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스는 진공장비, 반도체장비 및 평판디스플레이양산장비 제조를 주 사업목적으로 하며 2002년 4월 10일 설립되었으며, 2017년 9월 29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주권상장법인 입니다.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1) 회사명칭 : 주식회사 야스
2) 약식표기(국문) : (주)야스
3) 영문표기 : YAS Co., Ltd
4) 약식표기(영문) : YAS
본점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한산로 69 |
전화번호 | 031-904-8591 |
홈페이지 | http://www.yasoled.com |
디스플레이 장비산업으로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을 위한 장비 중 증착공정 장비에 속하는 증착시스템, 증착원을 제작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야스 배당금은 2020년 100원 지급이 되었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기존의 CRT에서 LCD에서 OLED로 발전하는 과정을 거쳐 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장은 지난 수년간 LCD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성장해왔으나, 최근에는 그 성장의 무게중심이 OLED로 전환되었으며,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역시 LCD 제조장비에서 OLED 제조장비로 성장의 축이 전환되었습니다. 당사는 OLED 제조장비의 핵심 기술인 증착기 및 증착원 기술을 보유하여 패널업체에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최근 디스플레이는 초박형, 초경량화, 저전력, 고해상도, 고휘도 등의 고성능 사양의 요구 외에도 유저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소형모바일부터 대형 TV에 이르기 까지 화면이 휘어진 형태로 디스플레이 기술은 진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foldable, wearable, rollable로 발전되는 트랜드에 맞춰 산업 전반에 걸쳐 개발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내년 중으로 foldable display 성능을 가지는 휴대폰 출시가 임박해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미래 disposable, stretchable까지 가능한 기술도 개발하여 관련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업계에서는 앞다투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OLED가 각광받은 이유는 기존 LCD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한계를 넘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요구되는 고성능의 디스플레이 성능과 산업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형태의 외형적인 부분까지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갤럭시 모바일폰과 OLED TV 제품은 이미 일상 생활에 들어온 지 오래된 상황이며 PC와 노트북용 모니터, 자동차용 디스플레이와 사이니즈 영역까지 넓히고 있는 OLED 관련 기사는 손쉽게 접할 수가 있습니다. OLED는 일찍이 기존 LED와는 다르게 면발광, flexible, warm white 등의 강점으로 차세대 조명용으로도 각광을 많이 받아 왔으며 현재는 실제 제품으로도 출하되고 있어 향후에는 LED조명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브라운관(CRT) | 진공 상태에서 음극선에서 나오는 전자가 화면의 형광면에 충격을 주어 발광하게 함으로써 시각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 |
평판 디스플레이 | LCD | 액정에 주어지는 전압에 따라 광의 특성을 변조하는 원리를 이용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TV등 디스플레이 전반에 걸쳐 활용. |
PDP | 전면 유리 기판상의 전극간에 전압을 가한 후 발생된 자외선이 형광체를 자극하여 가시광선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며, 자체 발광형 표시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대면적화에 유리하여 대형 벽걸이용 TV로 활용. | |
OLED | 전자(-)와 정공(+)의 결합과정에서 나오는 자연발광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로 현재 모바일 시장에 적용 중이며, TV를 비롯한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확대 전망. OLED는 PMOLED와 AMOLED로 나뉘지만 대부분 AMOLED이므로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OLED라 함은 AMOLED를 의미함. |
|
FED | CRT와 유사하게 진공속에서 전자가 화면의 형광체를 발광시키는 디스플레이. CRT와 달리 각 화소마다 음극이 있으므로 음극관이 필요 없어 CRT에 비해 얇은 형태로 구현 가능. | |
기타 | PROJECTION | 스크린에 투사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대형 스크린 등 평판디스플레이가 실현하기 어려운 영역에 응용. |
3D | 시차발생 필터기술 원리를 이용해 입체적인 영상을 구현하며, 대부분의 평판디스플레이 및 projection 디스플레이로 이용 가능. | |
FLEXIBLE | 전자종이 기술을 포함한 종래 디스플레이 기술을 유연한 기판에 구현하여 종이처럼 얇고, 가볍고, 깨지지 않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
(가) OLED 정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는 빛을 내는 층이 전류에 반응하여 빛을 발산하는 유기 화합물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박막 발광 다이오드(LED)입니다. OLED는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소자, 키패드용 광원, LCD 백라이트 등 IT기기 광원, 조명 등에 응용할 수 있어 잠재 응용 범위가 넓은 특징이 있습니다. 현재 OLED는 디스플레이 분야에 가장 널리 으용되고 있으며 향후 조명 등에도 광범위하게 응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OLED 디스플레이는 자발광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백라이트 등의 보조광원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아주 얇은 디스플레이 제작이 가능하며, 시야각이 넓어 디스플레이로서 손색이 없고, 응답속도가 마이크로초 이하이기 때문에, 동영상 구현에 적합합니다. 또한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에도 대응이 가능합니다.
(나) OLED vs. LCD
기존 디스플레이 시장은 TFT-LCD가 주도하고 있었으나, 현재 점차적으로 OLED의시장으로 확대대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디스플레이 시장을 주도할 두 가지 방식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CD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색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자체 발광이 아니나 OLED는 유기 화합물로 전기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 발광 물질입니다. 즉, LCD는 백라이트(최근 LED 사용)를 사용하며 인가된 외부 전압에 따른 액정의 상태 변화와 Color filter를 통해 외부로 나오는 빛을 우리가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OLED는 저류 구동에 의해 발광 소자( RGD 화소)로부터 직접 빛을 방출시키는 방식으로 필터나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자 구조가 단순하며 두께 또한 LCD에 비해 얇아 초박형 디스플레이 구현이 용이하며 필터링 없이 자연 발광된 빛을 사용하기 때문에 휘도, 시야각, 응답속도 등에서도 월등히 우수하여 최근 LCD를 대체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LCD, OLED 성능 비교
디스플레이 장비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를 위한 각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를 의미합니다. 국내외 디스플레이 산업은 삼성전자, LG전자, BOE 등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가 선도하는 산업으로써, 디스플레이 장비 및 부품·소재 제조 업체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업체가 요구하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OLED, 플랙서블(Flexible)등 신규 디스플레이 시장의 확대됨으로써 패널 제조 업체에서 신규 투자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설비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공정이 고도화되면서 설비 요구 사양의 증가로 인한 디스플레이 장비 개발 및 고품질화가 요구 되고 있어, 산업의 부가가치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야스가 영위하고 있는 OLED 제조 공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폴리이미드 코팅 및 경화 -> LTPS TFT 제조(열처리, 결정화 공정 포함) -> 유기물 증착 -> 봉지 -> 유리기판 제거(LLO) 공정으로 구성됩니다.
제조 공정의 큰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폴리이미드 코팅
유리 소재의 Glass Substrate에 액체 상태의 폴리이미드 (Polyimide)를 올립니다.
(나) 폴리이미드 열처리
PI Curing장비(열처리 장비)를 통해 500도 미만의 온도에서 장시간 열처리를 하면 폴리이미드가 딱딱하게 굳으며 디스플레이 기판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다) LTPS TFT 제조(열처리, 결정화 공정 포함)
이렇게 만들어진 PI층 위에 디스플레이의 각 화소를 조절하는 TFT가 올라가게 됩니다. TFT 공정은 통상적으로 세정->증착->노광->현상->식각으로 이루어진 Mask공정을 반복하며 회로를 하나씩 쌓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a-Si TFT에 열처리 공정과 Laser Annealing(결정화)를 통해 LTPS TFT가 됩니다.
(라) OLED 유기물 증착
제조된 LTPS TFT위에 OLED 소재들을 증착합니다. 소형 OLED의 경우 Red, Green, Blue 유기물질을 각각 독립적으로 패터닝하는 RGB방식이 사용됩니다.
(마) 박막 봉지층 형성
증착된 유기 재료는 수분 및 산소에 취약한 성향을 띄기 때문에 기판을 보호해주는 봉지 공정이 진행됩니다. 과거에는 투명한 Glass로 봉지를 했었으나, 최근에는 박막필름을 활용해 봉지층을 구성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바) 유리기판 제거
Laser Lift Off장비를 통해 레이져를 쏘아주면 Flexible OLED에서 공정 제일 처음에 투입된 Glass Substrate가 떨어지게 됩니다.
(사) 하판 보호용 Base Film 부착
Glass가 떨어져나간 이후 PI층을 보호하기 위해 Base Film 을 붙이게 됩니다.
(아) 터치센서, 편광판, 보호필름, 커버윈도우 부착
상단의 박막봉지층 위로 터치센서, 편광판, 보호 필름을 올리고 마지막으로 OLED 패널의 상판을 보호하는 커버윈도우를 붙이면 Flexible OLED패널이 완성됩니다.
최근 OLED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TV 제품에도 적용되어 LCD를 대체할 디스플레이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플렉서블 OLED가 상용화됨에 따라 기존의 스마트폰, TV 등의 완제품에서는 Form Factor 차별화가 확대대고, 신규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상업용 디스플레이로 확대되는 등 이에OLED의 시장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디스플레이산업 주요 통계에 따르면, 글로벌 LCD 디스플레이 시장규모는 2020년 925억 달러에서 2026년 902억 달러로 시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지만, OLED부문은 2020년 296억달러에서 2026년 482억 달러로 연평균 8.5%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디스플레이 품질 및 양산 수율 개선, 수요처 확대 등을 통해 OLED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규모 및 전망(금액기준)
OLED 부문별로 살펴보면 글로벌 시장에서 모바일용 중소형 패널은 2020년 253억 달러에서 2026년 400억 달러로 연평균 7.9% 성장할 전망이며, TV용 대형 패널은 2020년 43억 달러에서 2026년 82억 달러로 연평균 11.4%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중소형 패널 기준 OLED의 제조원가가 LCD 원가에 근접하였고, 향후 제조원가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스마트폰 시장에서 OLED 채택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형패널 부문에서는 양산수율 개선,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한 제조원가가 낮아지고, 중소형 패널과 마찬가지로 TV 시장에서 OLED 대형 패널의 적용이 확대되어 전체 OLED 패널 중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스플레이 및 OLED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관련 디스플레이 장비시장 규모 또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상품의 기술 및 디자인의 다변화 등 소비 시장의 니즈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산업의 구도에도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20년 세계 디스플레이 장비 시장 규모는 OLED 장비의 시장 확대에 따라 148억달러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OLED 및 Flexible 해외 투자 확대에 따른 장비 수출 동향은 2015년 1,647백만달러에서 2020년 3,069백만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야스 주요 제품
'기업분석 >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나텍 주가전망 및 배당금, 슈퍼커패시터, Lead Type (0) | 2021.07.08 |
---|---|
블루콤 주가전망 및 배당금, 블루투스 헤드셋(무선이어폰) 및 스마트폰 부품으로 리니어 진동모터 (0) | 2021.07.03 |
신성이엔지 주가 및 배당금, 클린룸 사업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 (0) | 2021.06.23 |
3S 사업 내용 - 칼로리메타 및 환경구현장치, 웨이퍼 캐리어(FOSB), 에어컨압축기 (0) | 2021.06.18 |
3S 삼에스코리아 주가방향 및 배당금 - 반도체 웨이퍼캐리어, 환경장치 (0) | 2021.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