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건설

삼성엔지니어링 건설 사업내용 - 화공, 플랜트

.^. 2021. 5. 19.
반응형

삼성엔지니어링 사업 내용이다.

 

가. 사업부문별 현황

(1) 화공 부문

(산업의 특성)
화공플랜트 산업은 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기초 에너지원인 석유/가스의 탐사, 생산, 운반설비와 석유류 제품 및 석유화학 원료의 생산, 공급설비를 건설하는 산업으로, 고도의 기술력과 종합적 사업관리를 요구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산업의 성장성)
저유가 및 COVID19로 인한 발주처의 투자 축소 영향으로 전 세계 화공 플랜트 발주가 일시적으로 둔화되는 상황이 발생된 적도 있었지만, 전세계 평균 GDP 성장 및 인구 확대 등의 영향으로 원유 수요는 증가할 전망입니다. OPEC의 원유 생산량 감축 합의에 따른 유가 상승 전망 및 신규 설비에 대한 투자 증가가 예상되는 등 화공시장 전반에 긍정적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수급의 리밸런싱에 따른 유가 회복, 세계 경제 성장 및 신흥국 중심의 에너지 및 석유화학제품의 수요증가, 중동/아시아/아프리카 등 지역에서의 투자에 힘입어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화공플랜트 산업은 국제유가와 석유 소비량/생산량, 주요 원유 및 가스 자원 보유국들의 투자계획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주기적으로 순환되는 특성을 갖고 있는 석유화학 산업의 흐름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이 밖에도, 지역적 정세 및 에너지 수요·공급 균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저유가 기조 지속에 따라 기존 발주처의 투자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유가 상승 등에 힘입어 점진적으로 회복세에 접어들 전망입니다. 실제 발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일이 필요하겠으나,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전 분야에서의 폭 넓은 투자가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경쟁우위요소)

1970년대부터 국내 주요 기업들의 화공 플랜트를 성공적으로 완공하면서 역량을 키워온 삼성엔지니어링은 2007년 사우디 Aramco DHT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해외 경쟁 입찰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이래, 사우디 SATORP 주베일 Refinery, 알제리 Skikda Refinery, UAE Takreer CBDC 정유 Refinery, CF Refinery,  멕시코 DBNR 등 10억불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를 연이어 수주·수행하면서 대형 프로젝트 수행 노하우를 확보했습니다. 국내 유일의 미국 프로젝트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당사는 경험을 많이 한 상품을 중심으로 공사 수행 리스크를 줄이고자 유수 미국 공사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안정적이고 규모가 큰 미국 시장에 재진입하였습니다. 또한 우수한 설계역량과 경험을 활용, 기존 상세설계에서 기본설계로 밸류체인을 확장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미주, 브라운필드 등에서 저경쟁 고수익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 비화공 부문

(산업의 특성)
산업플랜트 산업은 IT, Bio-similar, 철도시스템 설비 및 특화 개발사업분야 등 산업 생산시설 및 인프라 설비를 건설하는 산업입니다. 환경플랜트 산업은 용수공급 등의 환경자원 이용에서부터 관련 기자재 제작을 비롯한 환경설비, 용역 서비스사업을 포함하는 복합, 대형 시설사업으로 점차 범위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발전플랜트 산업은 전력생산시설을 건설하는 산업으로 국가 전력청 또는 민간개발 사업자의 주도로 대규모 자본투자가 수반되는 산업입니다.

(산업의 성장성)
발전/환경 플랜트 산업은 신흥국 중심의 전력 수요 증가, 만성적 물 부족 현상 해소 및 전세계 환경 규제 기준 강화 등의 요인으로 관련 플랜트 발주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산업 플랜트 중 Bio산업은 인구 증가, 경제 성장, 기술 발전에 의하여 꾸준히 성장할 전망입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플랜트 산업은 각 국 또는 사업주의 발주 계획에 따라 그 규모가 결정되며 발주 계획결정은 자체 수요 외 자동차, 조선, 전자 등 타 산업 수요, 신도시 건설 및 기타 신규 사업의 투자 계획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발전/산업/환경 플랜트 시장은 유가의 영향이 제한적이며, 지속성장 가능한 안정적 시장입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삶의 질 향상과 산업 성장에 따른 전력, 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특히, 중동지역 국가들은 풍부한 석유자원으로부터의 수입을 활용하여 급증하는 자국 내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환경은 그룹 내 물량의 지속적인 발주가 이어지고, 해외 수처리 및 바이오 시장의 성장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아프리카 등 저개발 국가 중심으로 기초산업플랜트 위주의 발주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경쟁우위요소)

삼성엔지니어링은 다양한 비화공 사업 수행 경험을 통해 축적된 내부 역량과 더불어 주요 사업자 및 금융 투자사와 네트워크를 구축, 이를 바탕으로 각 국가 및 민간 사업자의 발주공사를 수주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Bio부문은 그룹 대규모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당사만의 차별적 역량을 축적해 왔으며,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3)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된 연결대상 종속회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프로젝트 수행 및 지원

상호설립일주소

Samsung Engineering America Inc 2008.07.01 2050 West Sam Houston Parkway South 19th floor, Houston, TX 77042, USA
SEA Construction, LLC 2011.11.09 2050 West Sam Houston Parkway South 19th floor, Houston, TX 77042, USA
SEA Louisiana Construction, L.L.C. 2015.02.23 2050 West Sam Houston Parkway South 19th floor, Houston, TX 77042, USA
Samsung Engineering Trinidad Co.,  Ltd. 2006.11.28 30-32 Picton St. 1st Fl North, Newtown, Port of Spain, West Indies, Trinidad & Tobago
Samsung Engineering Hungary Ltd. 2016.05.04 1023 Budapest, Arpad fejedelem street 26-28, Budapest, Hungary 
Samsung Engineering Italy S.R.L. 2018.11.07 Viale Castello Della Magliana 38, Roma, Italy, CAP 00148
Samsung Engineering India Private Limited 2006.05.15 201301 A-1, Windsor IT Park, Tower A, Level-8, Sector 125, Noida, U.P, India
Samsung Engineering (Thailand) Co., Ltd. 2004.10.15 10120 No.1 Empire Tower Building 36th Fl. South Sathorn Rd., Yannawa, Sathorn, Bangkok, Thailand
Samsung Engineering (Malaysia) SDN. BHD 1990.08.03 Suite 14.06, 14th floor, Kenanga International, Jalan Sultan Ismail, 50250 Kuala Lumpur, Malaysia
Samsung Engineering Vietnam Co., Ltd. 2013.07.24 Unit 1909, 19F, Keangnam Landmark 72 Pham Hung, Tu Liem, Hanoi, Vietnam
Samsung Engineering Kazakhstan LLP  2008.04.11 050059 Office 11, 4th floor, Sector 4a, Business center "Nurly Tau", Al-Farabi Ave 7, Almaty, Kazakhstan
Samsung Engineering Construction(Shanghai) Co., Ltd. 2003.11.04 200120 15F, Onelujiazui, No.68 Yin Cheng Road(C), Shanghai 200120 P.R.China
Samsung Engineering Construction Xi' an Co., Ltd. 2016.04.01 Room 1216, Block A, Dushizhimen, No.1, Jinye Road, Xi'an Hi-and-New Tech Park, P.R.China
Samsung Saudi Arabia Co., Ltd 1999.11.17 Jubail Industrial City P.O box 35816, Saudi Arabia,  Zip code : 31961
Samsung EPC Co., Ltd 2011.11.21 Jubail Industrial City P.O box 35816, Saudi Arabia, Zip code : 31961
Muharraq Wastewater Services Company W.L.L 2011.02.09 1507-315, Manama Center, Bahrain
Samsung Engineering Bolivia S.A. 2012.08.31 Avenida Oquendo Nro., 1080 Edif, Los Tiempos Torre II Piso 10,
Depto 10, Ofc 10A, Zona Central, Cochabamba, Bolivia
Samsung Ingenieria Mexico Construccion Y Operacion S.A. De C.V.
(구, Samsung Ingenieria Minatitlan, S.A. de C.V.)
2005.04.06 Mariano Escobedo 476, 3rd Floor, Col., Anzures, Mexico City, Mexico, 11590
Samsung Ingenieria Manzanillo S.A. De C.V. 2008.04.04 Mariano Escobedo 476, 3rd Floor, Col., Anzures, Mexico City, Mexico, 11590
Grupo Samsung Ingenieria Mexico S.A. De C.V. 2008.04.11 Mariano Escobedo 476, 3rd Floor, Col., Anzures, Mexico City, Mexico, 11590
Samsung Ingenieria Energia S.A. De C.V. 2011.01.04 Mariano Escobedo 476, 3rd Floor, Col., Anzures, Mexico City, Mexico, 11590
Samsung Ingenieria DUBA S.A. de C.V. 2014.08.29 Mariano Escobedo 476, 3rd Floor, Col., Anzures, Mexico City, Mexico, 11590
Asociados Constructores DBNR, S.A. de C.V. 2019.07.15 Mariano Escobedo 476, 3rd Floor, Col., Anzures, Mexico City, Mexico, 11590

 

가. 주요공사 현황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주요공사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0년 12월 31일) (단위 : 억원)

구 분제54기제53기제52기비 고시공실적(A)시공계획(B)비율(A/B)시공실적(A)시공계획(B)비율(A/B)시공실적(A)시공계획(B)비율(A/B)

국내도급공사



관급 266 266 100% 182 182 100% 343 343 100% -
민간 23,997 23,997 100% 23,208 23,208 100% 22,846 22,846 100% -
해외도급공사 43,229 43,229 100% 40,531 40,531 100% 31,481 31,481 100% -
자체 공사 - - - - - - - - - -
기 타 - - - - - - - - - -
합 계 67,492 67,492 100% 63,921 63,921 100% 54,670 54,670 100% -

 

나. 공사종류별 완성도 현황 (플랜트공사)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완성공사 및 수익인식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0년 12월 31일) (단위 : 억원)

구 분공사종류제54기제53기제52기공사지역비 고금 액비 율금 액비 율금 액비 율

국내 도급공사 플랜트 24,263 36% 23,390 37% 23,189 42% 천안, 평택 등 -
해외 도급공사 플랜트 43,229 64% 40,531 63% 31,481 58% 사우디 등 -
자체공사 - - - - - - - -
기 타  - -  - -  - - - -
합 계 67,492 100% 63,921 100% 54,670 100% -  

 

마. 수주 및 판매전략 등

(1) 화공 부문

당사는 다수의 화공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축적된 경험과 엔지니어링 역량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당사가 다수 경험했고, 이미 경쟁력이 입증된 EO/EG
, 에틸렌, 비료, GSP/GOSP 및 정유 상품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으며, 입찰 단계부터 당사가 경험한 Best Practice 및 Lessons Learned을 충분히 반영하여 수주 경쟁력 뿐만 아니라, 수주 이후에도 안정적인 프로젝트 수행이 가능하도록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 또는 상품별로 당사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는 업체와 다양한 파트너십 전략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무리한 단독 수주 보다는 특정 지역에서 경험이 풍부한 업체, 특정 상품에 차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업체와 파트너십을 통해 입찰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협업을 통해 상호간의 장점 극대화는 물론 리스크 저감에도 철저히 대비하고 있습니다.
차별화 분야를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 및 기술 투자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모듈 공법, 자동용접 기술 등 새로운 시공기술을 진행 중인 프로젝트 및 신규 입찰에 일부 반영 중이며, 설계 및 기자재 구매 단계에서 차별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활동도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수한 설계역량과 경험을 활용, 기존 상세설계에서 기본설계로 밸류체인을 확장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미주,동남아 등에서 저경쟁 고수익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 비화공 부문

비화공 부문은 풍부한 그룹 내 수행경험을 바탕으로 대외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특히, 설계/조달/공사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만큼 고객과 사업기획 단계부터 공동으로 참여하여 최적화된 프로젝트 모델을 제시하는 등 선제적 영업활동을 추진 중입니다. 바
이오/제약 플랜트 사업 분야도 2015년 이후 지속적인 프로젝트 수주 및 수행중이며, 이를 통해 축적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