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생명의 기업정보, 회사정보 배당금에 대하여 알아보자.
'동양생명보험㈜'로 표기하며, 영문으로는 'TONGYANG Life Insurance Co., Ltd.'로 표기합니다.
생명보험업을 주업으로 1989년 4월 20일 한국의 ㈜동양[舊동양메이저㈜]과 미국의 Mutual Benefits Life Insurance Co.가 공동출자하여 동양베네피트생명보험주식회사로 설립된 후 외국인 지분이 정리됨에 따라 상호를 동양생명보험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2000년 7월 1일자로 태평양생명보험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으며, 당기말 현재 20개의 본부(사업단)와 91개의 지점조직을 운영하며 인보험 등을 주요 영업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9년 10월 8일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유가증권시장에 보통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 주소: 서울시 종로구 종로 33(청진동)
○ 전화번호: 1577 - 1004
○ 홈페이지: www.myangel.co.kr

목 적 사 업
본회사는 다음 각호에 기재된 사업과 이에 관련된 부수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보험업법 및 기타 법령에 의해 영위가능한 보험업 2. 보범업법 및 기타법령에 의해 허용되는 자산운용 3. 보험업법 및 기타법령에 의해 허용되는 사업 4. 기타 금융위원회 등 감독기관의 인ㆍ허가 등을 받은 업무 |
(가) 기업집단의 명칭 : Dajia Insurance Group(다자보험그룹)
(나)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로는 동양생명보험(상장, 생명보험업), 에이비엘생명보험(비상장, 생명보험업), 에이비에이금융서비스(비상장, 보험대리점업)이 있으며, 각 회사의 최대주주는 Dajia Life Insurance, Anbang Group Holdings, 에이비엘생명보험입니다.
(2) 계열회사간의 지배ㆍ종속 파악을 위한 출자 현황
(2020.12.31 현재) |
출자회사Dajia Life Insurance
Co., Ltd.
(외국인투자등록번호
40954)Anbang Group Holdings Co. Limited(외국인 투자등록번호43339 동양생명보험(주)(법인등록번호110111-0624688)에이비엘생명보험(주)(법인등록번호 110111-0007032)피출자회사
동양생명보험(주) (법인등록번호 110111-0624688) |
42.0% | 33.3% | 3.4% | - |
에이비엘생명보험(주) (법인등록번호 110111-0007032) |
- | 100.0% | - | - |
에이비에이금융서비스(유) (법인등록번호 110114-0234267) |
- | - | - | 100.0% |
주) 동양생명보험 3.4%는 자기주식을 의미 |
주요배당지표
구 분주식의 종류당기전기전전기제32기제31기제30기
주당액면가액(원) | 5,000 | 5,000 | 5,000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128,582 | 115,226 | 54,766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 | 151,542 | 51,318 | |
(연결)주당순이익(원) | 825 | 739 | 351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34,289 | 35,847 | 15,586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26.7 | 31.1 | 28.5 | |
현금배당수익률(%) | 보통주 | 5.9 | 5.3 | 2.1 |
종류주식 | - | - | - | |
주식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 |
종류주식 |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220 | 230 | 100 |
종류주식 | - | - | - | |
주당 주식배당(주) | 보통주 | - | - | - |
종류주식 | - | - | - |
주1) 제32기 (연결)당기순이익, (연결)주당순이익은 개별 기준 주2) 제30~31기 (연결)당기순이익, (연결)주당순이익 및 (연결)현금배당성향은 지배주주지분순이익 기준 주3) 제32기 배당사항은 정기주주총회(2021.3.30 예정) 승인전 금액으로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부결되거나 수정될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 |
가. 금융업
2020년 금융산업은 대내외적 불확실한 경제상황으로 어려운 환경이 지속되었습니다. 국제경제는 코로나19 글로벌 확산에 따른 글로벌 성장 하락 등 영향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큰폭으로 확대되는 불확실한 환경이 계속되었으며, 국내경제 또한 코로나19 영향으로 불확실한 상황이 계속되었습니다.
또한 같은기간 국내 금융환경은 국내외 불확실한 환경에 따라 불안한 상황이 지속 되었으며, 대내외 환경의 불확실성으로 코스피, 금리, 환율 등 금융지표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향후에도 코로나19, 주요국 무역갈등, 경제 불확실성 등의 대내외변수로 대내외 금융시장 불안 및 어려움은 계속해서 가중될 수 있습니다. 또 대내외 환경에 민감한 국내 금융환경 불안으로 주식시장, 금리, 환율 등 주요 금융지표의 변동성 확대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생명보험업
(1) 산업의 특성
생명보험은 주로 사람의 생사(生死)에 관한 사고로 인해 초래되는 경제적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성립된 제도로서, 많은 사람이 모여 합리적으로 계산된 소액의 보험료를 각출해서 공동 준비재산을 형성한 후 불의의 사고를 당한 사람에게 약정된 보험금을 지급해 줌으로써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경제준비의 사회적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명보험상품을 다루는 생명보험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보험은 대수의 법칙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가입자수와 보유계약이 크면 클수록 산출의 정확도를 기할 수 있고 안전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영규모를 확대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둘째 보험사업은 인지사업이라 하여 상품개발, 계약인수 및 관리, 판매에 이르기까지 인적 요소가 강합니다.
셋째 보험료와 보험금의 산정이 대수의 법칙과 수지상등의 원칙에 의해 계산되므로 일반기업에 비해 위험이 적고, 재보험으로 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요율 산정에 있어 수리적 기술성과 전문성을 요하므로 보험계리사를 두고 있습니다. 또 약관작성 및 해석에 있어 법률적 지식이 요구됩니다.
넷째 보험경영의 성과가 계약자는 물론 불특정 다수의 국민경제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므로 공공성과 사회성이란 특성을 지니고 보험업법 등에 의한 엄격한 국가 감독기구의 통제를 받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경기변동 및 금융시장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 보험산업에 있어서 생산가능 인구 감소에 따른 잠재성장률 하락, 가계 부채 등의 국내경제 어려움은 보험산업 성장의 저해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주요국 무역분쟁 등에 따른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대 등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의 대내외적 리스크 역시 성장성의 부정적인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3) 계절성
생명보험산업은 사람의 생사에 관한 사고를 대비하는 상품을 판매하는 산업으로 계절적인 수요의 영향이 매우 적습니다.
(4) 시장여건 및 시장점유율
향후 생명보험 시장은 경기둔화,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의 영향에 따라 수입보험료가 감소될 수 있으며, 새로운 회계제도 및 지급여력제도의 도입 등 제도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생보험계는 경영효율 개선, 수익성 제고, 신기술 접목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경주해야하는 상황입니다.
또한 생명보험 시장의 경우 전통적으로 상위 3사가 수입보험료 60% 내외를 점유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왔습니다. 과거와 비교하여 이들 상위 3사의 점유율은 감소하였고, 상대적으로 국내 중소형사의 시장 점유율은 증가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상위3사의 2006년 3월말 일반계정 수입보험료의 시장점유율은 64%였으나, 2020년 11월말(NH농협생명 제외) 시장점유율은 50% 수준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반해 같은 기간 국내중소형사의 일반계정 수입보험료는 18%에서 33%로 상승하였으며, 국내중소형사에 포함되어 있는 당사의 시장점유율은 약 6.7%를 기록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를 포함한 일부 생명보험회사 경우 대주주 변경으로 아래 중소형사 및 외국사 분류기준은 변경되어야하나 이전 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과거 분류기준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입보험료 시장점유율 추이>
(단위: %) |
구 분FY20 4Q(20.11월)FY19 4Q(19.12월)FY18(18.12월)FY17(17.12월)FY16(16.12월)FY15(15.12월)FY14(14.12월)FY13(13.12월)FY12(13.3월)FY11(12.3월)FY10(11.3월)FY09(10.3월)FY08(09.3월)FY07(08.3월)FY06(07.3월)FY05(06.3월)
일반계정 | 상위3사 | 49.5 | 48.3 | 48.1 | 47.3 | 47.2 | 48.9 | 51.1 | 51.0 | 53.4 | 47.8 | 49.3 | 52.0 | 55.2 | 57.6 | 61.2 | 64.2 |
외국사 | 17.9 | 18.8 | 19.0 | 18.3 | 15.8 | 17.8 | 17.8 | 16.9 | 15.7 | 18.6 | 19.7 | 20.8 | 19.9 | 20.6 | 18.8 | 18.0 | |
국내중소형사 | 32.5 | 32.9 | 32.9 | 34.4 | 37.0 | 33.4 | 31.1 | 32.1 | 30.9 | 33.6 | 30.9 | 27.2 | 24.9 | 21.8 | 20.0 | 17.8 | |
동양생명 | 6.66 | 6.63 | 6.3 | 7.2 | 8.2 | 4.9 | 4.8 | 5.4 | 5.3 | 5.2 | 5.2 | 4.3 | 4.0 | 3.6 | 3.2 | 2.9 |
(자료: 생명보험협회) 주1) 이전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상기 구분에서 NH농업생명을 제외하며, 국내중소형사는 당사를 포함 ○ 국내 생명보험 회사 분류 - 상위3사: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 중소형사 (12개사) : 동양생명, 신한생명, 흥국생명, 미래에셋생명, KDB생명, DB생명, KB생명, 푸본현대생명, DGB생명, 하나생명, IBK연금,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 당사는 대주주 변경으로 국내중소형사에서 외국사로 분류되어야하나 이전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국내중소형사로 분류 ※ 푸본현대생명은 대주주 변경으로 국내중소형사에서 외국사로 분류되어야하나 이전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국내중소형사로 분류 ※ 기존 외국사인 PCA생명은 FY2018부터 미래에셋생명으로 합병 - 외국사 (8개사) : 에이비엘생명, 푸르덴셜생명, 오렌지라이프생명, 라이나생명, AIA생명, 메트라이프생명, 처브라이프생명, BNP파리바카디프생명 ※ 오렌지라이프생명은 대주주 변경으로 외국사에서 국내중소형사로 분류되어야하나 이전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외국사로 분류 ※ 푸르덴셜생명은 대주주 변경으로 외국사에서 국내중소형사로 분류되어야하나 이전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외국사로 분류 주2) 생명보험산업 사업기간 변경 - 2012년 이전: 매년 04.01 ~ 익년 03.31 - 2013년: 2013.04.01~12.31 - 2014년 이후: 매년 01.01~12.31 주3) FY20 4Q는 2020.11월말 기준으로 11개월 누계 |
(5) 시장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 및 경쟁상의 강점
생명보험시장에서의 경쟁력은 판매채널, 상품, 자산운용 및 리스크 관리, 고객관리 등에 의해 좌우됩니다.
(가) 판매채널
인적 요소가 강한 보험사업에 있어서 양질의 판매채널 구축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첫번째 과제라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대면, 비대면, 온라인까지 다양한 판매채널을 구축하였으며, 각 채널들이 상호 보완하면서 시너지를 발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판매채널 보유는 당사가 중형사를 이끌어가는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원동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 상품
시장상황에 대응하는 상품개발은 시장에서 도태되지 않고, 영업규모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당사는 상품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내부 프로세스(마케팅, 상품, 고객, 판매채널간 유기적인 협업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시장에 부응하는 상품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 자산운용 및 리스크관리
수십년간 유지되는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보험사업에 있어서 안정적인 자산운용과 리스크관리는 회사의 영속성과 관련된 필수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환경속에서 자산운용 및 리스크관리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리스크모니터링을 통하여, 경영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라) 고객관리
보험상품은 1회 납입이 아닌 수십년간 납입을 통해 유지되는 상품입니다. 회사의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험계약이 계속 유지되어야 하며, 이는 고객서비스 품질 제고를 통해 가능합니다. 당사는 모바일을 활용한 고객과의 접점 확대, 콜센터 서비스 품질향상 등 지속적인 고객서비스 품질 제고 노력을 통하여, 다수의 고객서비스 품질 관련 수상(KSQI 우수 콜센터 선정) 등을 기록하였습니다.
(6) 회사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주요 수단
당사는 보험업의 기본에 충실하는 것이 곧 회사의 성장이라는 철학하에 '정도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입니다. 이는 안정적이고 수익성을 갖추고 준법에 입각한 성장이 회사와 고객과 직원을 위한 길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다양한 판매채널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비용구조의 혁신을 통해 전사적인 수익성을 확보하고, 제도변화에 능동적이고 발빠르게 대응하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19 등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불안 속에서 당사 2020년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1286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61% 증가한 1776억원을 기록하였으며, 매출액(영업수익)은 전년대비 11% 증가한 6조 9490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2020년 12월 현재 당사는 총자산 36조 2530억원 및 자기자본 3조 925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보험영업 실적을 나타내는 수입보험료는 일반계정 4조 9109억원과 특별계정 8578억원을 달성하였으며, 일반계정과 특별계정을 합한 수입보험료는 5조 7687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가. 보험계약현황
(2020.12.31 현재) | (단위:건, 백만원) |
구 분생존보험사망보험생사보험단체보험특별계정합계
건수 | 193,320 | 2,931,039 | 616,521 | 13,172 | 321,043 | 4,075,095 |
금액 | 6,727,600 | 72,467,109 | 15,414,457 | 257,259 | 2,180,435 | 97,046,861 |
구성비 | 6.9% | 74.7% | 15.9% | 0.3% | 2.2% | 100.0% |
주1) 당사가 취급하고 있는 보험종목별로 보험계약건수, 계약금액, 금액구성비를 기재 주2) 특별계정은 투자계약 포함 |
나. 보험종목별 수입보험료 및 보험금 내역
(1) 보험종목별 수입보험료 내역
(단위 : 백만원, %) |
구 분FY2020FY2019FY2018금 액비 율금 액비 율금 액비 율
생명 보험 |
생 존 | 570,762 | 9.9 | 389,921 | 7.1 | 294,204 | 5.7 |
사 망 | 2,290,613 | 39.7 | 2,122,744 | 38.8 | 1,983,906 | 38.8 | |
생사혼합 | 2,047,549 | 35.5 | 2,011,677 | 36.8 | 1,982,085 | 38.7 | |
단 체 | 1,932 | 0.0 | 2,105 | 0.0 | 2,332 | 0.0 | |
특별계정 | 857,817 | 14.9 | 945,586 | 17.3 | 857,031 | 16.7 | |
합 계 | 5,768,674 | 100.0 | 5,472,033 | 100.0 | 5,119,558 | 100.0 |
주) 특별계정은 투자계약 포함 |
(2) 보험종목별 보험금 내역
(단위 : 백만원, %) |
구 분FY2020FY2019FY2018금 액비 율금 액비 율금 액비 율
생명 보험 |
생 존 | 422,164 | 9.6 | 370,641 | 8.6 | 388,894 | 11.6 |
사 망 | 971,098 | 22.1 | 910,685 | 21.0 | 776,612 | 23.2 | |
생사혼합 | 2,312,308 | 52.6 | 2,217,332 | 51.2 | 1,577,318 | 47.2 | |
단 체 | 1,283 | 0.0 | 1,418 | 0.0 | 2,356 | 0.1 | |
특별계정 | 685,838 | 15.6 | 832,753 | 19.2 | 595,353 | 17.8 | |
합 계 | 4,392,691 | 100.0 | 4,332,829 | 100.0 | 3,340,532 | 100.0 |
주1) 금액은 사고보험금, 환급금, 배당금을 합산기준 주2) 특별계정은 투자계약 포함 |
'기업분석 > 은행-증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리안리 알짜기업 주가전망 및 배당금, 재보험 회사란? (0) | 2021.07.12 |
---|---|
고려신용정보 주가전망 및 배당금, 지속적인 성장세 - 채권추심,신용조사,민원대행 (0) | 2021.07.05 |
KB금융지주 주가전망 및 배당금 - 지주회사 (0) | 2021.06.26 |
BNK 금융지주 사업 내용 - 은행, 여신, 증권업, 자산운용 (0) | 2021.05.19 |
BNK금융지주 회사개요, 배당금 얼마 (0) | 2021.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