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시멘트 업종은 정부의 부동산 경기 부양책, SOC 예산 확대,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 등으로 수요 증가 기대가 커지고 있다.
시멘트 업종은 원재료(석회석·유연탄) 가격과 물류비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건설 경기와 직결된 대표적인 경기민감 업종이다.
현재 주요 시멘트 업체들은 출하량 회복세와 함께 시멘트 단가 인상 효과가 실적에 반영되기 시작하고 있으며,
재건축/재개발, 3기 신도시 개발, 지방 도시 개발 등으로 수요 기반 확대가 예상된다.
기업 개요 및 재무 흐름
- 삼표시멘트는 국내 2위권 시멘트 생산 기업으로, 레미콘 및 골재 등 건설 기초소재 공급에 강점을 가진 기업
- 주요 매출처는 민간 건설사 및 토목공사 관련 업체이며, 전국 단위 공급망 확보
- 2023년 연간 매출 약 9,000억 원 / 영업이익 900억 원대 (영업이익률 약 10%)
- 최근 실적은 유가 및 유연탄 가격 안정화에 따라 원가 부담이 감소했고, 출하 증가로 턴어라운드 흐름
재무적으로 부채비율은 90% 내외로 안정적이며, 영업현금흐름도 지속적인 개선세를 보임
수급 분석
- 기관 비중이 꾸준히 증가 중이며, 일부 연기금 및 투신권 순매수 흐름 포착
- 외국인도 보유 비중을 확대하는 모습으로, 중장기 수급 안정성 보유
- 공매도 비중 낮음 → 장기 투자자 중심의 수급 구조로 해석 가능
중소형주 대비 수급 안정성이 높아 변동성이 크지 않으며, 주가 탄력은 실적과 업황에 연동됨
차트 및 기술적 흐름 (일간 기준)
- 현재가: 약 3,950원
- 최근 4월 중순 이후 5거래일 연속 상승 후 조정 흐름
- 3,800원 부근에서 매물 소화 중, 3,700원은 강한 지지선
- 4,200원은 직전 고점이자 기술적 저항선
- 20일선 우상향, 60일선 돌파 진행 중
- RSI는 58 수준, MACD는 정배열 유지 → 기술적 흐름 우상향 중
기술적 관점에서는 단기 상승 후 눌림 구간이며, 재반등 가능 구간으로 해석 가능
모멘텀 및 이슈 분석
- 시멘트 업종 전반적으로 단가 인상 기대감 반영
- 건설 경기 회복 및 물류비 안정 → 원가율 개선
- 대규모 개발 사업 (수도권 광역 교통망, 신도시 등) 수혜 예상
- ESG 및 친환경 시멘트 관련 이슈는 장기 경쟁력에 기여
최근 실적 모멘텀과 정책 수혜가 중첩되어 중기적 상승 구조 형성 중
매매 전략 제시
- 매수 유효 구간: 3,750원 ~ 3,850원 (20일선 지지 확인 시)
- 목표가: 4,200원 → 돌파 시 4,500원까지 중기 확장 가능
- 손절가: 3,600원 이탈 시 보수적 대응
- 스윙 전략 유효하며, 분할 매수 및 분할 매도 전략 권장
업황 및 실적 반영형 종목으로, 단기 테마보다는 펀더멘털 기반 접근이 효과적
종합 판단
삼표시멘트는 업황 개선과 비용 안정화의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는 종목으로,
시멘트 업종 전반의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구조이다.
기술적으로도 3,700원대를 중심으로 박스권 지지를 확인하고 있으며,
중장기 수급 안정성과 실적 개선이 동반되고 있어 저점 매수 후 중기 보유 전략에 적합하다.
주가 변동성은 낮은 편이며, 명확한 실적 기반 종목으로 평가된다.
'기업분석 > 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성건설 주가 분석, 건설주 순환매 속 단기 반등 가능 구간 접근 (0) | 2025.04.25 |
---|---|
아주산업 기업정보와 레미콘 제조 및 판매/PHC파일 (0) | 2023.05.04 |
동양 주가전망과 레미콘 (0) | 2023.04.04 |
한신공영의 주가 하락세와 기업정보 (0) | 2022.07.15 |
중앙디앤엠 주가와 매출액 (0) | 2022.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