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석경에이티"로 표기합니다.
영문으로는 "Sukgyung AT Co., Ltd.(약호 : 'SUKGYUNG')" 로 표기합니다.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2000년 12월 08일에 설립되었습니다.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별망로459번길 24(목내동, 반월공단 6블럭 14롯트) |
전화번호 | 031-493-0955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sukgyung.com |
석경에이티는 소재분야 중에서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전기ㆍ전자산업, 코팅산업, 기타 산업에 관련된 기능성 나노소재 개발 및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석경에이티 2020년 배당금은 없습니다.
석경에이티의 전신이었던 석경화학은 나노기술이 활성화되기 전인 1994년 12월, 독자적인 무기소재의 제조기술과 나노입자에 대한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무기소재 산업의 열악함 극복과 소재 혁명을 통한 관련 주력산업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출범하였습니다.
석경에이티는 2000년 12월 석경화학에서 ㈜석경에이·티로 법인 전환하면서 설립되었고 석경화학에서 주로 다루었던 나노소재를 주력 사업으로 연구개발 및 제조와 판매를 개시하였습니다. 나노소재를 통한 기존산업 변혁의 트리거(Trigger) 역할 수행 및 신산업의 핵심소재(Core material) 제공을 목표로 '나노소재'에 대한 연구개발ㆍ제조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산업영역으로 진출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현재는 신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무기소재를 포함, 네 가지 사업부문을 중심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차세대 무기소재를 비롯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에 대한 제조기술과 공정기술개발을 통해 향후 시장을 이끌어 나아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석경에이티는 소재분야 중에서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전기ㆍ전자산업, 코팅산업, 기타 산업에 관련된 기능성 나노소재를 개발ㆍ제조하고 있으며, 기존 기간산업 제품에 신기능을 부가하여 신제품 개발에 활력을 불어넣음과 동시에 소재 국산화를 통한 국내 제조업체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 장기간 사용되어 오던 기존 소재의 약점을 파악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신기능의 나노소재를 공급하여 고객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켜 왔으며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분야 및 현황] |
구분주요제품현황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
치과소재 | - 조영성부여제 (YbF3) - 기계적 강도부여제 (Barium계 Glass, Strontium계 Glass 등) - 실링용 Cement (C3S, C2S, C3A) |
판매중 |
화장품소재 | - 자외선 차단제 (ZnO, TiO2, CeO2) - 피그먼트 (TiO2, Fe2O3, Fe3O4) |
판매중 | |
전기ㆍ전자분야 | Toner 외첨제 소재 | - 유동성 향상 및 전하 제어제 (SiO2, SnO2, TiO2, Al2O3) | 판매중 |
Film 소재 | - Anti-blocking Agent (SiO2) | 판매중 | |
코팅분야 | - 고굴절 코팅제 (ZrO2, TiO2) - 저굴절 코팅제 (MgF2, 중공 Silica) - 스크래치 방지 코팅제 (Al2O3, SiO2, ZrO2) - 자외선 차단제 (IZO, ZnO, TiO2, CeO2) - 적외선 차단제 (ATO, IRCK) |
판매중 | |
기타 산업분야 | - 무기물 Filter (SiO2) - 무기 흡습제 (MgO, 중공 Silica) |
판매중 |
1) 설립 및 성장과정
구분내용
설립배경 | 석경에이티는 1994년 12월 15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나노소재의 사업화의 기치를 걸고 새로운 국부창출, 첨단 나노소재의 국산화, 해외수출 및 국내의 낙후된 첨단 기능성 무기소재 (Functional inorganic materials) 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2000년 이후 급속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출현할 각종 첨단산업 즉, PDP, LCD 등의 Display 산업, 1995년 이후 급속히 개인 보급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Laser printer, Ink-jet printer 등의 Personal print media 산업 등에 사용될 핵심소재의 산업화를 목적으로 석경화학을 설립하였습니다. 이후 기능성 나노소재 및 이를 이용한 TV 브라운관 코팅소재 등에 대해 연구개발 및 제조, 생산을 해왔고, 2000년 12월 8일 주식회사 석경에이·티 법인을 설립하고 2001년 1월 1일부터 본격적인 첨단 나노소재 대량생산에 초점을 맞추어 사업을 확장하고 보다 다양한 나노소재의 생산을 추진해 왔습니다. |
|
성장 과정 |
법인설립 ㆍ 나노제품 도입기 (2001.01~ 2011.09) |
나노소재 상용화의 경우, 초기 대규모 설비투자 자금부터 품질관리의 균질성 및 관리과정, 그리고 새로운 소재의 기술 개발까지 다양한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각양각색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제조공정도 및 제조방법을 표준화하고 제조된 제품에 대해 철저한 품질관리 및 고객만족을 모토로 품질경영을 실시해 왔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미국과 유럽의 글로벌 고객사들로부터 신뢰 확보의 바탕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기능성 나노소재의 시장변화 및 Supply chain을 인식하고 다원화 및 목표시장의 현지화를 목표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2002년 9월 미국 Chicago에 미국사무소(Sukgyung AT Inc. / in Des Plaines, Illinois, USA)를 설립하고 미주시장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해외 현지화 마케팅을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
1차성장기 (2011.10~ 2019.07) |
2005년 일본 내 LCD 배향막 정밀인쇄기기 제조업체인 NAKAN TECHNO (https://www.nakan-techno.co.jp)로부터 투자를 유치함으로써 NANO 소재의 일본시장 진출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이후 2014년 10월 일본시장으로의 직접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일본 법인인 SG JAPANCo., Ltd.을 설립하고 본격적인 일본시장을 대상으로 현지화 마케팅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한편, 2008년 8월 나노소재 및 기능성 화학물질에 대한 원활한 유럽으로의 수출을 도모하기 위해 9개 Item(Barium Oxide, Strontium oxide, Boric Oxide, Aluminum Oxide, Silicon Dioxide, Ytterbium fluoride, Zirconium Oxide, Titanium Oxide, Zinc Oxide)에 대해 REACH Pre-registration 진행 후 2018년 6월 27일 9 Item에 대해 REACH 본등록(REACH Registration)을 완료하였으며, 2020년 Tin Oxide에 대해 추가로 REACH 본등록을 진행 중입니다. 이로서 석경에이티의 제품을 원료로 사용한 고객 제품의 유럽수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완벽한 서비스체제를 구축하였습니다. 2011년 10월 현재의 사업장(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별망로459번길 24)으로 이전 후 본격적으로 나노소재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고, 단분산 SiO2 powder 이외에도 TiO2, ATO, YbF3, ZrO2-SiO2 등의 첨단소재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2019년 3월 제2공장(전남 영암군 삼호읍 자유무역로 194, 표준공장 F동)을 설립하여 Inorganic colorant 색조화장품의 대량생산 설비 및 기반을 구축함과 동시에 제1공장에서 액상법으로 제조된 단분산 SiO2의 대량 소성 및 대량 표면처리 할 수 있는 기반을 완비하였습니다. * 생산규모(1공장 및 2공장 포함) - 생산인력 : 25명 - 생산능력 : 240MT/년 |
|
2차성장기 (2019.7~ 현재) |
2019년 7월 1일 일본의 경제ㆍ산업을 관장하는 경제산업성은 대한민국을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불소 에칭 가스의 세 가지 품목에 대한 포괄적 수출 허가 대상에서 대한민국을 제외하였습니다.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국내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이러한 반도체 핵심소재에 대한 수출규제에 맞서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차원에서 대일 의존도가 높은 소재ㆍ부품ㆍ장비에 대한 국산화를 천명하였고 2019년 12월 28일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소부장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국내 대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본에서 수입한 소재 등에 대한 국산화가 상당수 진행되고 있습니다.석경에이티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에 발맞추어 정부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기 위한 수요조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동안 일본기업의 소재를 사용해오던 국내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GVC(Global Value Chain) 정책이 바뀌고 있습니다. 즉, 국내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연구개발부서에서는 신제품개발 시 그동안 사용해오던 일본산 소재를 일방적으로 채택하기 전에 국내에서 유사제품을 제조하는 기업과의 공동연구를 먼저 제안하는 일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석경에이티는 오직 나노소재 및 서브마이크로 크기를 갖는 신소재 개발을 위해 20여 년간 노력해온 결과 각종 첨단 신소재 제조(YbF3 powder를 비롯한 단분산 구형 실리카 입자, 중공 실리카 입자) 및 유럽과 미국의 해외 유수기업으로의 수출 경험이 일본에 첨단 신소재를 역수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미국 시카고사무소와 일본법인을 통한 현지화를 기반으로 신소재 수출을 확대하는 등 제2차 성장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향후 고기능성 나노소재의 산업화에 박차를 가해 더욱 발전해 나갈 예정입니다. |
2) 원천기술의 확보
나노소재를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나노소재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나노소재에 관한 원천기술이 필요합니다. 석경에이티에서는 지난 25년에 걸쳐 다양한 나노소재를 취급해오면서 각각의 나노소재에 대한 상이점 등을 철저히 연구하여 각 나노소재에 타당한 합성기술, 분산기술, 표면처리기술, 산화물 및 불화물 제품의 원료에 대한 정제기술 등의 나노소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확보된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나노소재를 제품화하여 세계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석경에이티에서 보유하고 있는 나노소재에 관한 원천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나노입자 크기 및 입자형상 제어기술
- 나노입자 분산기술
- 나노입자 표면처리 기술
- 나노입자 산화물ㆍ불화물의 기초원료 정제기술
(나) 사업 인프라 현황
석경에이티는 나노입자에 대한 연구개발 및 제조를 위해 현재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별망로459번길 24에 본사, 연구소, 제1공장의 제조시설을,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자유무역로 194, 표준공장 F동에 제2공장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업장 현황] |
구분소재지면적(㎡)소유여부비고
본사/ 부설연구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별망로459번길 24 |
4,932.90㎡ | 소유 | 일반사무실 기업부설연구소 |
제1공장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별망로459번길 24 |
소유 | 위험물제조소 화학물질제조소 |
|
제2공장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자유무역로 194, 표준공장 F동 | 5,313.20㎡ | 임차 | 화학물질제조소 |
석경에이티의 사업분야 중 가장 비중이 큰 바이오헬스케어용 나노소재는 치과재료 나노소재와 화장품용 나노소재로 주로 인체에 사용되며, 2006년부터 지금까지 주로 해외에 수출하고 있으며 2020년말 기준 석경에이티 전체 매출액 중 42.9 %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비중이 큰 사업분야인 인쇄용 토너 외첨제 나노소재는 기존의 토너시장에서 사용되던 흄드실리카를 사용했을 때보다 토너의 사용량을 10% 이상 절약할 수 있는 구형 실리카 나노소재로 주로 칼라토너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으며 2020년말 기준 석경에이티 전체 매출액의 17.4 % 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코팅분야의 나노소재는 주로 필름의 기재에 사용되는 나노소재로 자외선차단 기능, 적외선 차단기능, 반사방지기능, 스크래치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혁신소재로써 2010년부터 제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나노소재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타 산업분야에서 언급한 나노소재는 차세대 OLED에 사용될 수 있는 나노크기의 흡습방지제, 무기물 필터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가) 신규 사업 개요
1) 5G 기판소재용 중공 Silica 사업
5Gㆍ밀리파 Communication 산업에 사용될 석경에이티의 중공 Silica 입자의 주요 고객은 저유전특성 및 저유전손실 특성을 발현하기 위한 PI 기판소재 제조기업 및 Rigid-PCB용 기판소재를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최근 5Gㆍ밀리파 Communication 산업의 대표적인 통신 분야에서 소위 마이크로파, 밀리파라고 불리는 고주파 영역이 주목받고 있으며, 고주파의 특징인 광대역성, 직진성, 투과성이라는 특성을 활용한 것으로 다양한 분야로 응용되고 있습니다.
정보통신 분야에 있어 7Gbit/sec 가까운 초고속 무선 전송을 실현하는 60GHz대 무선 LAN 규격 WiGig(Wireless Gigabit, IEEE 802.11ad) 대응기기의 보급이 2014년 이후부터 이루어져 왔고 이후에도 관련 기술의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IoT, Tactile internet, Industrial internet, Satellite broadcasting 및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등 차세대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주파의 특성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자동차 관련 분야에서는 충돌회피 시스템으로 밀리파 레이더 혹은 자율주행자동차의경우, 905~1,550nm까지의 NIR 파장을 이용한 LiDAR의 활용이 추진되고 있으며, 폭발물 등 종래의 검사방법으로는 검출이 곤란한 위험물의 탐지기술로 밀리파 이미징 장치 등이 개발 진행 중입니다.
2) 기존 소재에서의 이슈사항
각종 고주파 디바이스에는 기판, 공진기, 필터, 안테나 등의 부품으로 유전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고주파용의 유전체로서는 저유전률(Low-Dk), 저유전손실(Low-Df) 성능이 가장 중요한 특성이고 기계적인 특성, 열적특성(저열팽창, 고파괴강도) 등이 요구됩니다.
3) 기존기술
기존에는 단분산 구형 Silica 입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Hitachi Chemical을 비롯한 대부분의 FPCB, Rigid-PCB 제조기업 및 관련 고객들의 경우 보다 더 낮은 유전율, 유전손실의 특성을 보유한 FPCB, Rigid-PCB 제조를 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맞는 저유전률, 저유전손실의 소재를 공급할 수 있는 소재전문 업체의 부재로 초고주파ㆍ밀리파 용도의 FPCB, Rigid-PCB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입니다.
석경에이티 매출액
석경에이티 주요제품
'기업분석 > 제약-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릭스미스 기업정보, 헬릭스미스는 계속되는 상승. (0) | 2022.06.22 |
---|---|
메지온 매출액 및 주가전망, 폰탄환자치료제 연구개발 (0) | 2021.10.27 |
우정바이오 매출전망 및 주가전망 , 바이오사업/감염관리사업 (0) | 2021.10.14 |
펩트론 매출액 및 주가, 생명공학관련 첨단기술 소재 제조 및 의약품연구 개발사업 (0) | 2021.10.11 |
수젠텍 매출액 및 주가전망 -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및 진단시약류 제조 (0) | 2021.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