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식품-음료

마니커 회사개요 배당금, 주가

.^. 2021. 5. 21.

목차

반응형

마니커의 회사개요, 배당금, 주가에 대하여 알아보자.

 

주식회사 마니커이며, MANIKER.CO.,LTD 영문명칭이다.

중소기업에 해당되지 않는다.

 

주 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용구대로 2219번길 3 (신갈동)
전화번호  031 - 281 - 5300 
홈페이지  www.maniker.co.kr

목적사업

당사는 육계계열화 업체로서, 계육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함
K-IFRS에 따라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되는 자회사가 영위하는 사업으로는 생계 생산(농업회사법인(주)에스앤마니커)이 있음

현재 계열회사의 총수는 최상위지배회사인 (주)이지홀딩스(전, (주)이지바이오)를 포함하여 50개 입니다. 

 

마니커 회사개요 배당금, 주가

최근 3개년 배당금

마니커 회사개요 배당금, 주가

마니커는 최근 3개년도 배당 내역이 없다.

 

[주요 사업부문별 회사현황]

 

사업부문구 분사업의 내용주요 회사비 고

신선육사업부문 도계, 제조 및
축산부문
도계 및 계육 제품 생산 (주)마니커 유가증권
생계 생산 농업회사법인(주)에스앤마니커 비상장


[주요 사업부문별 요약재무정보]

(단위 : 천원)

구 분신선육사업부문단순합계연결조정합 계도계 및 제조축 산

매출액 215,406,025 2,814,554 218,220,579 (3,425,952) 214,794,627
영업이익 (8,485,455) (83,648) (8,569,103) 206 (30,941,490)
자 산 188,901,086 4,068,470 192,969,556 (870,836) 192,098,720
부 채 117,452,582 3,630,512 121,083,094 (870,856) 120,212,238

 

가. 업계의 현황

우리나라에서 닭을 기른 것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196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국내 육계산업은 가내수공업 수준을 면치못하여 1930년대엔 닭 1마리에 2원으로 쇠고기 2.4Kg의 가격과 비슷한 정도의 높은 가격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출처: 한국계육산업 발전사 2002) 그러나 60년대 중반 본격적으로 고기만을 얻기위한 육계가 보급되면서 닭고기가 대량생산되어 대중화되기 시작되었으며 80년대에는 마니커(85년), 하림(86년)등 대형 계육업체가 닭고기 대량생산을 본격화하면서 현재의 대량생산 및 소비의 시대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닭고기의 최대 강점은 3대축종(닭고기,돼지고기,쇠고기) 중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다는 데 있습니다. 이미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닭고기 소비가 3대 축종 중 1위를 하고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1인당 육류 소비에서 닭고기가 쇠고기를 추월하였습니다. 선진국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육계산업의 성장에 중요 요소로 작용될 전망입니다.


1) 업계의 개황

우리나라의 육계산업은 육계계열화사업을 통해 산업의 기틀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특히 계열화사업은 다른 어떤 사업보다도 농가에 실질적인 이익이 되어왔으며 육계시장에 있어 계열업체의 비중은 현재 거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계열화사업은 사육, 생산, 유통의 1, 2, 3차 산업이 망라되어 있는 종합된 사업으로서 중간 이윤을 배제하여 소비자 가격의 안정 및 품질향상, 식품 안정성에 기여하여 왔습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소비시장은 절대빈곤을 오래 전에 벗어나 지금은 양이나 가격보다는 질을 식품선택의 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수입개방의 환경 가운데서도 국산 냉장 닭고기와 수입 냉동 닭고기의 질적인 면에서의 차이로인하여 육계산업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백색육으로서의 닭고기의우수성에 대한 인식 또한 증가하여 닭고기의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업계 현황

가) 수급현황 
2020년의 닭고기 총소비량은 2019년대비 0.1% 증가한 727.6천톤, 1인당 소비량은 14.7kg 입니다.
국내 생산량은 2019년대비 0.8% 증가한 641.6천톤이며, 닭고기의 수입량은 2019년대비 0.7% 감소한 139천톤 입니다.

(1) 시장 규모 추이(도계량 기준)
                                                                (농림수산식품부 동물검역과 도축실적)

구  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금액(억원) 29,162 29,934 28,229 30,304 31,969 30,870
도계량(백만수) 966.9 992.5 936.0 1,004.8 1,060.0 1,070

ⅰ) 생계 평균시세 /Kg를 기준으로 함.
ⅱ) 생계의 지육율은 65%(농림부 자료)
ⅲ) 평균 중량은 1Kg으로 계산(₩1,606 + ₩40) ÷ 0.65 + ₩353 = ₩ 2,885

(2) 국내 닭고기 소비 현황(정육기준)

(단위 : 천 톤)

구       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총소비량(천톤) 675.8 679.0 661.7 701.5 727.1 727.6
1인당소비량(Kg) 13.4 13.8 13.3 14.2 14.7 14.7
총생산량(천톤) 585.3 599.5 564.9 603.0 636.4 641.6
수입량(천톤) 118.6 102.6 102.8 125.6 140.0 139.0

* 출처 : 한국농촌경제원구원_농업전망 2021_가금류 수급 동향과 전망
* 2020년은 농업관측본부 추정치임.

3) 경쟁 상황

국내 닭고기 시장은 40여개 업체의 경쟁 상태이나 소규모  업체들이 많이 난립해 있습니다. 그러나 포장유통 의무화 및  축산물 표시법의 발효로 마니커와 하림 등의 대형업체의 시장 지배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신선육의 경우 제품의 특성상 마니커를 제외한 대부분의 업체가 지방에 위치하고 있으나 마니커는 동두천 및 천안에 위치하고 있어 대량소비처에 대한 접근성에서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관계회사인 농업회사법인(주)안성을 통하여 종란을 확보하여 원재료인 초생추의 안정적인 조달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사회적인 웰빙 식생활 문화의 흐름에 발맞춰 당사는 다양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 한편 손쉽고 간편하게 즐길수 있는 제품등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성장 잠재력이 큰 프리미엄 제품인 친환경 닭고기의 매출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조리가 간편한 춘천 닭갈비와 닭불고기 정육등의 반조리 제품은 바쁜 현대인의 생활에 가장 유용한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후발업체의 신규 참여 또한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진입장벽이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4) 향후 전망

국내 닭고기 산업은 사회 전반적인 소득증가로 인하여 건강에 대한 관심과 영양적 가치, 편의성을 추구하는 성향이 늘고 있습니다. 기존 통닭 위주의 소비 개념에서 부분육이나 2차 가공품으로 선진화되며, 외식산업의 발달과 체인사업체의 증가로 인하여보다 제품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소비의 증가와 함께  품질의 차별화를 이루고 건강이나 기능성 차원에서  영양이 풍부하고 저렴한  닭고기를 선호하는 소비 패턴은 지속적이고 점차 확대되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가) 성장성

국내 1인당 닭고기 소비량은 2005년 7.6Kg을 기록한 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에는 약 14Kg으로 추정됩니다. (출처: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21 닭고기 수급전망) 선진국의 사례에서 보듯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백색육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여 향후에도 닭고기 시장의 성장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가 고도화될수록 저지방 단백질원인 닭고기의 소비량은 늘어나고 있으며 현재 닭고기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단백질원임을 감안할 때 육계산업의 성장성은 지속성을 지닐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배송(택배)업 성장으로 인해 온라인 매출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국내외 경제 위축, 외식업 수요 급감, 학교급식 중단 위험에도 불구하고 비대면 배달서비스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1인가구의 지속적 증가 및 간편식 소비확대 인해 닭고기 즉석조리 및 훈제구이 제품 등이 편의점 및 온라인에서 지속적으로 매출성장하고 있습니다.
향후 이러한 식품소비문화변화로 인해 
닭고기 육가공시장의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 경쟁력

환율하락과 그에따른 낮은 단가의 수입닭고기 수입량 증대로 인한 국내 닭고기 시장의 파장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국내 닭고기 시장의 85% 이상이 신선육으로 유통되고 국내 소비자들이 신선육 위주로 소비하는 것을 감안할 때 냉동상태인 수입닭고기에 대하여 질적인 면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포장 유통 및 원산지표시가 정착되면 차별화로 인한 수입냉동 닭고기와의 경쟁력에서 더욱 우위를 점할 수 있으리라 전망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