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자동차-조선-기계

엔브이에이치코리아 주가전망 및 배당금, 자동차용 부품 전문 HEADLINER, ISO DASH PAD, DOOR TRIM

.^. 2021. 7. 4.
반응형

 "엔브이에이치코리아㈜"이며, 영문은 "NVH KOREA INC."라고 표기합니다.

중소기업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엔브이에이치코리아는 1984년 1월 17일 일양산업주식회사로 설립하여 2001년 6월 8일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13년 12월 3일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된 주권상장법인입니다.

 

- 주소 : 울산 북구 모듈화산업로 207-14번지
- 전화번호 : 054) 779-1822
- 홈페이지 :  http://www.nvhkorea.com

 

 

엔브이에이치코리아는 자동차용 부품 전문생산업체로서 자동차의 내장제품인 HEADLINER, ISO DASH PAD 등의 NVH 부품 및 DOOR TRIM과 자동차의 엔진제어부품인 냉각수온조절장치, 엔진룸 흡차음제 및 커버 등을 생산, 현대자동차(주) 및 기아자동차(주)의 국내 및 해외법인과 VW 및 엔브이에이치코리아 유럽법인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엔브이에이치코리아는 2018년 5월 엔브이에이치원방테크를 설립, 2018년 6월 엔브이에이치원방테크가 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전문 엔지니어링 업체인 (주)원방테크를 인수하여 산업용 클린룸, 바이오 클린룸, 드라이룸, HVAC & UTILITY 부문으로 나누어 초기기술자문, 설계, 시공, 감리, 기자재 구매 및 검사, 시운전및 운영지도, 기류해석 및 개선 등 각각의 부문에 대한 토탈 솔루션을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등 국내외 주요 반도체 생산업체 및 휴대전화, 2차전지, 바이오 업체 등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19년 3월 원방삼현을 설립하여 동사가 교량 전문 업체인 삼현에이치를 인수함으로써 교량거더산업에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엔브이에이치코리아의 사업영역은 사회간접자본인 도로나 철도에서 중요한 시설물인 교량을 제작하여 공급 및 설치하고 있습니다.주요수요처는 국토교통부의 5대 지방국토관리청을 비롯하여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등의 공기업과 지방자치단체 입니다.

 

 

엔브이에이치코리아는 2020년 배당금 75원을 지급하였습니다.

 

 

엔브이에이치코리아는 ODM(생산자개발방식)으로 납품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부품 중 내장재 부품(HEADLINER, NVH부품, DOOR TRIM 등)의 생산 및 공급을 사업 목적으로 설립되어, 현재 국내에서는 내장재 부품 및 엔진룸 흡차음재 부품 사업 부문을, 그리고 해외법인은 내장재 부품 사업 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18년 6월 HVAC전문 엔지니어링 업체인 원방테크를 인수, 반도체/디스플레이/바이오 클린룸산업과 자동차 배터리 드라이룸산업에 진출하였으며, 2019년 4월에는 교량거더 제작 및 설치를 전문으로 하는 삼현에이치를 인수하여 교량거더산업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① 자동차 산업

 자동차 산업은 철강, 기계, 전자, 화학 등 광범위한 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른 산업에 비해 전후방 산업의 연관성이 매우 큽니다. 또한 연관 산업인 철강, 기계, 소재 산업 등 전통 산업뿐만 아니라 정보기술, 에너지기술, 환경기술 등 신성장 산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20세기 자동차가 이동수단으로서의 효율성을 극대화 했다면, 21세기 자동차는 움직이는 생활공간으로서 주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장착 등 IT기술을 접목하여 자동차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자동차 부품 업체도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품질, 안전성, 신제품, 신소재 등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제품 및 회사의 부가가치를 높여야만 대형 부품사로서의 성장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② 건설 산업(환경에너지)
- 클린룸 산업
클린룸 산업은 크게 ICR(산업용 클린룸)과 BCR(바이오 클린룸)으로 분류되며, 산업용 클린룸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산업용 클린룸은 국내 클린룸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시장으로 글로벌 메이저 업체인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주산업으로 전방산업인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업황 및 시설투자에 많은 영향을 받는 산업입니다.


국내 클린룸 시장은 1990년대 1,000억원 돌파 이후로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바이오산업, 디스플레이산업 중 LED, BLU, Touch Screen 산업 등이 큰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어 폭넓은 성장을 지속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전기차(BEV+PHV) 시장은 2022년 570만대, 2025년 1천만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국내외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늘어나는 수요에 따라 적극적으로 생산능력 증설을 위한 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인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해외 업체인 CATL, 파나소닉, BYD 등 모두 공격적인 목표치를 제시하고 있으며 설비투자에 가장 공격적인 상위 6개사(일본 파나소닉, 중국 CATL, 한국 LG화학, 중국 BYD, 한국 삼성SDI, 한국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능력은 2017년 162Gwh에서 2019년 235Gwh, 2020년 412Gwh, 2021년 514Gwh 등이 예상됩니다. 1Gwh를 확보하기 위한 Cell 관련 투자비는 약 800억원이며, 배터리 제조업체의 투자금액은 2025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 교량거더 산업
교량거더 산업은 사회간접자본인 도로나 철도에서 중요한 시설물인 교량의 가장 핵심 요소를 공급하는 산업입니다. 주요 수요처는 국토교통부의 5대 지방국토관리청을 비롯하여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등의 공기업과 지방자치단체입니다. 민간발주교량도 있지만 대부분은 공공공사에 거더를 공급하는 산업입니다. 시장의 규모는 정부예산에 따라 결정되지만, 사회간접자본인 인프라시설물은 지속적인 신설과 교체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장규모는 유지 또는 성장하는 산업입니다.

 

 

 

① 자동차 산업
2020년 자동차 생산은 11.2%, 수출은 21.4% (수출액 13.0%) 감소하였으나, 내수는 5.8%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되었습니다.

생산은 코로나19에 따른 판매위축, 주요부품 조달 차질 등으로 상반기는 19.8%, 하반기는 신차 수출 효과 등으로 2.2% 감소, 연간 전체로는 11.2% 감소한 351만대 입니다.

내수는 개소세 인하 등 정부의 내수활성화 정책, 업계의 다양한 신차 출시 등으로 5.8% 증가한 189만대로 역대 최다 판매 달성하였습니다.

수출은 상반기는 33.9% 감소, 하반기는 8.1% 감소 되어 전체 수출대수는 21.4% 감소한 189만대 기록하였습니다.

 

 

2020년 자동차산업 실적

자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②  건설 산업(환경에너지)
- 클린룸 산업
클린룸 산업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반도체 수요의 급증과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등장으로 인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대규모 설비투자가 지속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클린룸 수요 역시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세계 IT 산업은 4차 산업혁명으로 진입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에 의한 IT세트 확산은 아직 초입 단계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빅데이터(Big Data)와 인공지능(AI) 개발을 위해 글로벌 기업들이 대규모 IT 인프라 투자를 실시하면서 반도체 산업은 슈퍼사이클에 진입하였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알리바바, 텐센트 등 리딩 IT업체들은 데이터센터(Data Center),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 올플래시 스토리지(ALL-Flash Storage), 블록체인(Blockchain) 등 IT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경쟁적으로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반도체 선도업체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전례없는 수요 확산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AI나 IoT 등 새로운 산업의 급속한 발전도 향후 반도체 시장 전망을 밝게하고 있으며,바이오 클린룸 시장의 경우 바이오산업이 고도화 됨에 따라 최근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제약업체의 설비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대 되면서 바이오 클린룸 시장 또한 성장 추세입니다.
또한 2013년 전기차 수요가 약 10만대 수준에서 2019년도에는 약 220만대, 2025년에는 약 1,000만대의 수요가 예상됨에 따라 2차 전지의 시장규모도 2019년 290억달러에서 2025년 약 119억달러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관련 국내 2차 전지 업체의 연 CAPA 역시 2018년 ~ 2023년 년 평균 예상증가율은 LG화학이 48%, 삼성SDI 가 43%, SK이노베이션이 약48%의 성장세가 전망됩니다.

- 교량거더 산업
인프라시설물 관련 산업은 노후시설 교체, 스마트건설, 방재와 관련된 기술향상과 남북관계에 따른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산업의 성장성이 결정될 것입니다.
국내 대다수의 인프라시설은 경제성장기인 1970년대 이후에 시공되었기 때문에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교체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시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발달하고 있는 스마트 건설기술은 시설물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에 있어서 일원화된 정보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시설물의 전체 수명에 대해 관리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이러한 스마트건설은 ICBM 등의 첨단기술을 접목하여 BIM, 모듈러 기술과 연계함으로써 건설산업의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연속적으로 발생한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의 영향으로 인프라 구조물의 성능향상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른 북한 인프라시장 개방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교량거더 산업은 더욱 더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엔브이에이치코리아의 주요 사업영역은 자동차용 내장부품, 클린룸 설비제작 및 시공, 교량거더 제작 및 설치를 전문으로 하는 교량거더산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내장부품은 생산품의 대부분을 현대자동차 및 기아자동차에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품은 HEADLINER, NVH부품(ISOLATION DASH, INSULATION DASH, INSULATION HOOD, TUNNEL PAD 등), FLOOR CARPET, DOOR TRIM 및 엔진제어부품으로 분류됩니다. 2018년 7월부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체에 사용되는 클린룸 설비를 제작, 시공하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다양한 관련업체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 4월부터 사회간접자본인 도로나 철도에서 중요한 시설물인 교량을 제작하여 공급 및 설치하고 있으며, 주요수요처는 국토교통부의 5대 지방국토관리청을 비롯하여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등의 공기업과 지방자치단체 등이 있습니다.

 

 

엔브이에이치코리아 주요 제품, 서비스 등의 매출

건설산업부문은 2018년 6월말 종속법인 편입된 원방테크와 2019년 4월초 종속법인 편입된 삼현에이치의 금액입니다.

 

 

자동차부품 가격변동추이

 

댓글