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서연이화'라고 표기합니다.
영문으로는 'SEOYON E-HWA CO., LTD.'로 표기하며, 약식으로는 '(주)서연이화' 라고 표기합니다.
※ 당사는 한일이화 주식회사에서 2016년 1월 1일에 주식회사 서연이화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중소기업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2014년 7월 1일을 분할기준일로주식회사 서연(舊; 한일이화(주))으로부터 인적분할 방식으로 분할되어 2014년 7월 2일자로 설립등기 되었으며, 2014년 8월 8일 유가증권시장에 주권을 상장하였습니다.
- 주 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부림로 170번길 41-22
- 전화번호 : 031-420-3200
- 홈페이지 : http://www.seoyoneh.com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08, 11층 으로부터 2020년 4월 1일 부로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부림로 170번길 41-22로 본점을 이전하였습니다.
서연이화는 자동차용부품(승용차 내외장품 및 상용차 SEAT) 전문생산업체로서 자동차 산업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으며, 완성차 메이커인 현대자동차(주) 및 기아자동차(주)의 부품 협력업체로서 생산부품의 상당량을 현대자동차(주) 및 기아자동차(주)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주요 생산품은 자동차 내측의 Door Trim, Console, Head Lining, Package Tray 등의 인테리어 부품과 Bumper 등의 익스테리어 부품 및 상용차용 SEAT를 생산하고 있으며 해외법인들을 통하여 현대자동차(주) 및 기아자동차(주)의 해외 현지법인뿐만 아니라 벤츠, 폭스바겐, 포드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도 부품을 공급하며 글로벌 부품 메이커로서의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습니다.
서연이화 종가는 10,250원으로 마무리되었다.
52주 고가 10,900원 52주 저가 3,055원으로 나온다.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상의 출자총액제한기업집단 또는 상호출자제한, 채무보증제한 기업집단에 해당되지 않으며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기업집단 (주)서연에는 당사를 포함한 8개의 국내 계열회사와 45개의 해외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가 있습니다.
(기준일 : 2020. 12. 31) |
업 체 명주 요 사 업사업자등록번호상장여부비 고
㈜서연 | 전문 서비스업등 | 113-81-01115 | 상장 | 국내 |
㈜서연이화 | 자동차부품의 제조 및 판매등 | 220-88-82958 | 상장 | 국내 |
㈜서연탑메탈 | 금형 및 기계부품 제조 및 판매등 | 139-81-02284 | 상장 | 국내 |
㈜서연인테크 | 자동차부품의 제조 및 판매등 | 403-81-09664 | 비상장 | 국내 |
㈜서연씨엔에프 | 자동차부품의 제조 및 판매, 합성수지 제품 제조 판매등 |
620-81-15553 | 비상장 | 국내 |
㈜서연오토비전 | 자동차부품의 제조 및 판매등 | 312-81-51755 | 비상장 | 국내 |
㈜서연인더스트리 | 자동차부품의 제조 및 판매등 | 620-81-42986 | 비상장 | 국내 |
㈜지산소프트 | 정보서비스업등 | 220-81-90314 | 비상장 | 국내 |
※ 기업집단 (주)서연의 해외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 현황
※ 사업자등록번호는 국내계열회사에 한하여 기재하였습니다.
서연이화는 최근 3년간 매년 100원씩 배당금을 주고 있습니다.
자동차산업은 한나라의 경제력과 기술수준의 잣대가 될 뿐만 아니라 산업구조 고도화와 경제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국가중추 산업으로 철강, 기계, 화학, 유리, 플라스틱 등의 소재산업과 2만여 개의 부품을 만드는 부품업체들이 연계되어 있어 광범위한 산업 기반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국내 경제에 대한 직접적인 전후방 산업 연관 효과가 큰 산업입니다. 자동차의 전방산업으로 철강, 금속, 유리, 고무, 플라스틱, 섬유, 도료등의 소재산업과 시험연구 및 제조설비사업이 있고, 제조 후에 일어나는 후방산업으로 이용부문의 여객운송, 자동차임대, 주차장 등 운수서비스 산업, 판매·정비부문의 자동차 판매 및 부품·용품 판매, 자동차 정비 등의 유통서비스 산업이 있습니다.
최근 세계 경제의 경쟁구도가 글로벌화 함으로써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해외 진출에 따른 해외 현지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부품 회사들도 해외 동반 진출 및 현지 기업과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부품산업 또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자동차 부품의 핵심기술 개발 및 독자기술 확보가 요구됩니다.
(1) 자동차 산업 전망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의 자동차 생산/판매 실적 자료에 의하면 2020년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대비 약11% 감소한 351만대였으며, 자동차 내수 규모는 전년대비 4.7% 상승한 161만대, 수출은 전년대비 약 21% 감소한 189만대로 집계되었습니다.
수출이 감소한 이유로는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 영향으로 주요국 셧다운 및 락다운등의 조치로 글로벌 자동차 수요가 급격히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비록 생산대수는 전년대비 감소하였으나, 2020년 국내 자동차산업의 국가별 생산순위는 인도와 멕시코를 제치고 전년도 7위에서 5위로 상승하였으며, 내수 판매는 글로벌 주요국 중에서 유일하게 증가를 기록하며 해외 경쟁국 대비 선방하였습니다.
한편, 2021년 국내 자동차 내수는 국내경기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소비여력 회복 지연, 정부 지원책 및 업계 신차출시가 전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전년비 4.4% 감소한 182만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수출은 전년도에 적체된 수요의 실현과 SUV, 전기차, 고급차 등 국산차의 경쟁 제고를 기반으로 22.9% 증가한 230만대 수준, 생산은 수출 증가로 전년비 10.3% 증가한 380만여대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1년 세계 자동차시장은 백신접종 본격화에 기반하여 코로나 사태가 안정된다면 자동차 판매는 대기수요와 정상수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수요가 한층 증가할 것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백신접종이 예상보다 더딤으로 인해 코로나 종식 가능성의 지연과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안정의 장기화 등의 불안정한 측면이 상존해 있는 상황입니다.
(2) 차종별 선호도 변화
국내 자동차 시장은 전통적으로 승용차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시장이었습니다. 상대적으로 협소한 국토와 밀집된 생활환경, 가파른 도시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캠핑 문화의 발달,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소비문화 변화, 안전성 중시 등의 영향으로 SUV 차량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날로증가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승용차 선호도는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이는 비단 국내 자동차 소비시장에 한정된 현상이 아니라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전세계적인 SUV 선호 현상은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생산데이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5년 국내에서 생산한 완성차 중 약 52%가 승용차종이었으나, 2020년에는 SUV 차종의 비중이 약55%로 전체 생산차종의 절반을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이와 같은 자동차 차종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 변화는 완성차업체, 그리고 당사와같은 부품업체가 연구, 설계, 개발 하는 과정에서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일 것입니다.
<국내 자동차 차종별 생산 현황>
다. 경기변동의 특성
자동차 산업은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경기 침체기에는 자동차의 수요가 다른 소비재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동차 수요는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경우 구매력 감소와 더불어 소형차 중심의 구매패턴을 보이는 반면, 경기 회복기에는 보유차량의 가격을 연간 소득의 일정비율에 맞추어 구매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경제성장률, 실질구매력의 증감 및 국제유가 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경기침체에 따른 자산가치 하락, 가계부채 증가 등에 기인한 소비심리 위축과 고용불안정, 고유가의 지속으로 인한 유지비 부담 증가등은 자동차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경기회복시에는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과 고용증가, 국내유가 안정 등의 긍정적인 요인으로 판매확대의 경향을 보입니다.
이외 차량구매 및 유지비용, 수입차의 시장점유율, 신차효과 등도 자동차 내수판매에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EU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배기가스 규제 등 환경규제를 급격히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가 수요 확대의 조건으로 떠오르고 있을 정도로 환경에 대한 규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주요국들은 연비규제의 강화를 통해 친환경차의 보급을 확대하고 내연기관차량 생산을 2025년에서 2040년 사이에 대폭 감축하거나 중단할 계획임에 따라 친환경차가 상당한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각국은 매년 평균연비를 올리는 것과 동시에 평균 CO2 배출을 저감하는 방향으로 환경규제를 진행 중입니다.
따라서 향후에는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배출가스 및 연비규제에 대한 대응기술을 바탕으로 전기차를 필두로 한 친환경 기술이 자동차업체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기 때문에 자동차 업계는 차량 연비 개선을 강화하는 한편, 친환경 자동차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차 시장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수요는 더욱 폭발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앞다투어 전기차 신모델을 출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친환경자동차와 함께 4차산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센서기술 등을 활용한 다양한 기술을 결합하여 자율주행차의 발전속도 또한 상당히 빨라지고 있습니다. 완전한 자율주행단계인 레벨 5까지 발전해나가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자동차의 인테리어는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HMI(Human machine interaction) 중심의 편의성과 감성을 강조한 인테리어로 발전해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스웨이드와 같이 기존 시장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소재들이 소비자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친환경적 요소인 돌, 나무와 같은 친환경 소재와 스틸, 고무와 같은 리사이클링 이종 소재들이 조화를 이루는 전혀 새로운 느낌의 융복합 소재들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음성인식과 인공지능 홀로그램 비서 등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 복잡하게 나열되어 있던 물리적인 스위치류들은 음성 인식을 통해 실행되거나 필요할때만 보이게 하는 히든 스위치 또는 Smart Surface 등의 극도로 정제된 느낌의 미니멀 디자인으로 대체되며 자동차 내부는 점점 고급화 될 것입니다.
따라서, 자율주행차의 인테리어는 인터페이스를 보다 안전하고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게 추구하는 것이 핵심요소이므로 자동차 내장재와 외장재 전문 생산업체인 당사와 당사의 종속회사와 및 그룹사들에게는 새로운 도약의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입니다.
당사를 포함한 연결회사 및 그룹사들은 이와 같은 자동차 시장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연결회사간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자동차 내장제품에 전기전자 부문을 접목시키는 융·복합화를 통하여 사람을 보다 사람답게 인간과 소통하는 생명력이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함으로써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성장해나갈 수 있는 기업으로 발전해나갈 것입니다.
마. 시장점유율
당사와 종속회사들은 현대자동차(주) 및 기아자동차(주)에 자동차 내장제품, SEAT 및 전장제품을 생산 공급하는 업체로서 자동차산업의 특성상 국내외 시장에서 부품사의 점유율에 대한 통계 자료는 생성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사는 국내 자동차내외장재 부품 시장에서 현대ㆍ기아자동차의 주요 협력업체일 뿐만 아니라 미국, 멕시코, 중국, 인도, 유럽 등 글로벌 각지의 생산기지에 동반진출하여 부품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ㆍ기아자동차 내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바.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
(1) 경쟁력 요인
자동차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자동차부품산업은 완성차업체와 분업적 산업체계로, 부품업체의 제품 기술력 및 가격이 완성차 업체의 경쟁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글로벌시장에서도 높은 품질 수준의 기술경쟁력과 더불어 치열한 가격 경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완성차 업체뿐 아니라 부품업체에도 지속적인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부품 소싱 체제를 갖춘 외국 완성차업체 및 부품업체가 국내시장에 진출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국내 부품업체의 국제경쟁력 확보가 시급히 요구됩니다.
제품의 품질 관리를 위해서는 제품의 안전성, 디자인, 신기술 등 제품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하고, 신제품 개발비용, 제조생산비, 금융비용 등을 포함한 총체적인 비용절감을 통해 가격경쟁력과 수익성 증대가 요구됩니다.
(2) 회사의 경쟁 요소
당사는 미국 Automotive Data Center 에서 전세계 자동차부품업체를 조사하여 발표하는 세계 상위 100대 자동차 부품업체(Global Top 100 parts Suppliers) 리스트에서2019년 기준 94위에 랭크되며 글로벌 자동차 내외장제 제조업체로서 경쟁력을 지니고 그 입지를 탄탄히 다져가고 있습니다.
당사를 포함한 연결회사는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자 완성차 업체의 신차개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생산 제품의 상품성을 강화하기 위해 신소재, 신제품 개발 및 새로운 제품 모델을 DESIGN하여 제안하는 등 연구개발, 품질 및 기술경쟁력 확보를중점 경영방침으로 정하고 있으며, 제품의 특성과 완성차 업체의 생산기지에 따라 계열사를 전문화하여 지속적으로 국내외 시장확대를 추진해 가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및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의 결과 최근에는 당사가 완성차 업체 등과공동 개발한 '자동차 내장부품용 무도장 복합 소재' 기술에 대한 공동 특허 6건을 출원 완료하며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와 매일경제신문에서 주관하는 2019년 27주차 IR52장영실상 수상 기술로 선정되었습니다.
본 기술은 자동차 내장트림 부품을 고급화하기 위해 플라스틱 소재 위에 도장을 하거나 가죽을 붙이던 기존 방식을 개선하여 유리장 섬유 복합소재 제조기술 등을 응용해별도 도장이 필요 없는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도어트림을 제조하는 기술입니다.
본 기술로 인하여 외관과 촉감은 기존 고급 내장재와 유사하고 기존 제품의 단점으로꼽혔던 냄새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발생량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제품을 기존 대비 간소화된 공정을 통해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는 만큼 향후 다양한 차종에 확대 적용해나간다면 원가절감 및 수익성 개선의 효과를 기대 할수 있을 것입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연구개발 역량에 더해 제품의 특성과 완성차 업체의 생산기지에 따라 계열회사를 전문화하고, 전문화된 계열회사간 시너지를 창출하여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대한 대응 역량을 증대시켜온 결과 국내 완성차 업체에 더해 벤츠, 포드, 폭스바겐, 아우디 등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신규 매출처로 확보하며 꾸준한 성장 발판을 마련해가고 있습니다.
당사와 연결회사는 아래와 같은 대응전략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영업확대를 전개하여 글로벌 자동차용 부품 시장에서 Global Auto Parts Leading Supplier로 성장해나갈 것입니다.
- 상품개발 전략 : 완성차 메이커의 TOTAL INTERIOR SYSTEM에 전략적 대응과 고부가가치 ITEM 위주의 상품개발 및 생산체체 확립
- 기술개발 전략 : R&D 강화를 위해 중앙연구소를 운영하고, 신기술, 신공법, 신소재 도입 등 독자 기술 확보에 중점
- 생산성향상 전략 :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공정 자동화 및 공정분석과 개선으로 원가절감을 통한 수익구조 개선
- 국제화 전략 : 해외 합작사를 통한 상품국제화를 추진하고, 해외 전문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하여 해외진출 및 수출사업 확대
- 매출처 다변화 전략 : 가격경쟁력, R&D 역량 및 품질ㆍ생산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계열회사간 상호 시너지를 창출하여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핵심 공급업체로 성장
자동차용 내외장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생산품의 대부분을 현대자동차(주) 및 기아자동차(주)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주요 생산품은 자동차의 DOOR TRIM, CONSOLE, LUGGAGE SIDE TRIM, HEAD LINING, 상용차 SEAT 등의 내장부품과 BUMPER, TAIL GATE TRIM, COWL TOP 등의 외장부품을 전문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각 지역별 매출액 및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주요 원/부재료에 대해서는 상기 현황과 같이 대부분 국내에서 조달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업계 특성상 주요 원재료에 대해서는 완성차 업체와 단가연동제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원재료의 가격 변동이 당사의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습니다.
'기업분석 > 자동차-조선-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용 조명 전문제조 - 금호에이치티 주가전망 및 배당금 사업 (0) | 2021.06.03 |
---|---|
유수홀딩스(구 한진해운홀딩스) 주가전망 및 배당금 - 포워딩,항만,운송 (0) | 2021.06.03 |
부산주공 주가 방향, 배당금과 회사개요 - 자동차부품 제고 및 가공업 (0) | 2021.05.29 |
현대중공업지주 종속기업 - 정유,선박,전기전자, 건설기계 (0) | 2021.05.29 |
현대중공업지주 주가 및 회사개요 (0) | 2021.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