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바이오의 기업정보와 배당금 정보에 대하여 알아보자.
선바이오는 현재까지 배당금 지급 내역은 없다.
당사의 명칭은 선바이오 주식회사라 칭하고, 영문명으로는 SunBio,Inc.라 표기합니다. 단, 약식으로 표기할 경우에는 선바이오(주)라고 표기합니다.
당사는 1997년 7월 설립되어 현재까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4.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1) 주소 : 경기도 군포시 산본로 95
(2) 전화번호 : 031-423-5467
(3) 홈페이지 : http://www.sunbio.com
5. 중소기업 해당여부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및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규칙 제3조제1항2호에 의거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6. 벤처기업해당여부
구분 | 당사현황 | 발행번호 | 벤처기업지정 |
연구개발기업 | 확인일자 : 2021.02.22 | 제 20210101543호 | 기술보증기금 |
유효일자 : 2023.02.21 |
7. 주요사업의 내용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
(1) 의약품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
(2) 의약품 개발관련 임상실험
(3) 생체고분자유도체 사업
10.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특례상장 등여부특례상장 등적용법규
코넥스상장 | 2016년 01월 22일 | 부 | 해당사항없음 |
가. 설립이후의 주요연혁
구 분내 역
1996년 |
8월 |
한국 및 미국 특허출원 8건 (뇌졸중치료제, 항암활성제, 인공혈액, 패혈증치료제) |
1997년 |
6월 |
선바이오(주) 설립 (총자본금 7억 5천만원, 국민창투 1/3) |
1998년 |
6월 |
PEG유도체 자체개발 성공 |
1998년 |
8월 |
선바이오(주) 연구소 설립 |
1998년 |
12월 |
한국 및 미국 특허출원 10건 (PEG유도체 수건, LIPOSOME, PEG-LIPOSOME) |
1999년 |
1월 |
PEG-SHOP 개설 |
1999년 |
2월 |
특허등록 (항암활성제) |
1999년 |
5월 |
벤처기업으로 등록 |
1999년 |
12월 |
뇌졸중치료제, 항암활성제의 전임상 독성시험 (급독성시험, 약리시험, 항원성시험)완료 |
2000년 |
2월 |
자본금 증자 (총자본금 14억, 이수화학(주) 지분참여) |
2000년 |
9월 |
자본금 증자 (총자본금 15억 3천만원) |
사옥구입 이전 및 연구소 확장 |
||
10월 |
뇌졸중 치료제/인공혈액 영국에서 전임상시험 시작 |
|
11월 |
한국특허등록 (뇌졸중치료제) |
|
12월 |
자본금 증자 (총자본금 15억 5천만원) |
|
2001년 |
5월 |
sunbio.com의 인터넷주소 매입 |
5억원 규모의 선바이오 전환사채를 금창창투가 인수 및 주식전환 |
||
6월 |
6억원 규모의 선바이오 전환사채를 기업은행이 인수함 |
|
11월 |
Biogen사와 신약개발 공동추진 |
|
2002년 |
1월 |
BioVectra사와 생체고분자 북미지역 마케팅 계약체결 |
Amgen사와 신약개발 공동추진 |
||
2003년 |
11월 |
미국특허 (#6,828,401 PEG-maleimide 제조방법)등록 |
인도의 INTAS PHARMA사와 PEG-GCSF, PEG-IFN 공동개발 (당사의 기술수출) |
||
2004년 |
6월 |
한국특허 (hexa-arm PEG 제조방법) 등록 |
한국특허 (PEG-EPO 제조방법) 등록 |
||
한국특허 (PEG-interferon GCSF 제조방법) 등록 |
||
한국특허 (PEG-interferon beta 제조방법) 등록 |
||
한국특허 (PEG-interferon alpha 제조방법) 등록 |
||
인도의 Serum Institute of India와 PEG-GCSF, PEG-IFN, PEG-EPO 공동개발. (당사의 기술수출) |
||
2005년 |
4월 |
한국특허 (PEG-propionaldehyde 제조방법) 등록 |
5월 |
미국특허 (#6,858,736 hexa-arm PEG 제조방법) 등록 |
|
10월 |
미국특허 (#6,956,135, PEG-aldehyde 제조방법) 등록 |
|
미국특허 (#6,916,962, PEG-aldehyde 제조방법) 등록 |
||
미국의 BioSite 사와 공급 및 기술계약 |
||
11월 |
미국의 CytImmun Sciences사와 공급 및 기술계약 |
|
2006년 |
4월 |
미국의 Cartilix사와 공급 및 기술계약 |
미국특허 (#7,257,845, PEG-aldehyde 제조방법) 등록 |
||
미국특허 (#7,041,855, PEG-aldehyde 제조방법) 등록 |
||
2007년 |
9월 |
NEUPEG (선바이오 신약1호)이 인도 및 세계시장에서 출시 |
한국특허(모발페길레이션기술) 등록 |
||
2012년 |
12월 |
한국특허 (구강건조 치료제 기술) 출원 |
2014년 |
4월 |
NEUPEG (PEG-GCSF) EU에서의 임상완료 |
6월 |
NEUPEG (PEG-GCSF) 미국에서의 임상완료 |
|
7월 |
PEG-인터페론 (C형 간염체료제) 인도에서의 제품승인 |
|
12월 |
NEUPEG의 미국 FDA filing 완료 |
|
2015년 |
3월 |
대우스팩2호와 스팩합병 IPO심사 청구 (5월 철회) |
6월 |
한국특허 (구강건조증 치료제 기술) 등록 |
|
6월 | SL인베스트먼트로 부터 전환상환 우선주 5만주(주당4만원)발행 -12월 보통주로 전환 | |
8월 | 한국투자파트너스로 부터 전환상환 우선주 5만주(주당4만원) 발행-12월 보통주로 전환 | |
10월 | 코스닥 IPO청구 (11월 보호예수동의 문제로철회) | |
12월 | 자본금 100% 무상증자 | |
12월 | 코넥스 상장 신청서 (보고서) 제출 - 2016년 1월 22일 코넥스 상장 | |
2016년 | 1월 | 코넥스 상장 |
3월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보통주식 100,000주) | |
7월 | 한국특허 (폴리에틸렌글리콜 수화젤 주사제) 등록 | |
8월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보통주식 25,000천주) | |
10월 | 본점 소재지 이전 (경기도 군포시 산본로 95) | |
11월 | 코스닥 IPO청구 (미승인 결정) | |
2017년 | 2월 | 지정자문인 및 유동성 공급계약 변경 (하나금융투자) |
3월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보통주식 68,500주) | |
4월 |
자기주식처분 (400주, 소재불명 원소유주에게 반환) |
|
10월 |
Intas사 PEG-filgrastim 바이오시밀러를 EMA에 MAA 파일링 |
|
2018년 |
3월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보통주식 10,000주) |
4월 |
Apotex사의 Lapelga, Health Canada의 승인 취득 |
|
9월 |
PELGRAZ (PEG-filgrastim)의 EU 승인 승인 취득 |
|
2019년 | 1월 | 선바이오-팬젠 바이오베터 의약품 공동개발 협약 |
2월 | Apobiologix가 LapelgaTM를 캐나다에서 launching | |
3월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보통주식 35,000주) | |
6월 | 2019 필라델피아 바이오 박람회참가 | |
8월 | Apotex사의 Lapelga, 호주 TGA의 승인 취득 | |
11월 | 구강건조증치료제 MucoPEG 미국 FDA 판매허가 획득 | |
12월 | MucoPEG - 아일랜드 더블린 소재 Meroven사와 MOU체결 | |
2020년 | 1월 |
MucoPEG - MENA 지역 판매 |
6월 |
인공혈액 미국특허 출원 (Novel Modified Hemoglobin as Blood Substitute / 출원번호: 63/044,579) |
|
10월 |
차세대 페길레이션 기술 미국 특허 취득 (3차 알콕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의 유도체 (TERTIARY ALKOXY POLYETHYLENE GLYCOL AND DERIVATIVESTHEREOF)) |
|
12월 |
구강건조증치료제 MucoPEG의 Post-approval 미국 임상시험 시작 |
|
12월 |
MucoPEG 기술이전 계약 체결 (중국) |
|
12월 |
BioSciences사와 MOU 체결 (PEG-filgrastim개발) |
나. 경영진의 변동사항
구 분변경 전변경 후비 고대표이사이 사감 사대표이사이 사감 사
2015.07.02 |
노 광 |
김동일 정동준 |
김형빈 |
노 광 |
김동일 정동준 김판균 |
김형빈 |
김판균 사내이사 취임 |
2018.03.21 |
노 광 |
김동일 정동준 김판균 |
김형빈 |
노 광 | 김동일 김판균 |
정유근 | 정동준 사외이사 퇴임 김형빈 감사 퇴임 정유근 감사 취임 |
2019.01.03 | 노 광 | 김동일 김판균 |
정유근 | 노 광 | 김동일 김판균 주우식 |
정유근 | 주우식 사외이사 취임 |
2020.03.31 | 노 광 | 김동일 김판균 주우식 |
정유근 | 노 광 | 김동일 주우식 |
정유근 | 김판균 사내이사 사임 |
2021.03.29 | 노 광 | 김동일 주우식 |
정유근 | 노광 | 안응호 이성훈 주우식 |
정유근 | 안응호 사내이사 취임 이성훈 사내이사 취임 정유근 감사 재선임 |
다.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
연속 배당횟수평균 배당수익률분기(중간)배당결산배당최근 3년간최근 5년간
- | - | - | - |
가. 업계 현황 및 전망
(1) 시장의 특성
(가) 바이오시밀러의 구분
바이오의약품이란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하는 세포, 단백질, 유전자 등을 그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한 생물학적 제제,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및 세포배양 의약품, 그리고 세포치료제와 유전자 치료제 등을 포함하는 의약품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는 "이미 제조판매·수입품목 허가를 받은 바이오의약품 품목(Reference Drug; 오리지널 의약품)과 품질 및 비임상/임상적 비교동등성(Comparability)이 입증된 생물의약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일반 화학적 합성 복제의약품(Generic)은 원료와 제조방법에 상관없이 오리지널 합성의약품과 같은 효능을 가지므로 임상시험이 필요 없어 저렴한 비용에 개발이 가능하지만, 바이오시밀러는 살아있는 세포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 의약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세포, 배양조건, 정제방법 등에 따라 효능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임상시험을 통해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과의 동등성(similarity)을 증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나)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특성
바이오시밀러는 일반적으로는 세포 배양 혹은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생산되는 단백질이나 호르몬 등의 형태입니다. 그리고, 바이오신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발비용 및 개발기간을 절감할 수 있고, 제품 가격이 바이오신약의 약 70% 수준이며, 이미 검증된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성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세계 각국이 의료비 재정부담을 축소하고, 의약품에 대한 환자 접근성 개선 등을 위해
아태 시장을 중심으로 신약 의약품 대비 저렴한 복제약 사용을 장려할 것으로 보여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급격히 확대될 전망입니다.
의료비 지출 비중 및 바이오 의약품 소비액이 가장 높은 미국도 의료 재정 절감을 위해 바이오시밀러의 사용을 권장하는 추세이며, FTC(연방거래위원회)는 바이오시밀러가 2020년까지 11개의 블록버스터 특허 만료로 약 0.3조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고 전망 한 봐 있습니다. 현재 미국의 바이오시밀러 침투율이 유럽과 비교하여 상당히 낮지만 꾸준한 지원으로 침투율이 서서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다) PEG 유도체 시장의 특성
PEG 유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Nectar 사, 일본의 NOF사, 중국의 Jenkem사 등이 당사의 경쟁업체입니다. PEG 유도체의 품질은 당사가 우수하며, 많은 회사들이 당사의 제품을 스탠다드로 사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PEG 유도체의 활용분야는 매우 넓으며 다양합니다. 신약 및 바이오시밀러와 같은 의약품 분야에서부터 의료용 봉합제 및 성형 필러와 같은 의료용 제품 그리고 PEG 유도체의 결합기술을 이용한 바이오칩 및 ELISA와 같은 진단기기 등에도 사용됩니다.
당사는 PEG 유도체 개발 및 생산에 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기술 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부가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당사의 PEG 유도체 사업은 신약개발(의약품개발) 및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개발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타 산업에 비해 연구 개발 비중이 높은 차별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바이오시밀러 시장 현황 및 전망
세계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17~2023년 연평균 30.6%로 고성장하여 2017년 97억 달러에서 2023년 481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라고 합니다.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2017년 2,300억 달러에서 연평균 8.4%로 성장하여, 2023년 3,700억 달러로 확대하는 가운데, 전체 바이오의약품 중 바이오시밀러 비중은 2017년 4.2%에서 2023년 12.9%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Frost & Sullivan, 2019)
전체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약 74%를 바이오의약품 매출 상위 10대 기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바이오신약 개발사인 다국적 제약업체 뿐 아니라 합성의약품을 제조하는 대형업체(Pfizer, Merck등), 제네릭 선두업체들(Teva, Sandoz 등)도 M&A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즉, 바이오시밀러 시장 전망에 따라 기업간 경쟁이 매우 심화될 전망입니다. 관계 당국은 시장이 더 경쟁적으로 되면 바이오시밀러 제품 가격이 떨어져 환자 접근성이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미국 FDA도 의료비 비용 절감을 위해 2018년 7월 출범한 Biosimilar Action Plan을 통해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하고 승인 절차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EvaluatePharma, 2018). 주요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들의 특허 만료를 앞둔 시점에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 제약사들에게는 위험 요인이자 그 외 제약사들에게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2022년까지 주요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 약 28개의 특허 만료가 예상되며, 향후 5년 동안 약 10개의 주요 바이오 의약품(약 1,590억달러 규모)의 특허 만료를 앞두고 있어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더욱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PEG 유도체 시장 규모 및 전망
1) PEG 유도체 시장 규모
PEG 유도체 시장 매출 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PEG 유도체를 연구개발 및 생산판매하고 있는 Nektar Therapeutics(미국)와 NOF Corp.(일본)의 연간 보고서(annual Report), PEG 유도체 후발주자인 Tianjin Jenkem Technology Co. ltd.(중국)의 매출 관련 기사들을 요약하여 추산하면 약 1,360억원 정도의 시장을 형성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PEG 유도체 사업 전망
중국시장의 성장과 기존 신약의 특허가 만료됨에 따라 PEG 유도체를 이용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출시 및 시장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PEG 유도체 시장은 점점 상승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사업 분야
당사는 "PEG(Poly Ethylene Glycol)"라고 하는 안전한 생체적합 고분자를 의약품 또는 기타 목표물의 표면에 화학적 공유결합으로 부착시키는 기술 즉, "PEGylation" 기술을 활용하여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및 신약개발을 통한 로열티와 기술이전(라이센싱 아웃)사업, 그리고 PEG 유도체 생산 및 합성을 통한 PEG 유도체 판매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 업 분 야내 용현 황수 익 구 조
바이오시밀러 사업 |
PEG-GCSF, (Lapelga™,Pelgraz™) PEG-interferon alpha PEG-EPO |
유럽, 캐나다, 인도허가 /연구개발 |
기술 수익료 |
신약 개발사업 |
인공혈액 SB1 개발 연골 활액 충진제 개발 |
비임상 및 |
기술 수익료 |
PEG 유도체 사업 |
PEG 유도체 생산·판매 사업 |
판매 |
제품 매출 |
PEGylation 융합기술 기반 파이프라인 |
당사의 핵심기술인 PEGylation 기술은 당사의 창업 당시인 1997년에는 국내에서 생소한 기술이었습니다. 하지만 노광 대표이사는 향후 PEGylation 기술이 신약개발과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핵심 기술이 될 것을 예견하고, PEG 유도체 제조 기술 및 십 년 이상 PEGylation 기술을 연구 개발하며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1997년 선바이오㈜를 창업하게 되었습니다.
1999년부터 수익 사업인 PEG 유도체 생산판매 사업을 시작하였고, 소량 다품종 사업으로서 현재 세계 50여 곳의 거래처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거래처는 신약, 의료기기, 성형 제품의 개발에 당사의 PEG 유도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많은 거래처들은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임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고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게 되면 당사의 PEG 유도체 매출도 더불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당사의 핵심기술인 PEGylation (페길레이션)의 파급효과는 신약, 바이오시밀러, 의료기기, 진단기기, 분석기기, 성형제품 등을 아우릅니다. 당사는 20여년간 이 분야에 집중한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하여 다수의 바이오의약품을 세계시장에 출시하였고, 더불어 다수의 바이오의약품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앞서가는 PEGylation 기술개발, 제형의 완성, 특허 등록에 힘쓰고, 임상 등 제품까지의 개발은 제휴업체를 통하여 완성하는, 그러한 기술이전 라이센싱을 통한 비용의 효율화와 전문성의 극대화를 추구하여 다수 제품화(바이오시밀러, 의료기기)에 성공하였습니다.
기술 이전(라이센싱 아웃) 수익을 위한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꾸준한 연구개발로 2003년 동사의 기술력으로 개발하여 기술 이전 한 PEG-filgrastim의 바이오시밀러 Neupeg™은 2007년 인도 판매승인 후, 2018년 4월 5일 Lapelga(Apotex; Apobiologix)의 캐나다 품목 승인을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9월에는 동일제품이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Pelgraz(Intas Pharmaceuticals 제조; Accord Healthcare 판매)'의 상품명으로 판매 허가승인을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2019년 11월 동사의 구강건조증 치료제인 MucoPEG™이 FDA 510(k)로 판매승인을 획득하여 추후 기술이전 및 제품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성공에 기인하여 동사는 향후 큰 폭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힘입어 동사가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인공혈액과 뇌졸중 응급처치제, 연골활액 충진제 등 다양한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제품 설명
(가) 바이오시밀러 사업; 로열티 및 기술이전 제품
No.품 목기능 / 용도특징세계시장
규모(조원)
1 |
PEG- |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고형암 및 악성림프종에 대한 세포독성화학요법을 투여 받는 환자 |
PEG-filgrastim 바이오시밀러 인도 Intas 사에 기술이전 및 라이센싱 아웃 2007년 인도 의약품 승인 2014년 유럽 및 미국 임상완료 |
5* |
2 |
PEG- |
B, C형 간염 치료제 |
PEG-interferon alpha 바이오시밀러 2014년 인도 의약품 승인 |
<1 |
* Amgen 사 2016 Annual report
당사가 개발에 성공한 바이오시밀러 중 대표적인 제품인 PEG-filgrastim은 항암 치료 시 사용되는 호중구감소증 치료제(백혈구생성촉진제)로, 오리지널 의약품 제조사인 암젠에 따른 세계 시장규모는 5조원(2016년 Amgen 사 Annual report; $4,648백만)이나, Credence Research, Inc.의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약 8조 7천억원(US$ 7.71십억)이며, 2017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5.6%로 성장하여 2025년까지 약 14조원(US$ 12.56십억)에 이를 것으로 예상합니다.
여러 형태의 암 발생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화학요법으로 유발되는 호중구 감소증 치료제 시장은 상당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며,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중 filgrastim을 기반으로 한 제품이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며, 또한 전체 위험도가 높은 화학요법 환자들을 대상으로 filgrastim의 예방 치료법이 권고되어, filgrastim의 시장은 더욱 성장 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오리지널 신약의 복제품으로 임상시험을 통해 오리지널과의 생물학적 효능의 동등성 및 안전성을 입증하고 미국 FDA 등 관련 기관의 품목허가 승인을 획득하여야 시장에 출시할 수 있습니다.
Neupeg™의 제조 관련 기술은 동사가 2003년 인도의 Intas 사에 기술이전 하였으며, Intas 사는 미국 및 유럽 선진시장에 진출하기 위하여 캐나다의 Apotex 사와 제휴를 맺고, 2014년 중반에 유럽과 미국에서의 임상을 완료하였습니다. 이후, 2018년 4월 5일Lapelga(Apotex; Apobiologix)의 캐나다 품목 승인, 2018년 9월 27일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Pelgraz(Intas;Accord Health)'의 허가 승인을 획득한 상태입니다. 미국 FDA에는 filing 후 현재 심사 중입니다.
PEG-filgrastim의 바이오시밀러인 Neupeg™(Pelgraz, Lapelga)은 독일을 시작으로2018년10월부터 유럽에 출시 판매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PEG-filgrastim 제품이 EU에서 승인받은 최초의 바이오시밀러였으나, 그후 6개의 제품이 더 EU에서 승인을 획득하여 현재 EU시장에서는 7개의 PEG-filgrastim 바이오시밀러가 오리지널과 함께 경쟁중입니다. 또한 당사가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미국시장에서는 현재 4개의 PEG-filgrastim 바이오시밀러가 승인을 받았습니다. 그중 Coherus사의 Udenyca가 시장의 20%를 차지하였다고 최근 발표되었습니다.
(나) 신약개발 사업- 신약 및 의료용 제품 개발사업
개별품목 사용처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SB 프로젝트 |
산소운반체; 뇌졸중응급처치제등 허혈부위의 용이한 산소공급 용도 |
세계 헌혈액 및 적혈구 기반 연구개발 제품 기준으로 인공혈액 시장규모를 산출, 뇌졸중 응급처치제 및 장기보존액 시장을 합산하여 약 200~500조 원으로 추정. |
SynoGel |
연골 활액 충진제 |
2017년 세계 연골활액 충진제 시장은 3.4조원으로 골관절염 치료제시장(2017년 5.7조 원)의 59% 규모로 추정. 세계 골관절염 치료제 시장의 CAGR 6.8%, 국내는15.6%로 국내의 빠른 성장률을 전망.(출처: Hyaluronic acid products Market, Transparency Market Research, Polaris Market research 2017, Acute Market Reports 2017, Business wire 2017) |
MucoPEG™ |
구강건조증 치료제 |
고령화 및 항암치료를 포함한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구강건조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암환자와 구강건조 환자 수는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전 세계 구강 건조증 치료제 시장규모는 2018년에 6억 2,530만($625.3 백만) 달러로 추정되었으며, 2019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3.6% 성장할 것으로 예상함(출처: Xerostomia (Dry Mouth) Therapeutics Market Size, Share, Trends, & Industry Analysis Report, By Product ; By Distribution Channel; By Regions: Segment Forecast, 2019 - 2026). |
1) SB프로젝트 (산소운반체/인공혈액)
인간의 혈액은 인체 체중의 7~8 %에 해당하는 특수한 체액이며, 혈액은 산소와 영양소를 체세포로 운반하고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및 기타 노폐물을 세포에서 다시 운반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인간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은 가장 중요한 적혈구 (RBC)에 기인하며, 인공 혈액 대체물(인공혈액)이 산소 운반 능력을 위해 RBC를 대체하는 대안으로 연구 및 개발하고 있습니다.
인공혈액, 뇌졸중 응급치료제, 항암 활성제, 장기 보존액, 기타 허혈성 치료제로서 적용이 가능한 산소운반체는 인류 복지와 수명연장에 혁명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일반적인 인간의 혈액은 보관 수명이 42 일에 불과하므로 사용기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더 오랜 기간 동안 저장 될 수 있는 혈액 대체물의 개발이 필요하며, 또한 세포의 산소 부족으로 조직에 영구적인 손상을 가하여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부상 및 사고로 인한 급성 및 만성 출혈에도 매우 필요합니다.
흔히 일반인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이를 인공혈액(Artificial Blood) 또는 대체혈액(Blood Substitute)이라 명명하고 있습니다. 물론 혈액 대체용으로서, 즉 수술 시 수혈을 대체할 수 있는 용도의 시장이 가장 큽니다. 그리고 구급일선에서, 예를 들어 출혈이 심한 환자를 이송하는 경우 수혈용 전혈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혈액형에 관계없이 주사할 수 있는 인공혈액을 주입해주면 골든타임 동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미국 육군의 추산에 의하면, 응급일선에서 이런 용액이 있었다면 베트남 전쟁에서 사망한 병사 65,000명 중 35,000명은 살릴 수 있었을 것이라는 보고서가 있으며, 이후 미 육군은 인공혈액의 개발에 있어서 개발사들에게 많은 후원을 하였습니다.
즉, 인공혈액의 개발이 완료된다면, 혈액형 타입에 상관없이 빠른 수혈을 제공 받으며, 수혈로 인한 감염의 위험 없이 안전한 적용이 가능해짐,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혈액 수급 문제를 해결하며, 오랜 기간 저장 보관이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응급 수혈을 위한 인공혈액 및 산소 운반체(뇌졸중 응급치료제, 항암 활성제, 장기 보존액, 기타 허혈성 치료제)의 적용은 인류 복지와 수명연장에 혁명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당사는 1997~2002년의 기간 동안 한 차례 인공혈액의 비임상을 완료하고 식약처에 IND 신청까지 한 경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는 당사가 효율적으로 (재)개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10여 개에 가까운 개발사들이 인공혈액 개발을 시도하였고, 몇몇 개발사들은 임상 3상까지 진행되었으나, 아직 성공한 개발사는 없습니다.
인공혈액 개발에 참여했던 회사로서는 Sangart, Northfield, Biopure, Baxter, Somatogen, Hemosol, Prolong Pharma. 사 등이 있습니다. 이 중 Sangart, Biopure, Northfield가 임상 3상까지, Prolong Pharma가 2상 까지 진행하였지만, 현재 이들 개발 업체들 가운데 Biopure사만이 남아공과 러시아에서 승인을 받았고, 그외 선진시장에서 승인 및 상용화에 성공한 경우는 없습니다.
당사의 산소운반체 PEG-Hb; 인공혈액, 뇌졸중 응급처치제는 다음과 같은 특장점을 가집니다.
구분내용
장점 |
▶ 분자규모의 산소운반체로 적혈구가 갈 수 없는 곳까지 산소 운반 ▶ 정상세포로의 산소공급은 최소화하고 저산소상태의 뇌세포로의 산소공급량을 최대화하여 치료 후 회복율을 향상(p50값 : 10±2 mmHg) ▶ 일회투여로 지속적인 효과(비글견의 경우 체내 반감기 47~68시간) |
특징 |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개발에 사용되는 PEGylation 기술을 hemoglobin 유래 산소전달체에 적용 |
즉,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개발에 사용되는 PEGylation 기술을 헤모글로빈(hemoglobin)에 적용하여, 인공혈액, 뇌졸중 응급치료제, 항암 활성제 등 기타 허혈성 치료제로서 적용이 가능한 산소 운반체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거대분자인 적혈구와 달리 분자규모의 산소운반체로 적혈구가 갈 수 없는 곳까지 산소를 운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산소운반체의 가능성은 크나, 인공혈액이라는 큰 범위의 임상시험을 위한 대규모 투자에 앞서서, 일단 비교적 소규모이지만 임상의 실시와 결과가 보다 명확히 규정되는 뇌졸중응급처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혈전이나 출혈 등 원인에 관계없이, 사고 직후 투여하여, 사고 후 처치까지의 3~4 시간 동안 피가 안 통하는 혈전부위 뇌세포에 산소를 전달하는 것이 시험 프로토콜이며, 혈전뇌졸중의 경우에 혈전부위 뇌세포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시험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현재, 지금까지 개발된 인공 혈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헤모글로빈에 PEGylation 유도체 접합 외에 특수링커를 통한 헤모글로빈의 표면을 변형시킨 HBOC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 SynoGel™ (연골활액충진제)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뼈의 관절 면을 감싸고 있는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관절 주변의 활액막(synovial membrane)에 염증이 생겨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입니다. 고령의 연령층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며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이러한 골관절염 치료는 관절의 구조적 손상을 회복시켜주는 방향이 아닌, 증상 완화에 초점을 맞추어 통증을 줄이고 질병 심각도를 지연시킴으로써 관절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데 있었습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히알루론산 주사 제품들은 히알루론산 자체로 이루어진 제품과 가교된 히알루론산 젤로 나눠집니다. 히알루론산나트륨 수용액 제품인 Hyalgan®, Artz®, Euflexxa® 그리고, Orthovisc® 등은 분자량이 약 500,000~3,600,000 Da로 한번에 2 ml 씩 3회 반복 투여 시 또는 약 3개월, 5회 반복 투여 시 6개월의 통증완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가교화된 히알루론산 형태의 시판 제품은 Synvisc®, Synvisc-one®, Durolane®, Gel-One® 그리고 가장 최근 미국FDA에서 승인된 Monovisc® 등이 있습니다.
당사의 연골 활액 충진제 SynoGel™의 특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내용
장점 |
▶ 무독성의 생체 폴리머 ▶ PEG 분자의 보습성 및 점탄성 ▶ 교차결합을 통한 하이드로젤 형성 ▶ 기존 제품보다 연골 보호 효과의 지속성 증가 |
특징 |
의료용 제품 및 나노테크놀로지 개발에 사용되는 PEGylation 기술을 연골 활액 충진제에 적용 |
SynoGel™은 생체 친화적인 고분자로 이루어진 하이드로젤로, 아민기를 갖는 PEG 유도체, 그리고 이 아민기와 반응하여 펩티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갖는 PEG 유도체로 하이드로젤 제조 방법을 개발, 이를 국내특허등록(제10-2001-0028654)한 바 있고, 외과용 혈관 봉합제인 CoSeal®과 유사한 기술에 관절염 주사액에 사용되는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함유하여 하이드로젤의 유연성을 증가시킨 하이드로젤 관련 제품입니다.
하이드로젤은 수용액을 흡수하고 내포할 수 있어 생체조직과 유사하고, 산소, 영양분, 대사물질 같은 저분자 물질들에 대해 투과성을 가집니다. 또한, 팽윤된 하이드로젤의 표면은 부드러워서 생체 내에서 주위의 세포나 조직들과 마찰로 인한 자극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하이드로젤에 반감기가 낮은 히알루론산을 포함시켜 생체 내에서 오래 지속되는 관절염 주사제로 개발하여, 관절에 1회 투여 시 분해되지 않고, 장시간 지속되어 오랜 진통효과(long-lasting analgesic effect)와 연골 보호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제품의 높은 점도에 따른 생체 내 투입 시 높은 투여압력 의한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이드로젤의 가교화 시간을 조절하여 투입 시 낮은 점도로 투여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투여 후 두 종류의 PEG 유도체가 반응하여 서서히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히알루론산을 포함한 점탄성이 우수한 하이드로젤을 형성하게 하였습니다. 이상과 같이 높은 생체적합성과 생체지속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관절 내 1회 주사하여 관절염 질환에 의해 유발된 통증 억제용 조성물, 또는 활막 염증 억제용 주사액 조성물을 완성하였습니다. 이 조성물과 관련하여 국내특허등록(10-1637883;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화젤 주사제) 및 국제 PCT, 미국과 유럽에 출원을 완료하였습니다.
[SynoGel의 적용 모식도] |
3.8조 원 규모의 연골 치료 시장 중 연골충진제(viscosupplementation) 시장이 1.7조 원(44%)이며, 매년 1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골관절염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6천만 명 정도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완치를 위한 의약품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환자의 지속적인 증가와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 시 급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입니다. 다회 (3~5회) 투여로 인하여 환자의 치료 순응도가 낮아 지속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 시도가 진행되고 있는데, 당사의 Synogel™에 의한 1회 투여로 기존 3~5회 투여 시의 효과 및 그 이상의 지속효과를 나타낸다면 환자의 순응도가 높아질 것이며, 그에 따라 과거 관절 치료를 적용할 수 없었던 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해지고, 전체적으로 관절강 내 주사제 치료를 받는 환자 수가 증가하는 등의 효과를 보일 것입니다. Synogel 원료 PEG유도체에 방사성동위원소를 부착한 후 반감기(Half Life)시험을 완료하였으며, 비임상시험-생체적합성 시험(Biocompatibility test)을 해외 CRO 업체와 함께 일부 항목의 시험을 완료하였습니다. 비임상시험 일부 항목은 중소기업청 혁신과제의 지원을 받아 진행하였습니다.
3) MucoPEG™ (구강건조증치료제)
구강건조증(xerostomia)은 노화 또는 기타 질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타액의 분비량 이 감소되어 구강 점막이 건조화 되거나, 항암 치료 시 수반하는 부작용으로서 점막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타액은 구강의 주요기능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구강 점막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타액 분비량이 감소되어 구강 건조증이 생기면 심한 구취와 충치가 발생하며, 정도에 따라 구강 점막의 작열감 또는 구강 점막의 궤양 등으로 심한 고통을 겪게 됩니다.
노인성 구강건조증은 대체로 만성적인 타액 분비량 감소 및 여러 약물복용에 의한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노인의 구강 건강과 건조로 예민해진 구강 점막에 자극적이지 않은 제품의 개발로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또한, 인구 고령화, 암 진단기술 발달, 생활습관의 변화 등 여러 원인으로 암 발생이 증가하여 이들의 항암 및 방사선 치료과정에서 합병증 및 구강건조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고혈압, 당뇨 등 노인성 질환에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 1,800개 약물의 부작용이 구강건조증을 유발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처방이나 관리법에 의한 단시간의 보습효과 제품이 아닌 손상된 점막에 자극 없이 오랫동안 보습을 유지하고, 구강 내 세균 증식을 억제하여 구내염 및 구강건조증을 완화하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구강건조증의 치료에는 부교감신경 흥분성 약제(parasympathomimetic drugs) 중 콜린성 약재(pilocarpine(Salagen, MGI Pharmaceuticals., Minneapolis), Cevimeline(Evoxac); 하루 3~4회 식후복용, 약효지속은 2~4 시간)를 사용하여 타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콜린성 약재는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영향을 미쳐 눈물이나 콧물의 분비를 증가시키거나 땀의 분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인공타액(드라이문트-동아제약, Taliva액-한림제약)을 포함하여 구강건조증에 대한 다양한 치료법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제품의 만족도 및 처방 후 지속사용률이 낮다고 합니다.
당사의 구강건조증 치료제 MucoPEG™의 특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내용
장점 |
▶ 무독성의 생체 폴리머 ▶ PEG 분자의 흡수성과 보습성 ▶ 구강점막의 아민 기(amine group)와 공유결합 ▶ 구강점막에 공유결합 후 세포탈락 주기까지 지속 |
특징 |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개발에 사용되는 PEGylation 기술을 구강건조 환자의 구강점막에 적용 |
[구강건조증 치료제의 작용] |
현재, MucoPEG™은 미국 비임상전문 GLP 인증업체에서 안전성(생체적합성)시험을 완료하고, 미국내 의료기기 등록 및 판매신고 510(k)를 제출 후, 2019년 11월 5일 판매허가 (Market Clearance Letter)를 FDA로부터 받았습니다. 미국 시장을 목표로 하여 구강제품 경험이 있는 미국 또는 글로벌 회사로의 기술이전을 통한 로열티 수익창출 및 PEG 유도체 공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MucoPEG-FDA 510(k) 획득 |
2020년 12월, 당사는 Guangzhou Bairui (No.51-4 East Xingang Road, Haizhu District, Guangzhou, China) 사와 공동으로 중국 광저우에서 소규모 예비적 임상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임상시험은 두경부암 방사선치료 후 발생한 구강건조증의 증상 및 통증을 호소하는 다수의 환자들을 상대로 진행하였으며, 3일간 MucoPEG™을 1일 1회 사용 후 구강건조증 증상의 변화를 환자 설문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설문 문항에 대하여 1(poor), 2(fair), 3(good), 4(better), 5(best) 다섯 단계의 등급으로 스코어를 표시하였으며, 모니터링 항목으로써는 구강 내의 보습 효과, 보습효과의 지속성, 구강 내 통증의 정도, 말 할 때 통증의 정도, 식음료 섭취 시 통증의 정도, 취침 시 구강 건조증으로 인한 수면 장애의 여부 등 14개 항목에 대한 환자의 의견을 기록하였습니다. 그 결과 MucoPEG™ 사용 후 1일(1회) 경과 시점에는 대부분의 설문 항목에서 1~3의 스코어를 기록하였으나, 사용 후 2일 및 3일 경과 시점에서는 3~5의 스코어를 기록하여, 구강건조증 치료제 MucoPEG™의 우수한 효능을 입증하였습니다.
중국 예비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원활한 기술이전이 이루어졌으며, 중국내 MucoPEG™ 판매를 위한 허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임상 CRO 업체인 NAMSA와 계약 체결 후, 구강 건조증 환자 40여명을 대상으로 GSK 사의 Biotene 가글 제품과 당사 MucoPEG™의 구강건조 완화 효과에 대한 비교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미국 비교 임상시험은 기술이전을 위해 여러 글로벌 업체와 논의하던 중 업체의 요구사항으로 510(k) 판매허가 후에 추가적으로 진행되는 사항이며, 이 시험결과는 기술이전 시 당사 MucoPEG™의 효능 검증면에서 기술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중요한 시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 PEG 유도체 제품
PEG유도체는 약리활성이 없는 생체 고분자로서 친수성과 소수성 특징(양친매성)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에 물과의 친화력이 낮은 의약품과 단백질의 수용성 향상에 활용할 수 있고 의약품의 체내 반감기 증가 및 면역원성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No.품 목기능·용도특 징
1 |
mPEG 유도체 |
의약품, 바이오시밀러 제품, 진단기기 |
-한 개의 작용기를 갖는 유도체 -신약개발 및 진단기기에 사용되어지는 중간체 물질 |
2 |
PEG-di 유도체 |
성형 dermal filler Drug Delivery System |
-두 개의 작용기를 갖는 유도체 -약물전달시스템, 성형필러 등에 사용되는 중간체 물질 |
3 |
4-arm |
의료기기 sealant nanotechnology |
-4 개의 작용기를 갖는 유도체 -의료기기, 인공 봉합사, 나노기술에 사용되는 중간체 물질 |
4 |
6-arm |
Hydrogel nanotechnology |
-6 개의 작용기를 갖는 유도체 -하이드로젤, 나노기술에 사용되어지는 중간체 물질 |
PEG 유도체는 일반적인 PEG 고분자의 말단부분에 의약품이나 단백질 등과 같은 목표물과 화학적 결합을 할 수 있도록 반응기를 합성하여 붙인 형태를 말합니다. PEG에 여러 종류의 반응기(amine, maleimide 등)를 붙여 다양한 종류, 다양한 분자량의 PEG 유도체를 생산하여 제품화하고 있습니다.
PEG 유도체 판매를 위해 홈페이지에 PEG-SHOP을 운영하고 있으며, PEG-SHOP에는 최고 품질과 다양한 종류의 PEG 유도체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수십 여 거래처에 판매되고 있으며, 기존 거래처와의 매출은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래처의 임상 진행 정도와 제품 출시 여부에 따라 매출 및 공급물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PEG 유도체는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하나는 Generic PEG 유도체이고, 다른 하나는 당사 특허보유 PEG 유도체입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새로운 PEG 유도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019년 4월 새로운 제형의 PEG 유도체를 생산, 연구 개발하여 미국특허를 출원하여, 2020.10월 특허등록결정(16/381,499: Tertiary alkoxy polyethylene glycol and derivatives thereof)을 통보받았습니다. 이렇게 꾸준히 새로운 PEG 유도체들을 특허화하고, 차세대 PEGylation 기술에 이용하여 향후 바이오베터 또는 신약 개발에 적용할 계획입니다.
'기업분석 > 제약-바이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유메디칼시스템 사업 내용 - 심장충격기,의료용 수출로봇, 멸균기, 안경렌즈 (0) | 2021.05.26 |
---|---|
씨유메디칼 주가 하락세 - 씨유메디칼 회사개요 배당금 (0) | 2021.05.26 |
조아제약 회사개요, 주가, 배당금 (0) | 2021.05.21 |
명문제약 주가, 회사개요, 배당금 (0) | 2021.05.21 |
애니젠 기업정보, 배당금 정보 (0) | 2021.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