여개의 유전자 마커를 추가한 MyGenomeArray 칩

 

EDGC는 현재 마이지놈어레이(mygenomearray, MGA) 칩을 이용하여 신생아 유전질환 스크리닝 검사 bebegene®(베베진), 진료과별 맞춤형 질병예측검사 gene2me®plus(진투미플러스), 안과질환전문 유전체분석검사 MyEyeGene®(마이아이진) 등의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기존의 분석 기준에 인종적 편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간 유전체분석산업의 종주국인 미국이 산업을 주도했고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가 유럽계 미국인 중심으로 집적되어 왔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추어 보았을 때, EDGC가 그간의 연구 노하우를 바탕으로 하여 별도로 추려 포함시킨 약 5만여개의 유전자마커는 한국인 특이적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로, 이를 추가로 포함한 마이지놈어레이는 유전체분석산업의 구조적 취약점을 극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1천만명 이상의 대규모 유전체정보와 세계최고수준의 BI기술을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고밀도 DNA 마이지놈어레이 칩에는 후발 경쟁사가 대규모 자본투자를 통해 추격하더라도 쉽게 따라올 수 없는 EDGC의 독보적 핵심역량이 집약되어 있습니다.

 

(다) NGS 및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기반 서비스용 설비 보유

 1) NGS 기반 서비스용 설비

  EDGC는 MagNAPure 96(Roche), QIAsymphony(QIAGEN), QickGene-810(KURABO) 등의 다수의 핵산 추출 장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Genomic DNA, viral DNA, cell free DNA, RNA를 각각의 추출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자동화 장비로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핵산을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자동화된 초고속 핵산추출 장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Next Generation Sequencer)


  EDGC의 핵산 추출 장비는 추출한 핵산 물질을 UV spectrophotometer 방식으로 0.5ul의 극소량으로 농도 및 순도를 측정할 수 있는 NanoDrop One (ThermoFisher) 장비와 Fluorometer 방식으로 매우 정확하게 핵산 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Qubit 3.0(Invtrogen), 그리고 핵산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동 전기영동 장치인 QIAxcel(QIAGEN)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비를 활용하여 핵산의 농도, 순도, 품질을 정확히 측정하고 있습니다.

 

  EDGC의 서비스 및 연구개발 업무를 위하여 Genomic DNA는 추출한 후 일정한 크기로 조각을 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ultrasonicator 장비 중 가장 기능이 우수한 Covaris M220 장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후 sequencing을 진행하기 위해서 DNA에 barcode를 붙이고 증폭을 하는 등의 library 제작 과정을 거칩니다. 이 library 제작 과정은 그 단계가 복잡하고 제작하는 데에 약 이틀 정도의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manual로 진행하였을 경우 실험자 실수로 인한 오류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습니다.

 

EDGC에서는 이렇게 복잡한 library prepatation 과정에서의 오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전자동시스템인 Apollo 324 장비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NGS 장비인 미국 일루미나와 미국 ThermoFisher의 시퀀싱 장비 (미국 일루미나의 MiSeq 및 NextSeq500 장비, 미국 ThermoFisher의 PGM, PGM Dx, Proton, S5XL 장비 등)를 모두 갖추고 있어 각 검사의 목적에 맞는 최적의 장비들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기반 서비스용 설비

  EDGC는 EDGC의 마이크로어레이 칩인 MGA chip(mygenomearray chip, 마이지놈어레이칩)에 포함되어 있는 질병관련 유전체 변이분석에 필요한 모든 장비를 구비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유전체를 정제할 수 있는 DNA 추출 장비, 혼합 및 세척을 위한 자동화 장비인 Tecan, 항온교반기, 항온반응기, 원심분리기, 전자동 이미지 스캐너 등이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위한 필수적인 기기들이며, 이러한 장비를 이용하여 한 달에 약 5,000 건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1)  R&D 네트워크

  EDGC의 글로벌 R&D 네트워크는 중국과 인도, 유럽지역의 에스토니아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중국 상해의 푸단대(Fudan Univ.) 암병원, 북경의 수도의과대학(Capital Medical University)과 폐암 액체생검 개발(스크리닝) 공동연구 진행을 하고있습니다.

 

현재 기관별 협의를 완료하여, 임상계획서를 수립하고 푸단대 암병원 내 IRB의 심의를 진행중에 있습니다(2020.10). 또한 인도의 Pheonix group과 Rainbow hospital 과 협업을 통해, 인도 하이데라바드 지역에 투자를 검토 중입니다. EDGC가 가진 비침습 산전검사 NICE 와 액체생검의 기술이전을 통해 2021년도 본격적인 인도에서의 사업이 시작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에스토니아와는 간암에 대한 액체생검(스크리닝) 공동연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2) 수출유통과 지사 네트워크 

  EDGC는 2017~2020년도 프랑스, 터키, 조지아, 우크라이나, 중동(전체), 아랍에미리트, 인도, 홍콩,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싱가포르, 미국, 캐나다 등 14개국에서 주요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중 싱가포르, 태국, 미국 등 국가에서 주요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또한 EDGC는 북중미 시장 교두보 확보를 위해 미국 샌디애고에 EDGC Inc,. 미국 지사와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EDGC Asia 홍콩지사를 두고 있으며, EDGC는 미국의 파트너사인 Diagnomics Inc,.를 통해 EDGC의 유전체 비즈니스 시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Diagnomics Inc,.는 EDGC의 설립시 합작 투자한 회사로 미국의 CLIA-CAP 인증을 받은 회사이며, 미국, 북미, 중남미, 유럽 등의 서비스 사업을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홍콩의 EDGC Asia는 홍콩, 중국, 베트남에 병원 검사 서비스 제공 및 패키지 상품을 보급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COVID-19 출현으로 인한 전세계적 Pandemic 상황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한 진단키트 및 이와 관련된 품목의 공급을 주력으로 신사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헬스케어 부문 주요한 신사업 관련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OVID-19 RT-PCR Kit(COVID-19 확진검사키트)

  이번 COVID-19 Pandemic 사태에서 가장 부각된 검사키트로, EDGC는 독보적인 PCR 기술을 보유한 솔젠트(주)의 ‘DiaPlexQ (2019-nCov)Detection kit’를 납품 받아 미국, 에스토니아를 비롯하여 세계 각지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솔젠트(주)의 검사키트는 99% 정확도를 가지고 있으며 2시간 이내라는 짧은 시간 내에 검사 결과를 확인 가능합니다. 아울러 EDGC는 솔젠트(주)의 대주주로서, 솔젠트(주)와 긴밀한 협조를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해서도 대비하고자 계획 중에 있습니다. 

 

  EDGC는 COVID-19 바이러스 및 독감을 동시에 검사하는 키트의 개발 등 차별화된 상품의 개발 및 솔젠트(주)의 뛰어난 분자진단기술을 활용하여 또 다른 전염병이 창궐 시 신속히 대체할 수 있는 방안들을 논의 중에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을 통하여 COVID-19로 인해 얻게 된 시장의 관심과 경제적인 수혜를 일시적이 아닌 COVID-19 종식 후에도 지속하고자 노력 중입니다.

 

2) COVID-19 Clinical Viral Transport Medium(COVID-19 검체 채취 및 보관/이동키트)

  COVID-19 검사에 필수적인 물품 중 하나로, 검사 대상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는 도구인 면봉(Swab) 과 검체를 검사기관까지 오염없이 보내는데 쓰이는 검체운송배지(VTM)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 상품은 COVID-19 검사에 필수적인 물품이라는 점 이외에도 일반 독감 검체 채취에도 사용 가능하여 COVID-19 Pandemic사태가 해소되더라도 충분한 수요가 있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수익 창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3) COVID-19 IgM, IgG Test Kit (COVID-19 항체진단키트)

  기존의 COVID-19 PCR KIT는 통상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2시간이 넘게 걸리는 반면, EDGC가 공급하는 항체진단키트는 고유의 면역진단 플랫폼과 측정기술을 사용해 2분 내에 검사가 가능합니다. 기기 분석 시간은 5초에 불과해 연속 검사 시에는 1시간 내에 100건의 검사도 가능한 현장 진단형 제품이라는 것이 특징이며, 아울러 검사 결과를 ‘Analyzer’기기를 통해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것 또한 장점입니다. 본 키트는 공항, 항만 등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인원의 검사를 요하는 현장에서 특히 유용할 것으로 보여지며,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세계 각지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EDGC는 Real-time PCR Kit(COVID-19 확진검사 키트), Clinical Viral Transport Medium(COIVD-19 검체채취 및 보관/이동 키트), COVID-19 IgM,IgG Kit(COIVD-19 항체 진단 키트), 검진 기자재(비접촉식 적외선 체온계 등) 등 상품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새로운 상품군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향후 EDGC는 미국, 중국, 인도 등 세계 각지에 퍼져있는 인적, 물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수요를 파악하고, 각 국가별 상황에 맞는 품목을 선정, 안정적인 공급망을 통해 고품질의 상품을 신속히 공급하고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 주요제품 및 서비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