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브이엠씨홀딩스'로 표기하며, 영문으로는 'LVMC Holdings'로 표기합니다.
2009년 6월 16일에 종속회사인 코라오디벨로핑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위해 설립된 역외지주회사입니다
① 주 소 : PO Box 309, Ugland House, Grand Cayman, KY1-1104, Cayman Islands
(베트남 대표사무소) Unit 10.1, 10th Floor, Pearl Plaza, 561A Dien Bien Phu,
Ward 25, Binh Thanh District, Ho Chi Minh City, Vietnam
② 전화번호 : (베트남 대표사무소) 070-8615-4824
③ 홈페이지 : http://www.lvmcholdings.net
① 이름(대표자) : 에스와이어드바이저(엄영준)
② 주소 : 서울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27-8 NH캐피탈빌딩 4층
③ 연락처 : 02-2125-5059
번호 | 계열회사 | 명칭 | 상장여부 |
1 | 종속회사 | Auto World(KOLAO Developing) Co., Ltd. | 비상장 |
2 | GMS Trading Sole Co.,Ltd. | 비상장 | |
3 | LVMC Holdings Singapore Pte., Ltd. | 비상장 | |
4 | LVMC Holdings (HM) Singapore Pte., Ltd. | 비상장 | |
5 | Kolao Holdings Myanmar Co., Ltd. | 비상장 | |
6 | Daehan Co., Ltd. | 비상장 | |
7 | Fortune Kolao International Motors Co., Ltd. | 비상장 | |
8 | International KLM Co., Ltd. | 비상장 | |
9 | Global KLM Co., Ltd. | 비상장 | |
10 | Shwe Daehan Motors Co., Ltd. | 비상장 | |
11 | LVMC Holdings (Cambodia) Co., Ltd. | 비상장 | |
12 | LVMC Investment Ltd. | 비상장 | |
13 | Chongqing Kolao-Yuan R&D Co., Ltd. | 비상장 | |
14 | Chongqing LVMC Yuan Auto Trading Co., Ltd. | 비상장 | |
15 | 관계회사 | KR모터스 | 상장 |
16 | KB KOLAO LEASING Co., Ltd. | 비상장 | |
17 | Daehan Motors Co., Ltd. | 비상장 |
자회사의 소유를 목적으로 하는 지주회사입니다. 연결재무제표 상 대부분의 사업의 내용은 실질적으로 영업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주요 종속회사인 AutoWorld(전 KOLAO Developing) Co., Ltd.(엘브이엠씨홀딩스의 제12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의 62%, 자산총액의 76%)에서 발생함으로, 본 사업의 내용에서는 AutoWorld(전 KOLAO Developing) Co., Ltd. 사업활동을 중심으로 중요성 관점에서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엘브이엠씨의 종속회사인 코라오디벨로핑은 라오스에서 신차 판매, SKD신차 제조 및 판매, CKD신차 제조 및 판매, 오토바이 제조 및 판매, 부품 판매 및 A/S 등을영위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또한 부문별 중요도에 따라 엘브이엠씨가 현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의 사업 내용에 대해 추가적으로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 자동차 산업
자동차 산업은 광범위한 산업 기반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전후방 산업 연관 효과가 다른 산업에 비해 매우 큽니다. 자동차 산업은 크게 제조, 유통, 운행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자동차 제조에는 철강, 화학, 비철금속, 전기, 전자, 고무, 유리, 플라스틱 등의 산업과 2만여 개의 부품을 만드는 부품업체들이 연계되어 있습니다. 자동차 유통에는 완성차 업체의 직영 영업소나 대리점, 자동차 할부금융, 탁송 회사 등이, 자동차 운행에는 정비, 부품, 주유, 보험 등의 업종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의 생산에는 막대한 설비 투자와 개발비가 소요되며 적정 수준의 생산 규모를유지하고 생산원가를 절감시켜야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생산수량이 증가됨에 따라 생산비용이 감소되는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효과는 자동차산업에서 매우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 라오스 자동차 산업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일본차업체들은 태국에 양산기지를 확대해 나갔습니다. 대태국수입의존도가 60%가 넘고, 2012년도 1인당 GDP가 1,581달러에 불과했던 라오스의 자동차 산업은 태국산 중고차 위주로 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그러나 2012년, ASEM회의 개최와 WTO 가입으로 라오스 정부는 중고차 수입을 전면 금지하게 되었고, 라오스 자동차 산업은 수입 신차를 중심으로 재편되었습니다. 2013년에 라오스 최초 자동차 조립공장이 설립되었고 2018년부터 태국 등 ASEAN 역내에서 생산된 자동차가 무관세로 수입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자료원 : CIA, World Bank)
- 베트남 자동차 산업
베트남 자동차산업은 1990년대 경제발전을 위한 혁신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합자회사들이 설립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자동차 조립업체 수는 빠르게 증가해 1996년에는 11개의합자회사가 허가를 받기에 이르렀으며, 11개의 FDI 회사들과 160개가 넘는 기업들이 제조, 조립, 정비, 그리고 AS부품을 생산할 정도로 성장을 하였습니다. 베트남 정부는 자동차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실시하여 1999년 연간 6천대 수준이었던 판매량이 2005년도에 4만대, 2016년도에는 30만대, 2019년도에는 42만대가 넘는 시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18년 아세안통합으로 아세안 권역 내에서 생산된 자동차 수입관세 0%가 적용됨에 따라 베트남 자동차시장은 긍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베트남 정부가 등록비, 관리비, 보험비 등을 인상하여 비관세 장벽을 높임으로써 완성차 수입이 감소하였습니다. 수입되는 완성차에 관해 수출국가의 허가를 받은 각종 테스트 인증서를 제공하게 하고, 수입되는 모든 차량에 대해배출가스와 안전성 검사를 요구한 것도 완성차 수입에 대한 장벽을 높인 조치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향후 베트남 자동차 시장은 Decree 116 등 베트남 정부의 완성차 수입 규제 강화로 수입업체와 현지 생산업체 간 대립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따라 베트남 내 생산업체들에게는 유리한 시장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재무부, KOTRA 호치민)
- 미얀마 자동차 산업
미얀마 자동차 시장은 일본산 중고차량이 주류를 형성해 왔습니다. 2014 ~ 2015년, 미얀마는 일본산 중고차 최대 수입국이었습니다. 2015년말 기준으로 등록된 약 54만대의 승용차 중 90% 이상이 일본산 중고차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우측 핸들인 일본산 중고차량은 우측 통행의 미얀마 도로에서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이에 따라 미얀마 자동차 수입 관리위원회는 2014년부터 우측핸들 차량에 대해 수입규제를 시작해왔으며, 2018년부터는 우측핸들 차량 중고차 수입이 전면 금지되었습니다. 또한 3년 이상 연식의 중고차 수입을 제한하는 등 중고차 수입 규제가 까다로워지면서 신차시장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미얀마 정부의 차량 제조업 활성화 정책에 따라 현지 자동차 생산 기업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는 상황이며 향후 미얀마 내 수요 확대에 따른 자동차 생산 기업의 숫자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자료원 : Financial Times, KOTRA)
- 캄보디아 자동차 산업
캄보디아는 아세안 역내에서 가장 규제되지 않은 중고차 시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9년기준 캄보디아 자동차 판매량은 약 9만 7천대 수준이며 이 중 약 7만대 이상이 중고차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다른 동남아 국가들과 달리 미국산 및 한국산 중고차가 시장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자동차 시장은 연간 15% 내외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 2019년 신차시장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향후 급격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료원 : Forbes,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s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KOTRA)
◆ 상용차 산업
상용차 산업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자동차 산업과는 달리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으로, 그 중 건설 장비 부문은 사회 간접 자본 투자계획, 건설 경기 및 기업 설비 투자 동향 등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상용차 산업은 엔진, 동력 전달 장치, 유압 장치 등 다양한 부품의 가공 조립산업으로서 관련 부품산업의 발전과 전략적 네트워크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가 되며, 특히 핵심 부품은 오랜 경험과 기술 축적을 필요로 하는 고급 기술 수준이 요구됩니다.
◆ 오토바이 산업
자동차 산업과 유사성이 높은 오토바이 산업은 자동차 산업과 마찬가지로 철강, 기계, 화학, 전기 등 다양한 관련 산업과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종합 기계 산업입니다. 또한 시설 투자가 필요한 장치 산업이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산업입니다. 안전, 품질, 디자인이 판매와 수요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 산업이기도 합니다.
◆ 자동차부품 산업
자동차부품 산업은 자동차용 브레이크조직, 클러치, 축, 기어, 변속기, 휠, 완충기, 방열기,소음기, 배기관, 운전대 및 운전박스 등과 같은 자동차 차체 또는 자동차 엔진용 부분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산업 활동을 말합니다. 자동차부품 산업은 크게 신차 제조용 OEM 부품 부문과 A/S용 부품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자동차 부문
2019년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은 9,100만대로 전년 대비 4% 감소했습니다. 전 세계 자동차 판매는 지난 2010년 이후 연 평균 5% 이상 꾸준히 증가해왔으나 2017년을 기점으로 성장세가 꺾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우선 중국 판매량이 전년 대비 8% 줄었는데, 이는 경제 성장세 둔화와 대미 무역 분쟁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글로벌 경기둔화의 우려속에 유럽(유럽연합 및 유럽자유무역연합 지역) 자동차 판매량은 1575만대로 전년대비 1.1% 상승하며, 지난 20년동안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였습니다. 미국과 일본은 각각 전년대비 1.2%,1.4% 자동차 판매량이 소폭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머징마켓에서의 자동차 판매 증가율은 고성장세를 유지했으나 2019년부터 성장세가 둔화되었습니다. 인도는 6년만에 경제성장률 최저치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13% 자동차 판매량이 줄었습니다. 러시아 또한 유가하락, 루블화 가치 하락 등으로 영향을 받아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대비 2.3% 하락하였습니다. 브라질의 경우 민간부문에서 꾸준한 경기성장을 주도하며 전년대비 8%의 자동차 판매 성장을 하며 견조한 성장을 보여주고있습니다.
(자료원 : LMC Automotive, JD Power, OICA, carsalesbase, automotive industry portal, kotra)
- ASEAN 자동차 산업
ASEAN은 동남아시아 국가연합입니다. 엘브이엠씨가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베트남 또한 ASEAN 회원국입니다. 2018년 기준 ASEAN의 인구는 6억 5천만명, GDP는 2조 9천억 달러입니다. ASEAN 물품무역협정 체계에 포함된 관세 인하 계획에 따라 2018년부터 ASEAN 역내에서 생산된 완성차의 수입세율은 0%로 철폐되었습니다. 수요/공급처로써 ASEAN시장의 자동차 산업은 지속성장이 전망됩니다.
(자료원 : IMF, ASEAN, Statista)
- 라오스 자동차 산업
수요처로써 라오스 자동차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라오스 GDP 경제성장율은 2017년 6.9%에 이어 2018년 6.3%, 2019년 6.4%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전망되고 있습니다. 2019년 라오스 인구는7백6만명, 그 중 (잠재)경제활동인구 54세 이하는 전체의 90%입니다. 경제성장과 인구구조에 따른 수요발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9년 라오스 1인당 GDP는 2,670불로 개개인의 구매력은 낮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낮은 구매력으로 인해 자동차 할부금융상품에 대한 강한 니즈가 존재합니다. 엘브이엠씨를 필두로 여러 공급자들이 할부금융상품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DGB금융그룹, KB금융그룹 또한 엘브이엠씨와 함께 라오스 시장에 진출하면서 라오스 자동차금융시장은 확대되어가고 있습니다. (자료원 : IMF, ASEAN, ADB, UN)
공급처로써 라오스 자동차 산업 또한 성장이 전망됩니다. 라오스의 최저임금은 2018년 기준 131불, 평균연령은 22.7세로, 인근 공업국 베트남, 태국보다 저임금의 젊은 노동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5년 12월에 착공한 중국- 라오스 고속철도 사업을 바탕으로 라오스는 ASEAN 물류 요충지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세제, 물류 인프라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공급처로써 라오스 자동차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자료원 : CIA, checkinprice, KOTRA, KOICA, Tuoitre News, Laotian Times, Sputnik)
- 베트남 자동차 산업
베트남의 자동차 산업은 베트남의 낮은 자동차 보급률, 젊은 소비층, 빠른 도시화를 토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1995년에 일본 브랜드 위주로 knock-down방식의 자동차 생산공장이 처음 들어섰습니다.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모델들이 해외에서 디자인된 외국 브랜드이지만 2018년 4월 현재 총 판매량의 85% 가 베트남 내에서 knock-down 생산되었습니다. 베트남은 정부차원의 지하철, 도로확충 등SOC사업 투자의 증가와 연평균 6%의 지속적인 경제발전, 늘어나는 국민소득과 맞물려 자동차시장이 계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1억명에 가까운 인구와 더불어 2025년까지 2018년 대비 연평균 18%로 자동차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베트남의 소득 및 인구증가율을 고려 시 향후 베트남 자동차 시장은 지속성장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료원: VAMA)
- 미얀마 자동차 산업
미얀마는 2011년 시장 개방 이후 중고차 위주의 거래로 2014 ~ 2015년 미얀마는 일본산 중고차 최대수입국이었습니다. 2016년 미얀마 문민정부 출범, 미국의 경제 제재 해제 등에 힘입어, 미얀마의 GDP성장률은 2011년 이후 매년 5~8%를 기록하였습니다. 경제 성장에 따라 2011년 약 36만대였던 자동차 등록 대수가 2016년 약 72만대로 증가하였습니다. 하지만 급속한 일본 중고차 증가로 인한 교통체증과 교통사고 등의 문제로 미얀마 정부가 우측핸들 중고차량 수입을 2018년부터 전면 금지하고 중고 수입차에 대한 연식제한을 실시하면서 시장의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2018년 이후 미얀마 자동차 시장은 기존 중고차 수입제한으로 인한 시장축소와 높은 신차가격으로 인한 진입장벽, 전체 미얀마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양곤지역에서 수입완성차 등록 제한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격경쟁력과 내구성을 갖춘 신차 위주로 시장 재편이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미얀마 자동차 등록대수는 약 130만대로 늘어날것으로 전망됩니다.
(자료원 : 교도통신, KOTRA, CIA, Financial Times, World Economic Forum)
- 캄보디아 자동차 산업
캄보디아의 자동차 산업은 미국산 및 한국산 중고차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중고차 수입에 대한 연식제한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생산연식에 따른 관세 차등화로 인해 10년 이상된 중고차가 수입되면서 차량의 안전, 환경 문제 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캄보디아는 2018년 7.5%의 실질 GDP성장률과 1천 6백4십만명의 인구를 기록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5.3세입니다. 고성장하는 경제 속에 구매력이 증가하고 널리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정보불균형이 해소되어, 가격경쟁력과 함께 품질이 검증된 중고차/신차에 대한 젊은소비자들의 니즈가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소비자 니즈에 따라 누적차량등록대수가 2012년 약 24만대에서 2019년 약 73만대로 늘어나는 등 자동차 시장은 꾸준한 성장이 전망됩니다.
(자료원 : CIA, Forbes, The Asia Foundation)
◆ 오토바이 부문
현재 지속적인 침체를 겪고 있는 세계 오토바이시장은 오토바이 생산규모를 감소시키고 있으며, 업계의 점차적인 축소가 예측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흥 4대 오토바이 시장인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은 여전히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라오스 주변국인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에서 오토바이는 가정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어, 향후에도 지속적인 산업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 자동차부품 부문
일반적으로 자동차부품 산업은 신차 생산율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신차 생산이 증가될수록 자동차부품의 매출 또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신차 부문
- 라오스 신차 부문
엘브이엠씨는 라오스 내에서 1997년 중고차 판매를 시작으로 자동차 유통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자동차 부문 중 신차 부문의 경우 현대차, 기아차 및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인 체리차와계약을 체결하여 라오스에서 유일하게 판매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회사가 판매하는 신차 중 현대차와 기아차가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다양한 차량 형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가의 신차 구매 고객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체리차와 딜러쉽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엘브이엠씨는 라오스 전역에 직영 매장과 판매대리점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증가하는 라오스 자동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거점도시들에 신차 / CKD / 상용차 / 오토바이 / 자동차 부품 / 중고차 / AS / 자동차 금융 등 차에 관한 모든 서비스를 한번에 제공받을 수 있는 코라오케어를 설치하여 직영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미얀마 신차 부문
인도차이나 반도 주변국으로의 사업확대를 위하여 미얀마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엘브이엠씨는미얀마에서 유일하게 현대차 판매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3년 3분기 중 미얀마 최대 도시인 양곤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 직영 쇼룸 1개 및 2016년 1분기 중 제2도시 만달레이에 직영 쇼룸 1개를 개장하였습니다. 2020년 12월말 기준 미얀마 내 엘브이엠씨 판매 네트워크는 직영 2개, 딜러 14개입니다.
엘브이엠씨는 당분기말 기준으로 현대차와 체결한 신차 판매 계약을 통해 미얀마 내에서 다음과 같은 차량 모델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 상용차 부문
- 라오스 상용차 부문
엘브이엠씨는 2012년 1분기 이후 현대상용차 및 두산인프라코어의 판매계약에 따라 라오스 수도비엔티엔에 위치한 상용차 쇼룸에서 대형 상용트럭 및 건설중장비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중국업체 등에 의한 덤프트럭 시장 경쟁심화로 2018년 말 이후 현대상용차 수입은 중단하였고, 두산인프라코어의 중장비는 시장수요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 제품 부문
- 라오스 제품 부문
엘브이엠씨는 오랜 기간 CKD 오토바이 제조 기술 및 글로벌 소싱능력을 바탕으로 2013년 9월 1톤 상용트럭 시장에 'DAEHAN' 브랜드로 진출하였습니다. 한국의 우수한 기술력(중요부품인 엔진과 트랜스미션)에 중국 업체 등의 가격경쟁력 높은 부품을 더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품질에 가격경쟁력 높은 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또한, ASEAN 역내 관세 철폐 이후 태국으로부터 수입된 일본차량의 가격경쟁력이 강화됨에 따라, 소비세 감면 혜택을 위해 현대 및 기아의 일부 차종 조립 생산을 2017년부터 개시하였습니다.
- 베트남 제품 부문
엘브이엠씨는 2017년 4월 자체 브랜드 '테라코(TERACO)'로 적재량 2톤에서 3.5톤의 중경량 트럭 판매를 시작하였고, 지난 2018년 12월에는 미니트럭을 런칭하여 베트남 내에서 꾸준히 브랜드 인지도를 넓혀 왔습니다. 또한 엘브이엠씨는 '시노트럭(SINOTRUK)’의 베트남 중부 다낭시 이남 지역 전체의 조립 생산에 대한 독점권 및 베트남 전역에 대한 판매권을 확보하여 2019년 6월 대형 덤프 트럭 및 믹서 트럭 모델을 출시하였습니다. 엘브이엠씨는 테라코 및 시노트럭을 통해 소형 트럭부터 대형 트럭까지 전 라인업을 확보하고 베트남 상용차 시장에서 계속하여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 미얀마 제품 부문
엘브이엠씨는 2019년 2월부터 미얀마 내에서 현대차 일부 모델에 대한 SKDII 생산을 시작하였습니다. 미얀마 정부 정책은 미얀마 내 생산공장에서 생산한 차량에 대해서만 양곤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엘브이엠씨의 생산공장 허가 획득을 통한 SKDII 모델 생산 및 판매로미얀마 내에서의 시장 점유율은 점진적인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캄보디아 제품 부문
엘브이엠씨는 2019년 5월 부터 본격적으로 협력사 공장에서 생산한 한국과 미국발 중고차를 판매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동 공장을 통해 생산된 쌍용자동차의 Rexton과 Rexton Sports 등의 신차모델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 오토바이 부문
엘브이엠씨의 오토바이 부문은 일본, 한국, 중국 등에서 수입되는 각종 부품들을 수입하여 독자적으로 개발한 디자인으로 라오스 제1의 산업도시인 사바나켓에 소재한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고 있습니다. 글로벌소싱(Global Sourcing) 능력의 우위에 따른 원재료비 절감과 라오스 내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낮은 인건비용으로 가격경쟁력에서 앞서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선진화된 조립기술이 반영되고 현지인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의 제품을 생산하여 제품력의 우위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엘브이엠씨는 중국산보다 품질은 높고, 가격은 일본제품에 비해 약 30% 이상 저렴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한편, 엘브이엠씨의 오토바이 부문은 엘브이엠씨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직영 매장, 대리점 형식인 프랜차이즈 매장 및 코라오케어 센터를 포함하여 현재 비엔티엔 수도를 중심으로 라오스 전국적인 판매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자동차부품 및 A/S 부문
엘브이엠씨의 부품 및 A/S 부문은 현대차, 기아차 등 완성차의 판매에 따른 사후관리로 운영되는고객서비스 산업으로서, 판매된 완성차에 대한 부품의 공급 및 기타 보수용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부문과 차량의 판매후 발생한 차량 고장 등에 대한 수리 및 정비 업무(무상A/S와 유상A/S포함)를 담당하고 있는 A/S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01년 라오스 수도인 비엔티엔에 설치된 첫 A/S 센터를 시작으로 하여 현재 주요도시에 A/S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딜러들이 간단한 차량수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엘브이엠씨가자체 판매한 차량에만 한정하지 않고 기타 여러 자동차에도 장착될 수 있는 부품 또한 판매하여 보다 폭넓은 시장을 점유할 계획입니다.
엘브이엠씨는 엘브이엠씨가 판매한 차량에 대한 일반/정기 점검과 고장/사고 차량 수리를 포함한 포괄적인 무상/유상 보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적인 A/S 센터들을 비엔티엔과 사바나켓 등에 설치 하였습니다. 또한, 엘브이엠씨의 직영 쇼룸 및 딜러쉽에서는 기본적인 수리 및 유지서비스와 기타 보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본 보고서 기준일 현재, 엘브이엠씨는 코라오케어 센터를 포함하여 라오스 내 주요 지역에서 A/S센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보증에 따른 수리 및 유지 서비스는 엘브이엠씨의 고객과 동의한 판매조건에 의거하여 제공됩니다. 차량 제조사들은 엘브이엠씨가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수리 및 유지 서비스에 관련된 가격을 정하고 있습니다.엘브이엠씨가 제공하는 신차에 대한 A/S 비용은 관련 제조사들이 지불하며, 'KOLAO' 브랜드 오토바이와 'DAEHAN' 브랜드 자동차와 관련된 보증 A/S 비용은 엘브이엠씨에서 지불합니다. 엘브이엠씨의 미보증 수리 및 유지 A/S 비용은 고객이 부담하고 있습니다.
주요제품
'기업분석 > 자동차-조선-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엔지니어링 주가전망 및 사업 , FPD장비의 개발과 제조 및 판매 (0) | 2021.08.06 |
---|---|
SNT에너지 주가전망, 배당금 800원 - 공랭식열교환기와 배열회수보일러, 복수기 및 탈질설비 (0) | 2021.08.03 |
에이루트 주가방향과 배당금, POS Printer, Label Printer, Mobile Printer, 신용카드 조회기용 Printer (0) | 2021.07.21 |
자비스 주가전망 및 배당금, 반도체 검사장비(Xscan_반도체)/PCB 검사장비/Xscan_2차전지/식품 이물 검사장비 (0) | 2021.07.20 |
파크시스템스 사업 및 주가전망, 배당금 180원 - 원자현미경(AFM)을 개발, 생산, 판매 (0) | 2021.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