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제약-바이오

젬백스 사업 및 주가전망, 배당금 - 케미컬 필터/ 필터 제조 및 대기 오염/악취 방지 장치설비/ GV1001/췌장암, 전립선비대증, 알츠하이머병

.^. 2021. 7. 9.
반응형

주식회사 젬백스&카엘이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 GemVax&KAEL Co.,Ltd. 이라 표기합니다. 단 약식으로 표기할 경우에는 젬백스(영문명 : GemVax)이라고 표기합니다.

중소기업에 해당됩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Coating Resin, 필터의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주목적으로 1998년 03월 10일 설립되었습니다. 또한 2005년 6월 22일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승인받아 회사의 주식이 2005년 06월 24일자로 상장되어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가 개시되었습니다.

 

 

  1) 주      소 : 대전시 유성구 테크노11로 58 (탑립동)
  2) 전      화 : 042-931-6287
  3) 홈페이지 : http://www.gemvax.com/

 

업계 최초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케미컬 필터와  등을 국산화시켜 고부가가치 환경 사업에 진출한 젬백스앤카엘의 필터제조 사업부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 필요한 필터 제조 및 대기 오염/악취 방지 장치설비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사업부문에서는 텔로머라제 유래 펩타이드 기반 신약물질 GV1001로 국외에서 1상 임상시험을 이미 완료하였으며, 여러 파이프라인으로 국내외 2상, 3상 임상시험을 진행 및 준비중에 있습니다. 임상시험을 진행 및 준비 중인 주요 파이프라인은 췌장암, 전립선비대증, 알츠하이머병 등입니다. 이 외에도 젬백스 연구팀과 국내외 대학기관 공동 연구팀은 항염,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기능 등 GV1001의 다양한 효능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펩타이드 약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6개의 계열회사가 있습니다.

 

구 분 회사수 회 사 명
상장  5 (주)젬백스&카엘
(주)젬백스지오
삼성제약(주)
(주)젬백스링크
(주)크리스에프앤씨
비상장 21 ㈜젬앤컴퍼니
GemVax AS
TELOID Inc.
화련젬백스㈜
㈜크리스에프앤씨인베스트
창동(상해)복장무역유한공사(상하이패션)
㈜젬백스링크아이
㈜에프엘케이아이앤브이
㈜한국줄기세포뱅크
㈜킹스맨
㈜킹스맨이앤이
㈜한국디앤에이뱅크
㈜젬앤타이틀
VeriGraft AB
㈜지오인터내셔널
ZIOVI DESIGN COMPANY
ZIO D&C Co., Ltd.
Beijing ZIO design company ltd
㈜지오앤에이종합건축사사무소
㈜위지오
㈜에스씨인베스트

*GemVax AS는 2021년 1월 14일 폐업 승인 완료되었음

 

젬백스의 2020년 배당금은 없습니다.

 

 

<환경오염제어 사업 부문 : 젬백스앤카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분야 등에서 생산라인의 청정유지를 위한 오염제어기술은 생산수율 향상을 위해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기술분야입니다. 이중에서도 공정내 화학오염물질을 제어하는 기술은 반도체 웨이퍼 선폭의 미세화, 고집적화와 디스플레이 Pannel의 대구경화에 따라 화학오염물질로 인한 제품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관련산업의 특성은 관련제품의 고집적화 및 초미세화가 진행 될 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성장산업이며, 까다로운 요구조건과 테스트를 거쳐야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술선점에 의한 학습효과와 진입장벽이 큰 사업입니다.

환경산업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규제가 크게 강화되어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대기오염 물질은 국가 간 경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국가간 협약과 규제도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젬백스의 사업영역은 대기오염 및 사후처리 분야로서, 화학오염원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초소재를 기반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 클린룸 오염제어용 제품과 일반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 및 환경오염원을 제거하여 작업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하고 대기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관련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력제품은 반도체/디스플레이분야 오염제어용 Chemical Filter와 흡착제이며, 주력제품을 응용한 특수가스제거장치 및 대기오염방지설비와 같은 환경오염방지 및 유해가스제거장치 등을 개발 및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클린룸 도입초기에는 공정오염 제어기술은 공기 중 부유입자(Particle)만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만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제품의 대구경화와 고도의 미세화 공정에 의한 집적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밀폐 및 공기 중 부유입자만을 제어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클린룸이나 생산설비에서의 화학적 오염에 의한 웨이퍼 표면 오염과 화학적 반응에 의한 표면구조의 변화, 제품불량 등 입자 제어만으로는 관리할 수 없는 분자상 오염원을 제어해야하는 기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수요에 맞추어 흡착 및 이온교환기능을 통해 화학오염물질(Chemical Gas)로 인한 불량요인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공정의 생산수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의CA Filter(Chemical Air Filter)가 본격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CA Filter는 처음 사용 당시에는 하나의 특정한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공정에서 부분적으로 사용 되었으나, 현재는 클린룸 전체 및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대되고 있을 뿐아니라 제거대상 Chemical Gas 또한 광범위하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적용공정 또한 클린룸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제거용, 외부공기를 클린룸 내부로 유입하는 과정의 오염물질을 제거용, 생산장비에 직접 설치하여 장비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제거용 등 다양한 공정에 확대 적용되고 있습니다.

 

 

< 바이오 사업 부문: 젬백스앤카엘, TELOID Inc. 등>


1)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젬백스앤카엘)
① 바이오의약품의 분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바이오의약품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으며, 젬백스는 '01. 생물학적 제제' 펩타이드 약물의 신약개발을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01. 생물학적 제제 생물체에서 유래된 물질이나 생물체를 이용하여 생성시킨 문질을 함유한 의약품으로서 물리적/화학적 시험만으로는 그 역가와 안전성을 평가할 수 없는 백신/혈장분획제제 및 항독소 등
02.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유전자조작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품
항체의약품,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의약품, 세포배양의약품 등을 포함합니다. (세포배양의약품이란 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의약품)
03. 세포치료제 살아있는 자가/동종/이종세포를 체외에서 배양/증식하거나 선별하는 등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방법으로 조작하여 제조하는 의약품
다만, 의료기관에서 자가 또는 동종세포를 당해 수술이나 처치과정에서 안정성 문제가 없는 최소한의 조작만을 하는 경우는 제외 (생물학적 특성이 유지되는 범위에서 단순분리, 세척, 냉동, 해동 등)
04. 유전자치료제 질병치료 등을 목적으로 인체에 투입하는 유전물질 또는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의약품
05. 동등생물의약품
(바이오시밀러)
이미 제조판매 또는 수입품목 허가를 받은 품목과 품질 및 비임상, 임상적 비교 동등성이 입증된 의약품
06. 개량생물의약품
(바이오베터)
이미 허가된 바이오의약품에 비해 안전성, 유효성 또는 유용성이 개선되었거나 의약기술에 있어 진보성이 있는 의약품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생물학적제제 등의 품목허가심사 규정 고시)


젬백스의 펩타이드 신약물질 GV1001은 국외에서 1상 임상시험을 이미 완료하였으며, 여러 파이프라인으로 국내외 2상, 3상 임상시험을 진행 및 준비중에 있습니다. 임상시험을 진행 및 준비 중인 주요 파이프라인은 췌장암, 전립선비대증, 알츠하이머병 등입니다.

 

이 외에도 젬백스앤카엘 연구팀과 국내외 대학기관 공동 연구팀은 항염,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기능 등 GV1001의 다양한 효능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펩타이드 약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② 주요 파이프라인별 개발 현황

[췌장암]

 일반적으로 세포의 분열 횟수가 많아질수록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져 세포는 사멸하게 됩니다. 하지만 텔로미어의 길이를 연장하고 유지해 주는 텔로머라제는 암세포가 노화로 사멸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세포 분열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텔로머라제는 대다수의 암세포에서 과다 발현되는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GV1001은 암세포에 과발현되는 텔로머라제를 타겟으로 하는 펩타이드 면역항암 제로서, 텔로머라제의 촉매 작용 부위의 단편인1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세포독성T세포와 기억T세포 등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텔로머라제를 과다 발현하는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면역항암제이며, 텔로머라제는 보편적으로 다양한 암종에서 과발현되므로 기타 암종으로 적응증 확대가 용이합니다.

 

약1,600명 이상을 대상으로 기 수행된 임상시험에서GV1001을 투여한 결과 나타난 부작용 및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미하였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면역 항암 치료제입니다.

1,062명을 대상으로 영국 로얄 리버풀 브로드그린 대학병원 NHS Trust를 포함한 총 52개 기관에서 진행한 췌장암 3상 임상시험 텔로백(Telovac)은 국소 진행성 및 전이성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젬시타빈과 카페시타빈 병용 치료법과 함께 GV1001을 동시 및 순차적적으로 투여하여 비교하는 시험으로 2013년에 시험을 완료하였습니다. 임상시험 결과, 표준치료법으로 사용되는 젬시타빈과 카페시타빈 화학요법과 비교시 전체 생존율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인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subgroup analysis를 통해 높은 혈중 이오탁신 (eotaxin) 수치를 가진 환자들에GV1001을 젬시타빈 및 카페시타빈과 병용 투여 시 현저한 생존기간 향상을 확인하였고, 혈중 이오탁신 수치와 췌장암 환자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결과를2014년 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발표하였습니다. 이오탁신 수치가 높은 환자군에서 14.8개월까지의 생존기간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GV1001는 2014년 9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Eotaxin 농도가 81.02pg/mL을 초과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췌장암 환자에게 화학요법과 병용하여 투여하는 것을 요건으로 국내 21번째 신약으로 품목허가 (제품명 리아백스주)를 승인 받았습니다.

젬백스는 2015년 삼성제약㈜과 리아백스주의 의약품 국내 품목허가 및 제조, 공급 판매권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현재 삼성제약㈜에서2015년11월 환자처방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시판과 함께 국내16개 대학병원에서3상 임상시험을 동시에 진행하였습니다. 2020년12월28일 해당 임상시험의 결과 보고서(CSR; Clinical Study Report)를 수령하였으며,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다만, 보고서 제출일 현재 리아백스주의 조건부 허가는 만료되었으며, 삼성제약㈜에서3상 임상시험의 결과보고서 및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정식 허가를 득하기 위하여 준비 중에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

GV1001을 이용한 다양한 관련 기전 연구를 통해 GV1001이 항염증 작용과 세포의 사멸 및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및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알츠하이머병의 유발 단백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 및 손상을 GV1001이 회복시켜,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인지·행동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in vitro 연구를 통해 GV1001은 1)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유도되는 뇌세포 사멸을 저해하고, 2)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3) 아밀로이드 베타 노출에 의한 신경줄기세포의 증식 능력의 손상을 보호함을 밝혀냈습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알츠하이머병의 동물모델에서 GV1001의 효력 평가를 진행하였습니다. (관련 논문: Park HH et al., Neurobiology of Aging. 2014, 35(6): 1255-1274. Park HH et al., Neurotoxicology. 2016, 55: 131-141.)


알츠하이머병의 동물 모델에서 GV1001은 1) 알츠하이머병의 병인의 하나인 아밀로이드 베타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주며, 2) 타우 단백질의 비이상적인 변화로 인한 neurofibrillary tangle (NFT)의 형성을 막아주며 3) 성상교세포 (astrocyte)의 활성화에 따른 astrogliosis를 저해함과 동시에, 4) 신경세포 재생 (neurogenesis)를 촉진하였습니다.


이러한 in vivo 결과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에 GV1001을 투여 시, 아밀로이드 베타의 양을 감소시키며, 타우에 의한 neurofibrillary tangle의 생성을 저해시켜 뇌세포 독성 및 성상교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켜줄 뿐 아니라, GV1001에 의해 신경세포 재생을 더 활발하게 함으로써, 뇌기능의 회복 및 재활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제시하고 있습니다.

젬백스는 2016년12월 중증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중 콜린성 신경계 조절 약물인 도네페질을3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복용한 환자에서GV1001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국내2상 임상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고, 2017년8월 본격적인2상 임상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2019년12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 알츠하이머 임상시험 콘퍼런스(CTAD; Clinical trials of Alzheimer's Disease)에서 임상시험1차 평가변수인SIB (Severe Impairment Battery)점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발표하였으며, 2020년07월18일 임상시험의 최종 결과보고서(CSR; Clinical Study Report)를 수령하였습니다.  2020년11월14일 대한치매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2상 임상시험의 결과를 성공적으로 발표하였으며, 관련 논문은 유수의 국제 학술지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또한2021년01월27일 국내3상 임상시험계획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하였으며, 빠른 시일내에 국내3상 임상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준비 중에 있습니다.

젬백스는 2017년 03월 글로벌 의약품 제조업체인 Vetter사와 알츠하이머병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같은 달 글로벌 임상시험 수탁기관인 파렉셀(PAREXEL)과 글로벌 임상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임상시험 대행기관) 계약을 체결해 GV1001의 알츠하이머병 글로벌 임상을 준비해 왔으며, 2019년05월 미국FDA로부터GV1001의  알츠하이머병 2상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습니다. 



[전립선 비대증]
젬백스는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GV1001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단일 눈가림, 평행설계, 다기관으로 실시한 국내 2상 임상시험을 2015년 8월 시작하여, 1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습니다.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개선 정도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IPSS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3개의 모든 시험군에서 매 평가시점에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베이스라인 대비 30% 이상의 개선 정도를 보였습니다. 또한, GV1001을 투여한 환자군에서의 전반적인 내약성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그 외 전립선 용적, 최대요속, 잔뇨량의 변화량 등 모든 시험군에서 전반적으로 명백한 개선이 관찰되었고, 안전성 결과를 통해 GV1001은 위약만큼 안전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2019년 4월에는 전립선비대증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 3상 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아 현재 전국 23개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 감염성 백신 사업 (TELOID Inc.)

① 사업의 주요특성

  젬백스의 미국의 자회사인 TELOID Inc.를 통해 인플루엔자 백신 및 말라리아, HIV, 간염, HPV백신 등 감염성 질환 백신 기술을 보유 및 개발하고 있습니다.


② 진행상황 및 향후 계획

HIV 임상시험은 미국 NIH (국립보건원) 산하 기관인 미국 국립 알레르기 & 전염병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의 지원을 받아 1상 임상시험을 실시하였습니다.

 

말라리아 백신의 경우 NIH의 지원하에 미국 Emory대학에서 Ichore사의 electroporation기술 (전기천공법, 세포 내에 대한 유전자 도입법의 하나. 세포에 전기장을 가하여 막의 투과성을 증가하고 DNA를 세포 내에 도입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1상 임상시험을 실시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젬백스는 백신 디자인 기술인 PADRE (백신과 결합하여 백신의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목적 면역 자극성 펩타이드)와 EIS 기술(종양과 결합한 항원이나 감염된 항원의 유전정보로부터 특정 항원 Epitope를 규명하고 검증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TELOID Inc.는 HIV 백신 1상 임상시험 완료 외에도 말라리아 백신 1상 임상시험 완료, 자궁 경부암을 유발하는 인유두종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전임상 연구 완료 등 연구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및 유럽을 포함한 다수 국가에 면역백신관련 등록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출원 또는 등록한 기술의 라이센스 아웃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TELOID Inc.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치료용 백신 개발 기술 및 시장동향에도 언급될 만큼 그 보유기술이 유망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젬백스 주요 제품

 

젬백스 매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